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2025년 파키스탄 식품가공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파키스탄
  • 카라치무역관 황성운
  • 2025-10-23
  • 출처 : KOTRA

젊은 소비층과 수출시장 확대가 이끄는 파키스탄 식품 가공 산업

파키스탄 스낵·제과 시장의 성장과 브랜드화 가속

산업 개요 및 특성


파키스탄 식품가공산업은 섬유 산업에 이어 제조업 부문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를 자랑하며, 제조업 부문 전체 부가가치 생산의 27%를 차지하고 있다. 고용 측면에서도 제조업 고용의 16%를 담당하고 있어 경제 성장과 고용 창출의 주요 동력으로 국가 경제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식품가공산업은 과일, 채소, 밀가루, 설탕, 곡물의 1차 가공을 포함한 농식품 가공까지 포함할 경우 파키스탄 GDP의 20% 이상을 기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파키스탄 전역에는 약 2500개 이상의 식품가공 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지역별로는 펀자브주 지역에 60%, 신드주 지역에 30%가 집중되어 있다. 이러한 지역 집중도는 원료 공급지인 주요 농업 지대와의 근접성 및 물류 인프라의 발달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풍부한 농업 자원을 기반으로 한 파키스탄의 식품 및 농산물 가공 산업은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수출 성장에 있어서도 유망한 분야로 평가받고 있다. 식품가공산업 세부 분야로는 냉동식품 및 통조림 제조, 식용유 및 유지 제조, 음료 생산, 제과·제빵 산업 등으로 구분된다.


관련 정책 및 제도


파키스탄의 식품 관련 규제 체계는 연방정부와 주정부가 책임을 분담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주요 제도는 다음과 같다.


(1) 식품안전 및 법률(Food Safety and Law)

- 파키스탄 순수식품법(PFL, Pakistan Pure Food Laws)이 식품 품질 및 안전 기준의 근간을 이루고 있다. 이 법은 1963년 제정되어 2007년 개정되었으며, 2010년 18차 헌법 개정 이후 식품안전, 허가, 위생 점검 등의 집행 권한은 주정부 산하 식품당국으로 이관됐다.

- 주요 집행기관으로는 펀자브 식품청(PFA, Punjab Food Authority), 신드 식품청(SFA, Sindh Food Authority), 카이버르 파크툰크와 식품안전 및 할랄 식품청(KPFSHFA, Khyber Pakhtunkhwa Food Safety & Halal Food Authority) 등이 있으며, 위생검사 및 법규 준수 감독을 담당하고 있다.


(2) 국가표준 및 품질관리(National Standards and Quality)

- 파키스탄 표준 및 품질관리청(PSQCA, Pakistan Standards & Quality Control Authority)은 과학기술부 산하 기관으로, 국가표준 제정 및 국제 기준(Codex Alimentarius)과의 조화를 담당하고 있으며, 식용유, 비스킷 등 특정 품목에 대해 의무 인증제도(Compulsory Certification Mark License)를 운영하여 품질을 관리하고 있다.


(3) 공동이익위원회(CCI, Council of Common Interests)

각 주에 PSQCA가 제정한 국가표준을 채택하도록 지시하여 기업 활동의 편의성을 제고하고, 전국적으로 품질을 표준화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4) 할랄 인증 제도(Halal Certification)

- 파키스탄 할랄 식품법(Pakistan Halal Foods Act)에 따라 국가인증위원회(National Accreditation Council)가 할랄 인증을 관리하며, 동물성 제품에 대한 할랄 기준을 의무적으로 적용하고 있다.


(5) 국가식량안보연구부(MNFSR, Ministry of National Food Security & Research)

- 식량안보, 농업 정책, 연구 지원 등 거시적 정책을 총괄하며, 식품생산 표준에 관한 사항도 관장하고 있다. 


<분야별 주요 기업 현황 및 특징>

부문

주요 기업 (제품)

시장 특성

성장 요인

스낵

펩시코 파키스탄(Lay’s, Kurkure, Cheetos)

롯데콜손(Slanty, Potato Sticks, Cheese Balls) 

유나이티드 스낵스(Oye Hoye) 

이스마일 인더스트리(SnackCity Kurleez)

국제 브랜드 기업이 주도하는 감자칩 시장이 스낵 시장에서 지배적

매운맛을 가장 선호하며, 티타임과 연계한 스낵류 소비 일상화

파키스탄 특유의 소액/소량 포장이 다수

국제 품질에 맞춘 수요 증가

라이프 스타일 변화

현대유통(슈퍼마켓)과 온라인/전자상거래를 통한 소비 확대

현지 취향을 겨냥한 로컬 기반

음료

펩시코 파키스탄(Pepsi, 7Up, Aquafina)

코카콜라 파키스탄(Coca-Cola, Sprite, Dasani)

네슬레 파키스탄(Pure life, Fruita Vitals Juice)

소수 글로벌 브랜드가 음료 시장을 과점하는 구조

생수 시장은 수인성 질병 우려와 안전한 식수 접근성 부족으로 지속 확대 중

소득 증가, 현대 유통 채널 확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성장, 관광 및 야외 활동 증가가 시장 확장을 견인

조미료

샨 푸드(Shan Nihari/Biryani/Chicken Masala)

내셔널 푸드(National Mixed/Mango Pickle)

샹그릴라 푸드(Shangrila Chilli Garlic/Chilli) 

시장을 주도하는 소규모 기업 중심 시장

가격 경쟁력이 핵심

브랜드 충성도 보유

맛의 다양성

제과류

캔디랜드(Fanty, Cola, Dyno Gum)

힐랄제과(Ding Dong Bubble Gum)

몬델리즈 인터내셔널(Cadbury Dairy Milk)

빠른 성장세를 보이는 시장

단맛을 선호하는 식문화

저가 경쟁 시장, 전통적 유통 구조

독립 소매업체와 로컬 중소기업 중심

저가 제품, 도시화 등 변화하는 라이프 스타일

비스킷

잉글리시 비스킷 매뉴팩처러즈(Sooper, Gluco)

컨티넨탈 비스킷(Gala, Candi, Prince)

비스코니(Cocomo, Chocolatto)

지속적인 성장 전망

티타임 문화와 밀접한 비스킷 소비 시장

소수 대기업 중심, 대기업 선도

브랜드 제품, 프리미엄 비스킷, 건강 지향 제품 수요 증가

현대 소매 체인 확보, 전자 상거래 플랫폼 활용

유제품

프리슬란트캄피나 엥그로(Olpers)

네슬레 파키스탄(Milkpak)

할립 푸드 리미티드(Haleeb Fresh Milk)

파우지 푸드(Nurpur UHT Milk)

세계 3위 우유 생산국이며, 가정 식단에서 우유 및 유제품이 중요한 위치 차지

가공 유제품은 대기업 중심, 전체 우유 시장은 비브랜드 제품 중심

가공 유제품 시장의 성장 잠재력이 큼

현대 소매 채널 확장 및 포장 유통망 구축

콜드체인 인프라 구축 필요

[자료: 파키스탄 무역개발청(TDAP), 파키스탄 기업협의회(PBC) 및 무역관 조사 종합] 


한국 기업 진출 사례: 롯데콜손(Lotte Kolson)


파키스탄 식품 산업에서 한국 기업의 성공적인 진출 사례로는 롯데웰푸드의 자회사인 롯데콜손을 꼽을 수 있다. 롯데콜손은 2010년 롯데제과가 파키스탄 현지 식품기업 콜손(Kolson Foods)의 지분을 인수하며 설립되었고, 현재 스낵, 비스킷, 파스타, 케이크 등 다양한 제품군을 생산하고 있다. 롯데 콜손은 스낵 시장에서 20% 이상의 점유율로 글로벌 기업 펩시코에 이어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비스킷 시장에서도 12~15%의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대표 제품인 'Slanty'는 파키스탄 국민 스낵으로 자리매김하며 Hot Masala, Jalapeno, French Cheese 등 현지 입맛에 맞춘 다양한 맛으로 전국적 인지도를 확보했다. 최근에는 심층적인 현지 시장조사, 로컬 맞춤형 맛 개발을 통한 '쌀로칩(Rice Chips)'을 신규 출시하였으며, 성공적으로 현지 스낵 시장의 점유율을 확대해나가고 있다.


롯데콜손의 성공 요인은 철저한 현지화 전략에 있다. 한국의 선진 식품 가공 기술과 파키스탄 소비자가 선호하는 매운맛·향신료 맛을 결합하여 제품을 개발했고, 파키스탄 특유의 티타임 문화에 최적화된 스낵과 비스킷을 출시하며 시장 적합성을 높였다. 또한 전국적인 유통망을 구축하여 전통 상점부터 현대적 슈퍼마켓, 온라인 플랫폼까지 다층적 채널을 확보했다. 롯데콜손의 성공은 한국 기업이 현지 기업 M&A를 통한 인프라 확보, 기술과 현지 취향의 결합, 그리고 문화적 소비 습관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파키스탄 시장 진출의 핵심임을 보여주는 대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식품산업 기술 동향


국제적인 대기업들, 특히 펩시코(PepsiCo, Lay’s 및 Kurkure와 같은 브랜드 보유)와 이스마일 인더스트리(Ismail Industries, SnackCity/Oye Hoye) 및 유나이티드 스낵스(United Snacks)와 같은 지배적인 현지 대기업들은, 청년층 중심의 급성장 시장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생산 및 유통 인프라 확충과 첨단 식품 가공 기술(압출, 프라잉/베이킹 자동화 기술) 도입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건강지향형 제품 및 혁신적인 맛과 형태의 스낵 출시가 활발하다.

 

산업의 수급 동향


파키스탄의 식품 산업 중에서도 세이보리 스낵(짭짤한 맛을 내는 스낵) 시장, 특히 감자칩 시장에 대한 수요는 최근 몇 년간 급격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 규모는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나, 이러한 수요을 충족할 만한 파키스탄 자국 생산 능력은 아직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다. 현재 스낵 시장은 칩과 크리스프(crisp) 기반 스낵이 중심을 이루고 있으며, 젊고 미디어 친화적인 인구(5세~20세 연령층이 전체 소비자의 약 65%)를 기반으로, 도시화와 간편식 트렌드 확산이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 또한 펩시코(Lay’s, Cheetos, Doritos) 등 글로벌 기업과 Snack City, Oye Hoye 등 현지 브랜드가 선보인 국제 수준의 제품 품질은 소비자의 구매 패턴을 비브랜드 제품에서 브랜드 제품 중심으로 전환시키며, 시장 구조의 고도화와 성장을 촉진하고 있다.

 

한편, 주요 기업들이 높은 설비 가동률을 유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프리미엄 브랜드 칩 시장에서는 여전히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는 신규 진입 기업들에게 유망한 진출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기존 기업들에도 생산·유통망 확충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또한 소비자의 관심이 점차 다양성과 건강 지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독특한 맛의 제품, 구운·저지방 스낵과 같은 혁신 제품군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시장의 안정적 성장을 위해서는 생산 능력 강화, 기술 혁신, 효율적인 유통 네트워크 구축이 필수적이다. 이러한 투자 확대는 파키스탄 스낵 산업이 향후에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가는 핵심 요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설비투자 및 해외협력


파키스탄 스낵 시장의 설비투자는 증설·자동화 중심의 생산능력 확대와 압출·베이킹 등 공정 기술 고도화, 그리고 원재료·패키징·물류 등 로컬 공급망 보강에 집중되고 있다. 이는 급증하는 내수 수요와 수출 잠재력 확보를 동시에 겨냥한 전략적 투자로, 대형 업체를 중심으로 라인 업그레이드와 신제품 대응 체계를 빠르게 구축하는 모습이다. 또한 중동 지역 자본의 관심이 뚜렷하다. 최근 사우디를 중심으로 합작투자(JV) 및 공동 브랜딩 검토가 활발하며, 파키스탄을 중동 수요 대응의 생산 거점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파키스탄은 전통 님코, 구운 병아리콩, 향신 스낵 등 전통 스낵 제조 역량과 맛 가공 칩·쿠키·비스킷·에너지 바 등 현대적 제품 포트폴리오를 동시에 보유하고 있어, 파키스탄과 중동 간 제품 다각화와 공동 개발 및 중동 수출 거점으로 유리한 조건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상위 10대 국가·품목 수출입 현황(HS 09, 11, 15~22 기준)


<국가별 수입 현황>

(단위: US$ 백만)

국가

2023

2024

2025(상반기)

성장률

점유율

인도네시아

2,693

2,638

1,766

42

61.7

케냐

492

557

280

-2

9.8

아르헨티나

140

157

211

360

7.4

말레이시아

383

442

199

-4

7.0

UAE

13

22

82

933

2.9

중국

77

104

70

24

2.5

태국

56

58

38

58

1.3

네덜란드

48

38

22

15

0.8

브라질

94

22

19

64

0.7

르완다

26

33

17

3

0.6

합계

4,375

4,406

2,863

38

100

[자료: Global Trade Atlas]

 

<국가별 수출 현황>

(단위: US$ 백만)

국가

2023

2024

2025(상반기)

성장률

점유율

아프가니스탄

195

382

239

243

32.6

미국

113

125

59

-7

8.0

스페인

72

38

47

73

6.4

UAE

83

96

43

11

5.8

네덜란드

148

65

38

-5

5.2

이탈리아

51

47

26

3

3.5

영국

63

57

25

-10

3.4

사우디 아라비아

59

65

23

-31

3.1

캐나다

28

33

15

2

2.0

필리핀

30

24

14

76

1.9

합계

1,308

1,448

733

30

100

<자료: Global Trade Atlas>

 

<품목별 수입 현황>

(단위: US$ 백만)

HS2

분류

2023

2024

2025(상반기)

성장률

점유율

15

동식물유

3,303

3,190

2,198

49

77

09

커피.차

740

861

436

-0.5

15

21

기타조제

101

99

60

29

2

19

곡물조제

100

108

59

23

2

18

코코아

40

67

58

215

2

17

당류설탕

50

41

25

18

1

20

과실조제

26

23

17

50

1

11

맥아전분

12

10

6

15

0.2

22

음료주류

6

5

3

41

0.1

16

어육조제

0.3

0.4

0.4

145

0.01

합계

4,375

4,406

2,863

38

100

[자료: Global Trade Atlas]

 

<품목별 수출 현황>

(단위: US$ 백만)

HS2

분류

2023

2024

2025(상반기)

성장률

점유율

22

음료주류

486

333

202

7

28

17

당류설탕

311

549

150

31

20

15

동식물류

36

35

117

632

16

21

기타조제

140

96

71

90

10

19

곡물조제

99

138

58

-4

8

09

커피.차

119

120

56

-9

8

20

과실조제

70

110

41

-26

6

11

맥아전분

34

54

24

-4

3

16

어육조제

10

10

11

141

2

18

코코아

4

4

2

32

0.3

합계

1,308

1,448

733

30

100

[자료: Global Trade Atlas]

 

<제과 산업 생산·무역통계>

(단위: 백만 MT, %, US$ 백만)

구분

FY22

FY23

FY24

생산량

7.9

6.7

6.8

생산 증가율

39.10

-15.30

1.30

조미료 수출액

4.5

5.6

5.5

비스킷, 제과 수출

218.2

316.6

288

조미료 수입

6

4.7

6.3

비스킷, 제과 수입

72.4

64.5

76.8

[자료: Pakistan Credit Rating Agency]

 

< SWOT분석 및 진출 전략 >

Strengths

Weaknesses

- 원자재의 안정적 공급 및 접근 용이성

숙련·비숙련 인력의 저비용 확보 가능

운영이 간단한 제조 설비 구조

미활용 설비(잉여 생산능력)의 존재

정부의 세제 혜택 및 산업 육성 정책 지원

전 소득계층이 구매 가능한 가격대 형성

도시 및 농촌을 포괄하는 광범위한 소비층

비공식 제조업체와 위조 브랜드의 난립

제품 간 차별화 및 부가가치 창출 부족

시장의 과잉 경쟁 및 포화 상태

일부 공장의 낮은 가동률

진입 장벽이 낮아 경쟁 심화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제조원가 부담

낮은 이익률

생산 과정에서의 폐기물 다량 발생

Opportunities

Threats

인구 증가 및 식품 소비량 지속 확대

미개척 수출 시장의 성장 잠재력

1인당 소득 증가에 따른 구매력 향상

소비자 미각의 다양화 및 트렌드 변화

건강식·글루텐 프리 등 신규 제품군 확대 가능성

도시화·여성 경제활동 확대에 따른 간편식 수요 증가

해상 운임 등 물류비 상승 부담

환율 변동에 따른 수익성 불안정

기후 변화 및 강우 주기의 불규칙화로 인한 원료 수급 리스크

구매자(유통사)의 높은 협상력

국제 시장 내 인접국과의 치열한 경쟁

건강한 식습관 확산으로 인한 기존 제품 수요 감소

다국적 대기업의 시장 지배력 유지

낮은 진입 장벽으로 인한 신규 경쟁자 유입

지식재산권 침해 및 위조 브랜드 확산 문제


파키스탄 식품 산업은 원자재 접근성과 저비용 노동력, 정부의 지원 정책, 그리고 전 소득계층을 아우르는 가격 경쟁력을 기반으로 한 견고한 산업 구조를 갖추고 있다. 또한 단순한 설비 운영 체계와 유휴 설비의 활용 가능성은 단기간 내 생산능력 확충 및 효율화의 여지를 제공한다.


그러나 산업 전반은 여전히 저마진·대량생산형 구조에 머물러 있으며, 과포화된 시장과 낮은 진입 장벽으로 인해 치열한 경쟁과 브랜드 모방, 위조 문제가 지속되고 있다. 또한 제품의 차별화 부족과 부가가치 창출 한계, 높은 원자재 비용 및 낮은 가동률은 낮은 수익성 구조로 이어지고 있으며, 생산 공정상 폐기물 발생량이 많고 효율성이 낮은 점도 주요 개선 과제로 지적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의 성장 잠재력은 여전히 크다. 인구 증가와 식품 소비 확산, 수출 시장 개척 가능성, 그리고 건강식·글루텐 프리 제품 등 소비 트렌드 변화에 따른 제품 다변화 기회가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건강과 웰빙을 중시하는 신흥 소비층의 확대는 제품 혁신과 브랜드 고급화를 위한 새로운 성장 축이 될 수 있다.


다만, 환율 불안, 물류비 상승, 기후 변화 등 외부 변수와 함께, 다국적 및 지역 경쟁사의 공세, 구매자의 높은 협상력, 지식재산권 침해 위험 등은 시장 안정성을 저해하는 주요 리스크로 작용하고 있다. 결국 파키스탄 스낵 산업은 기존 강점을 바탕으로 현대화·고도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경쟁 심화 및 구조적 취약 요인에 대응할 체계적 전략 마련이 필수적인 산업으로 평가된다.


유망 분야 및 진출 전략


파키스탄 식품가공산업은 주요 제품별로 차별화된 성장 기회를 보이고 있다. 초콜릿 및 제과류는 프리미엄 소비 확산과 기념일·축하 문화의 정착으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가장 빠른 성장이 예상되는 품목 중 하나로 평가받고 있다. 세이보리 스낵의 경우 젊은 층의 간편식 선호와 외식 대체 수요에 힘입어 빠른 성장이 예상되는데, 특히 건강 지향형 스낵인 저염·고단백·유기농 제품과 함께 지역 특색을 가미한 향신료·퓨전 맛이 트렌드를 주도하고 있다. 카라치 마살라나 라호르 차트와 같은 현지화된 맛은 소비자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도시 소비자 및 건강 관심층을 중심으로 에너지바와 시리얼바 같은 스낵바 제품도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시장 진입을 위해서는 다각화된 유통 전략이 필수적이다. 전자상거래는 도시와 농촌 간 유통격차를 해소하고 충동구매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채널로 부상하고 있으며, 슈퍼마켓과 하이퍼마켓 같은 현대식 유통망은 원스톱 쇼핑과 브랜드 다양성 확대를 통해 소비자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도시 밀집지역을 중심으로 한 편의점 채널도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수출시장 다변화 전략의 일환으로 중동·아프리카·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의 확대가 추진되고 있으며, 특히 북미와 중동 지역은 제과류 수출의 핵심 잠재시장으로 평가받고 있다.


성공적인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전략적 투자와 현지화가 중요하다. 글로벌 기업들은 파키스탄 내 현지 원자재 조달 및 생산거점 확충에 투자를 확대하며 공급망 구축과 현지화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제품 혁신 측면에서는 천연 향료, 유기농 원료, 무첨가 제품 등 건강과 친환경 트렌드에 부합하는 프리미엄 신제품 개발이 핵심 과제로 부상했다. 아울러 냉장 유통망 확충을 통한 콜드체인 및 물류 인프라 구축이 적극 추진되고 있는데, 이는 냉동식품과 제과 제품의 품질 유지를 강화하고 지방 지역의 수요에 효과적으로응하기 위한 필수적인 투자로 인식되고 있다.



자료: Pakistan Bureau of Statistics(PBS), Pakistan Customs Tariff, Pakistan Credit Rating Agency(PACRA), TDAP (Trade Development Authority of Pakistan), Pakistan Business Council (PBC), Global Trade Atlas, KOTRA 카라치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파키스탄 식품가공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