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집트 건설 전시회, EGYPT Project 2025 전시회 리뷰
- 현장·인터뷰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문숙미
- 2025-09-15
- 출처 : KOTRA
-
이집트 Egypt Project 2025, 14개국에서 230개 기업 참가, 1만 7000명 참관
2025년 이집트 건축자재 및 건설 전시회 8회째 열려, 매해 성장중
<Egypt Projects 전시회 2025 개요>
전시회명
Egypt Projects 2025
기간
2025년 9월 6~8일(총 3일)
장소
Egypt International Exhibition Center, Cairo(EIEC)
주최
Arab German International Exhibitions
연혁
2016년 최초 개최, 올해 8회 개최
참가 규모
참관객 17,000명, 참가업체 230개사, 방문국 14개국, 국가관 3개관
전시 품목
시멘트 & 콘크리트, 콘크리트 기계와 제품, 건설 도구, 코팅 & 건설 화학제품, HVAC R, 페인트, 바닥재 & 마감재, 파이프 & 튜브 등
웹사이트
www.egypt-projects.com
[자료: Egypt Projects 전시회 홈페이지]
전시 개요
2025년 9월 6일부터 8일까지 제8회 국제 건설 및 건축자재 전시회(Egypt Projects)가 이집트 무역산업부와 내각의 후원 아래 개최됐다. 올해 행사는 산업개발청(IDA)이 공식 후원기관으로 참여하며, 이는 건설 및 건축자재 산업과 같은 분야에서 현지 제조를 촉진하고, 산업 내 투자와 개발을 지원하며, 인프라·라이선스·홍보 지원을 제공하는 IDA의 임무와 맞닿아 있다. 또한 산업 부문과 중소기업(SME)의 성장을 위해 전시회, 정부 기관, 전문가들을 연결해 가시성과 네트워킹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Egypt Projects는 IDA의 목표를 뒷받침한다. 수출위원회(Export Council) 역시 주요 후원기관으로 참여하여 이집트의 산업성장과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지원 의지를 확인할 수 있었다.
2016년 출범 이후 Egypt Projects는 건설 산업의 대표적인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해 왔다. 주요 전시업체, 정부 기관, 업계 전문가들을 한자리에 모으는 동시에 실질적인 비즈니스 성과를 창출하는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매년 80%에 달하는 재참가율은 이 행사가 제공하는 기회가 얼마나 독보적인지를 잘 보여준다.
2025년 전시회의 특징
2025년 전시회는 Stonex Expo(국제 대리석·화강암 전시회)와 Wire & Tube Egypt(전선·케이블·튜브 산업 핵심 전시회)이 동시에 개최되면서 그 위상이 더욱 높아졌다.
Stonex Expo는 이집트의 대리석과 화강암 산업 성장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집트는 세계 최대 대리석·화강암 생산국 중 하나로,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시장에 다량 수출한다. Stonex Expo를 Egypt Projects와 함께 개최함으로써 이집트 석재의 글로벌 시장에 홍보 효과가 높아지고, 현지 기업들이 채석 및 가공의 첨단 기술을 접하며, 해외 수입업자·유통업자·건설사도 접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통해 이집트는 글로벌 천연석 분야에서 선도적 공급국으로 자리매김하며, 정부의 수출 확대 목표에 기여하고 있다.
Wire & Tube Egypt는 인프라, 에너지, 산업 프로젝트 전반에서 급증하는 이집트의 전선·케이블·튜브 제품 수요를 뒷받침하는 플랫폼이다. 건설, 발전, 교통 분야에서 투자가 가속화되면서 고품질 전선이나 튜브 제품에 대한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 전시회는 현지 제조업체를 글로벌 공급업체와 연결하고, 첨단 생산 기술을 소개하며, 이집트 기업들의 수출 기회를 촉진한다. Egypt Projects와의 동시 개최를 통해 Wire & Tube Egypt는 이집트를 지역 건설·산업 개발 허브로 자리매김하게 하고, 국제 시장과의 연계를 더욱 강화한다.
올해 행사에는 여러 국내외 주요 기업들이 후원사로 참여하여 이집트 건설 부문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준다. 대표적인 참가 기업은 다음과 같다.
<Egypt Projects 2025에서의 주요 참가기업>
기업명
국가/소속
주요 분야 및 특징
Ermak Makina
터키
콘크리트 블록 기계(보도블록, 연석, 중공블록), 타일 프레스, 연마·절단 기계, 콘크리트 배칭 플랜트, 믹서(Milano 포함), 자재 운반 시스템
Knauf Egypt
독일
(Knauf 그룹 소속)
석고보드 시스템, 건축자재, 단열재 분야 글로벌 선두주자. 90개국 이상, 250개 생산시설 운영, 수만 명 고용
German Chemicals
이집트
에폭시·시멘트·실리콘 단열 시스템, 에폭시 바닥재 및 표면 보호, 세라믹·대리석·석재 접착제, 콘크리트 첨가제 및 그라우트 자재
Insumat
이집트
(Osman Group)
1974년 설립, 이집트·중동·아프리카의 대표적 건설 화학기업
INSUTECH
이집트
1987년 설립, 단열재·건설·포장·장식 기술 및 솔루션 제공
QMC
이집트
선도적 턴키 엔지니어링 및 건설 시공업체
[자료: Egypt Projects 전시회 홈페이지]
국제 기업과 현지 기업이 함께 Egypt Projects 2025를 후원한 것은, 급격한 도시화, 인프라 프로젝트, 정부 주도 정책에 힘입은 이집트 건설시장의 잠재력에 대한 강한 신뢰를 보여준다. 전시회는 기계, 건축 자재, 건설 화학제품, 턴키 시공까지 아우르는 완전한 가치 사슬을 제시하며, 파트너십·기술 이전·합작투자의 기회를 창출한다. Knauf와 Ermak 같은 글로벌 기업은 첨단 기술을 제공하는 반면, German Chemicals, Insumat, QMC와 같은 현지 기업은 비용 효율적이고 시장 적응력이 뛰어난 솔루션을 제공한다. 이러한 조합은 경쟁을 심화시키는 동시에, 이집트를 국내 수요와 역내 수출 시장을 모두 아우르는 건설·건축자재 허브로 부상하게 한다.
전시회 현장 스케치
Egypt Projects 2025는 두 개의 홀로 구성되었으며, 한 개 홀은 Egypt Projects 참가업체 전용으로, 다른 홀은 Stonex Expo와 Wire &Tube Egypt 전용으로 사용됐다.
국가별 참가 현황
올해 전시회에는 약 14개국 230개 기업이 참가하여 작년 10개국 대비 약 40% 증가했다. 주요 참가국은 중국(85개사), 터키(9개사), 독일(9개사), 이탈리아(5개사), 영국(3개사) 등이 있으며, 스페인, 네덜란드, 캐나다, 스위스, 사우디아라비아, 프랑스도 참여했다.
이집트에서는 78개사가 참가했다. ACC Construction Chemicals L.L.C.(건설 화학제품 및 특수 모르타르 개발·제조·판매기업), Chemicals for Modern Building(CMB)(건설용 특수 화학제품을 제조·수출하는 이집트의 기업), Jazeera Paints(중동 지역의 선도적인 페인트 제조업체), Misr Elevators(고급 승강 설비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 등이 참가했다.
<Egypt Projects 2025의 주요 이집트 부스>




[자료: KOTRA 카이로 무역관]
해외기업 중 중국기업이 전체 참가 기업의 약 40%를 차지하며, 시멘트·콘크리트, 콘크리트 기계·제품, 건설 도구, 코팅 및 건설 화학제품, HVAC, 페인트, 바닥재 및 마감재, 파이프·튜브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있다. 이러한 대규모 참여는 중국이 이집트의 초대형 인프라 프로젝트와 도시 개발에 깊이 관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중국 건설사는 경쟁력 있는 가격, 금융 패키지, 대규모 프로젝트 수행 경험을 제공하며, 일대일로 정책과 국가 차원의 금융 지원이 중국 기업의 활발한 해외 활동을 뒷받침하고 있다.
반면, 이번 전시회에는 한국 기업의 참여가 전혀 없었다. 그러나 앞서 진행된 여러 인터뷰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한국 기업은 다양한 분야에서 이집트 시장에 진출할 높은 잠재력을 보유한다.
이번 전시회에는 약 1만 7000명이 참관했으며 작년 1만 2000명 대비 41.6% 증가했다. 전시 주최사인 Arab German International Exhibitions의 마케팅 매니저 Ehab Salah는 Egypt Projects가 수백 명의 건설 전문가를 한자리에 모아 다양한 혁신 제품과 솔루션을 전시·발견할 수 있는 기회라고 설명한다. 이번 참관객들은 건설업계의 시공사, 개발사, 건축가, 수입업자, 트레이더, 컨설턴트 등으로 다양하다고 전했다.
주요 전시 제품
주요 전시 품목군은 건축 자재, HVAC(냉난방·환기 설비), 배관·파이프·수처리 및 펌프, 세라믹·대리석·바닥재, 건설 도구, 철강 및 철강 구조물, 조명·전기·홈 액세서리, 조경 및 정원 장식, 코팅·화학제품·접착제 등이 있다.
<Egypt Projects 세부 전시 품목>
구분
주요 품목
건축 자재
콘크리트 제품, 프리캐스트 구조물, 석고 제품, 벽돌, 시멘트 블록, 시멘트, 볼트·스크류·경첩, 배칭 플랜트, 시멘트 플랜트, 철강 제품 및 시멘트 관련 자재
HVAC(냉난방·환기 설비)
물·공기·증기 분배 시스템, 열 발생 시스템, 보일러, 난방 시스템, 환기 및 덕트 시스템, 에어컨, 공기 여과 및 청정 기술
배관·파이프·수처리 및 펌프
PVC/UPVC/고압 파이프, 피팅·밸브·구조용 튜브, 수처리 장비(음용수·산업·폐수), 기어·유압·압축공기·증기용 펌프
세라믹·대리석·바닥재
세라믹, 석재, 타일, 대리석, MDF/HDF 바닥재, 화강암, 목재 바닥재
건설 도구
비계·골조, 패스너(볼트·스크류·경첩), 현장 청소 도구(철거·석면 제거·분류·폐기물 처리), 알루미늄 프레임·구조물, 발전 시스템
철강 및 철강 구조물
철강 제품, 조립식 건물, 샌드위치 패널, 판금, 저장 시스템
조명·전기·홈 액세서리
조명 시스템, 램프, 샹들리에, 케이블·전선, 전력 시스템(고·저전압 제어), 스마트 홈 솔루션, 섬유, 장식용 목재·철제 제품
조경 및 정원 장식
테라스, 수영장, 야외 조경 및 장식품
코팅·화학제품·접착제
페인트, 코팅제, 벽 마감재, 단열재, 방수재, 건축 화학제품 및 접착제
[자료: Egypt Projects 전시회 홈페이지]
바이어 현장 인터뷰
(1) Mrs. Fatma Awaad(CMB, 수입·수출 매니저)
파트마 아와드 매니저는 이집트 건설시장이 지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 중 하나라고 말한다. 대규모 도시 개발 프로젝트, 정부 주도 투자, 부동산 호황이 성장의 원동력이며, 인프라와 주택, 상업 시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건설 산업이 풍부한 기회를 제공한다고 설명한다.
그녀는 또한 CMB가 과거 한국 기업인 S사와 M사로부터 각각 플라스틱 가공 기계와 폼시트 압출 라인을 수입한 경험을 언급한다. 이 장비들은 첨단 기술력을 보여주었으며, 만족스러운 협력이었다고 평가한다. 따라서 CMB는 앞으로도 한국 기업과 협력을 확대할 의향이 있다고 밝힌다.
그녀는 한국 기업이 이집트 시장에서 더욱 존재감을 높일 수 있는 분야로 특수 코팅 및 화학제품을 꼽는다. 이집트에는 장식용 페인트 생산 기업은 있지만, 특수 코팅과 첨단 화학제품은 대부분 수입에 의존한다고 설명한다. 한국 기업은 친환경 코팅, 나노 기술, 항균 코팅 등에서 강점이 있어 장식용 페인트, 보호용 코팅, 친환경 안료, 방수제, 스마트 코팅이 유망하다고 강조한다.(2) Mr. Ahmed Fathi(El Marakby for Steel, 마케팅·영업 이사)
아흐메드 파티 이사는 이집트 철강 시장이 이미 대규모이고 역동적인 시장이라고 설명한다. 그는 정부 지원과 인프라 개선이 성장세를 뒷받침하지만, 원자재 수입 의존, 외화 부족, 노후 설비, 수요 변동이 장애 요인으로 존재한다고 말한다. 그러나 한국기업은 첨단 철강 기술, 친환경 및 고품질 제품, 특수 평강과 구조 제품, 효율적인 공급망을 통해 충분히 기회를 찾을 수 있다고 평가한다.
그는 한국기업과의 직접적인 협력 경험은 없다고 밝혔지만, 한국 제품이 시장에서 신뢰성과 높은 품질로 인정받고 있음을 강조했다. 따라서 향후 협력 기회를 모색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그는 한국기업이 건설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주요 분야로 스마트·그린 빌딩 솔루션, HVAC, 재생에너지 시스템, 중장비, 프리팹 주택, 고급 마감재, 수처리 기술, 스마트 조명 및 전기 인프라를 언급했다. 또한 한국의 강점이 이집트의 개발 목표와 맞으며, 한국 제품은 중국산 저가 제품보다 선호된다고 말한다. 이집트 정부도 국제 협력을 통해 기술 역량을 높이려 하므로 한국기업과 협력할 기회가 많다고 강조한다.(3) Eng. Mohamed Elwy(Arab Contractors, 사업개발 매니저)
모하메드 엘위 매니저는 이집트의 대규모 인프라 및 주택 개발로 인해 철강, 기계, 스마트 시스템, 페인트, 화학제품, 재생에너지 분야에서 장기적인 수요가 존재한다고 설명한다. 그는 교통 인프라와 도시 확장, 에너지 다변화, 지속 가능성 프로젝트가 주요 요인이라고 덧붙인다.
그는 앞으로 한국기업과의 협력 방식으로 교육, 지식 이전, 재생에너지, 제조(특히 철도 차량 제조) 등을 제안한다. 카이로 메트로 프로젝트에서 현대 로템이 참여한 사례를 언급하며, 한국과 이집트 간 인프라 협력이 충분히 가능하다고 평가한다. 또한 아랍 컨트랙터스는 향후 토목 공사, 용지 정리 등에서 한국기업과 협력할 수 있다고 말한다.시사점
Egypt Projects 전시회는 한국기업이 첨단 기술, 건설 자재, 스마트 솔루션을 선보일 수 있는 전략적 플랫폼의 역할을 한다. 이 전시회를 통해 참가 기업은 의사결정권자, 정부 기관, 아랍 컨트랙터스 및 오라스콤과 같은 주요 시공사에 직접 접근할 수 있으며, 단순한 공급자가 아닌 기술 파트너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이집트는 신도시, 철도, 주택, 에너지, 인프라를 포함한 1690억 달러 규모의 초대형 프로젝트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다. 이에 따라 HVAC 시스템, 중장비, 프리팹 솔루션, 스마트 건축 자재, 재생에너지 기술에 대한 수요가 강하게 존재하며, 이는 한국기업이 경쟁 우위를 보유한 분야이다. 한국기업은 품질, 혁신, 높은 효율성 등의 강점을 활용하여 현지 및 중국기업이 충족하지 못하는 수요를 메울 수 있다.
이집트는 산업 정책의 하나로 현지 제조 및 기술 이전을 우선시한다. 따라서 한국기업은 합작투자, 라이선스 계약, 현지 조립 설비 구축 등의 고려가 필요하다. 이런 접근 방식은 시장 진입을 쉽게 할 뿐만 아니라 이집트의 경제 현지화 전략과도 부합한다.
현재 이집트 건설시장은 중국과 유럽업체가 주도하고 있으며, 이들은 주로 가격 경쟁을 중심으로 한다. 이에 비해 한국기업은 에너지 효율 시스템, 친환경 페인트, 스마트 조명, 고성능 자재 등 기술 기반 솔루션과 사후 서비스 지원을 통해 차별화할 수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이집트 개발업체들이 높이 평가하지만, 저가 경쟁업체들이 충분히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집트의 Vision 2030은 지속 가능한 도시, 재생에너지, 디지털 인프라를 강조하고 있으며, 이는 한국의 강점과 정확히 일치한다. Egypt Projects와 같은 전시회에 참여함으로써 한국기업은 국가적 우선순위와의 정합성을 보여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공 부문 이해관계자 및 투자자와의 신뢰를 강화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한국기업에 Egypt Projects 전시회는 단순한 무역 전시회가 아니라 이집트의 급성장하는 건설 및 인프라 시장으로 향하는 관문이라 할 수 있다. 성공을 위해서는 기술과 품질을 통해 차별화하는 동시에, 현지 파트너십과 제조 기반을 구축하여 장기적인 성장을 확보하는 이중 전략이 필요하다.
자료: EGYPES Project 공식 홈페이지 및 카탈로그(www.egypes.com), 이집트정부 사이트(www.sis.gov.eg), Daily News(www.dailynewsegypt.com),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 건설 전시회, EGYPT Project 2025 전시회 리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이집트 Pharmaconex 2025 전시 참관기
이집트 2025-09-15
-
2
회복세를 보이는 파키스탄 수입 시장 분석
파키스탄 2025-09-15
-
3
태국 2025년 2분기 경제성장률 2.8% 기록
태국 2025-09-15
-
4
Pet Fair Aisa 2025, 반려동물 산업의 미래를 말하다
중국 2025-09-15
-
5
뉴질랜드 국방 역량 강화 계획 발표
뉴질랜드 2025-09-15
-
6
[기고] 프랑스 진출기업의 법인세 신고와 법인세율 15% 적용 조건
프랑스 2025-09-15
-
1
2024년 이집트 자동차 산업 정보
이집트 2024-11-04
-
2
2024년 이집트 가전산업 정보
이집트 2024-10-14
-
3
2021 이집트 ICT 산업 정보
이집트 2022-01-21
-
4
2021년 이집트 자동차산업 정보
이집트 2022-01-20
-
5
이집트 프로젝트 산업 현황
이집트 2022-01-19
-
6
2021 이집트 철강산업 정보
이집트 2022-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