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이집트 Pharmaconex 2025 전시 참관기
  • 현장·인터뷰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문숙미
  • 2025-09-15
  • 출처 : KOTRA

이집트 Pharmaconex2025에 40개국에서 350개 기업 참가, 참관객 1만 3500명 방문

Pharmaconex 의약품원료(API) 관련 52개사 참여, 가장 높은 관심 보여

API 분야, 클린룸 기술, 의약품 포장재, 포장기계 등 관심 높아

<Pharmaconex Exhibition 2025 개요>

전시회명

Pharmaconex 2025

기간

202591~3(3)

장소

Egypt International Exhibition Center, Cairo(EIEC)

주최

Informa Markets

연혁

2013년 최초 개최, 올해 12회 개최

참가규모

40개국에서 350개 부스 참가, 방문자 약 13,500 명

전시품목

의약품, 원료(APIs) 제약기계, 실험실 장비,

클린룸기술, 포장 솔루션 등

웹사이트

www.pharmaconex-exhibition.com

[자료: Pharmaconex-exhibition 홈페이지]


Pharmaconex 2025는 카이로에서 매년 개최되는 북아프리카 최대 규모의 제약 산업 전시회로, 전 세계 제약 전문가, 공급업체, 규제 기관이 한자리에 모여 제약 산업의 미래를 논의하고 협력 기회를 모색하는 글로벌 허브이다. 아프리카 제약 시장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Pharmaconex는 기업들이 이집트와 북아프리카 시장에서 입지를 구축·확대하는 데 있어 핵심적인 플랫폼 역할을 하고 있다.

 

2025년 전시회에는 350개 이상의 기업과 40여 개국 대표단, 1만 3500명이 넘는 참관객이 참여했으며, 이는 전년 대비 각각 약 17%, 50%, 59% 증가한 수치로 전시회의 위상을 한층 높였다.

 

2025년 전시회의 특징

 

Pharmaconex 2025는 두 개의 전시장에서 열렸으며, 한 전시장은 제약 장비 전시용, 다른 한 전시장은 제약 원료 전시용으로 운영됐다. 또한 약 70개의 컨퍼런스 세션이 개최되어 API(원료의약품), 무균 제조, 클린룸 기술, 포장, 디지털 전환, 품질 관리 등 제약 산업의 전 가치 사슬을 폭넓게 다루었다


세부적으로는 제약 기업의 특성 9개 전문 분야로 나누어 구성했다. (1) 의약품 및 제네릭 원료(Active Pharmacutical Ingredients) Genetic API), (2) 바이오의약품(Bio Pharmaceuticals), (3) 실험실 장비(Lab Equipments), (4) 정밀화학중간체 및 첨가제(Fine Chemicals, Intermediates, Excipients), (5) 클린룸(Cleanrooms), (6) 포장기계(Machinery & Process), (7) 위탁생산(Contract Manufacturing), (8) 뉴트라슈티컬스(Nutraceuticals), (9) 포장재(Packing) 이다. 

 

<Pharmaconex 2025 전시장 입구>

[자료: KOTRA 카이로 무역관]


참가기업은 이집트에서 41개사가 참가하여 이집트 제약 산업의 위상을 보여주었다. 대표적으로 이집트 구매청 산하 화학·의료기기·의료용품의 수입유통기업인 엘 고무후리아’(E-Gomhouria)가 참가했고, 영국에 본사를 두고 이집트에서 의약품을 제조·공급하는 아스트라제네카(AstraZeneca) 이집트 법인, 의약품을 제조수출하는 이집트의 아문 파마슈티컬(Amoun Pharmaceutical Company S.A.E.), 중동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제네릭 의약품 제조사인 에바 파마(Eva Pharma), 2017년부터 제약 및 의약 추출물 분야에서 전문성을 쌓아온 UGC 파마 (UGC Pharma) 등이 참여했다.

 

<Pharmaconex 2025 참여한 이집트 기업>

[자료: KOTRA 카이로 무역관]

 

해외기업은 인도에서 가장 많은 31개사가 참가했고, 다음은 중국 28개사, 요르단 3개사가 참가했다. 다음은 한국을 비롯한, 미국, 캐나다, 프랑스, 영국, 독일, 오스트리아, 덴마크, 튀니지에서 각 1개사가 참가했다. 분야별로는 올해 가장 많은 기업이 참여한 원료의약품(API) 분야 56개사 중 인도기업이 7개사, 중국기업이 9개사 참여하여 전체의 약 28.5%를 차지했다.

 

<Pharmaconex 2025에 참여한 외국기업 및 한국기업>

[자료: KOTRA 카이로 무역관]

 

한국에서는 PHL Inter Pharma, 1개사가 참가했다. PHL Inter Pharma는 한국의 의약품 수출업체인 PHIL International2004년에 설립한 기업이다. 초기에는 연질 캡슐(Softgel)과 크림·연고류 생산으로 기업활동을 시작했으며, 이후 주사용 세팔로스포린 항생제 분말, 경질 캡슐, 건조 시럽, 건강 보조용 연질캡슐 생산으로 비즈니스를 확장하며 전용 생산시설을 갖추고 꾸준히 성장해 왔다.

 

이집트 제약 컨퍼런스(Egypt Pharma Conferences): 전시회와 함께 개최된 PharmaconexCPD 인증 컨퍼런스는 제약업계가 직면한 최근 과제와 혁신에 대한 심도 있는 통찰을 제공했다. 규제 체계와 시장 접근, 제약 투자와 인프라 개발, 의약품 개발, 연구개발(R&D), 제형 최적화 사례 등이 주요 논의 주제로 다루어졌다.

 

클린룸 테크놀로지 엑스포(Cleanroom Technology Expo): 무균 제조(sterile manufacturing)GMP 준수에 관심이 높은 기업들을 위해 클린룸 솔루션 존(Cleanroom Technoloy Zone‘을 마련했다. 이 공간에서는 의약품의 오염 제어 시스템, 혁신적인 모듈식 클린룸 설계 방식, 제약업계와 관련된 공기 처리·여과·HVAC 시스템이 소개됐다. 클린룸 기술 분야에 특화된 전시로 인해 Pharmaconex는 이 지역의 가장 중요한 클린룸 기술 전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Pharmaconex 2025 클린룸 기술 존>

[자료: KOTRA 카이로 무역관]

 

헬스 & 웰니스 존(Health and Wellness Zone): 헬스 & 웰니스 ZONE은 이집트 국가식품안전청(National Food Safety Authority)과 협력하여 뉴트라슈티컬을 알리는 역할을 하였다. 뉴트라슈티컬은 영양소를 보충 식단으로 제공하고 일부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도 도움을 주는 영양 성분의 제형으로 최근 이집트 및 역내에서 점차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현상을 반영한 전시회 구성이다.

 

현지화 생산 지원(Powering Localized Production): Pharmaconex는 아프리카 국가들이 제약 분야의 현지 생산을 유치하고자 하는 흐름을 반영했다. 이번 전시회는 기술 이전, 위탁 생산, 의약품 제조에 필요한 장비 및 자동화 기계 공급업체 등 제조와 관련된 솔루션을 제공했다.

 

바이어 현장 인터뷰

 

(1) F(실험장비, 클린품 기술 등 과학적 분석 장비의 선도기업)CEO A씨 인터뷰

 

A씨에 따르면, 이집트는 제약 강국으로 계속 성장하고 있으며, 170개 이상의 제조시설을 통해 국내 제약 수요의 약 80%를 충족하고, 매년 15000만 팩 이상의 의약품을 공급하고 있다. 2024/25년 수출은 약 15억 달러 규모이다. 

 

그는 Pharmaconex 2025가 이집트의 제약산업에 필요한 기술 서비스를 연결하는 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즉 전시회를 통해 API 생산업체, 클린룸 전문가, 의약품 인증 등 의사결정권자들을 만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무균 제조, 디지털 전환, 장비 밸리데이션 등 기술 컨퍼런스 세션에 참여함으로써 전문 지식을 공유하고 컨설턴트 및 서비스 파트너와 네트워크를 강화할 기회가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그는 이집트 기업들이 특히 협력이 필요한 분야에 대해 이집트 기업들이 주로 원료의약품(API), 바이오테크, 첨단 연구개발 분야에서 해외기업과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전한다. 이집트가 단순 제네릭 의약품 생산국에서 의약품 허브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해외기업과의 협력이 필요하다고 한다. 특히 한국이 바이오 밀러 분야에서 글로벌 선도주자이며, 한국기업들이 신약 개발, 종양학, 면역치료, 유전자/세포 치료제에 막대한 투자를 하며 FDA·EMA·WHO 기준을 충족하는 세계적 수준의 GMP 인증시설을 보유하고 있다고 하며, 이집트와 협력 가능성이 다양하다고 덧붙였다.

 

(2) P(실험실용 화학물질을 제조·유통기업)의 구매 담당자 T씨 인터뷰

 

T씨는 Pharmaconex 2025가 미래 지향적인 플랫폼이라고 평가했다. 정부 조달 측면에서 효율적이고 신뢰성 높은 네트워크를 쌓을 수 있다고 했다. 클린룸 기술과 디지털화 혁신 기술을 접할 수 있고, 국가 보건 산업 아젠다를 파악하고 업계의 주요 의사 결정자와 네트워크 구축할 기회를 제공한다고 했다.

 

그는 이집트 제약 시장은 국영 기업과 민간 기업 모두가 활발히 참여하는 성숙한 제약 생산 기반을 보유하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인건비에 전문적인 의사와 약사 및 엔지니어들을 확보하고 있어 외국 기업이 투자하기에 매력적인 시장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한국은 인도나 중국의 저렴한 대량 API 공급기업과는 차별적이며 특히 종양학, 바이오테크, 특수 제형 분야에서 고품질 틈새 API와 고급 중간재를 생산한다고 전하며, 한국기업의 바이오테크 리더십, 첨단 연구개발, 세계적 수준의 GMP 인증시설, 수출 경험 등은 이집트의 바이오의약품, 특수 API, 임상연구, 제조 현대화 분야에서 이상적인 파트너가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그는 또한 한국 제약 산업이 유럽 수준의 품질과 바이오테크 혁신을 보다 경쟁력 있는 가격에 제공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되며, 바이오로직스, 첨단 제조, 특수 API, 글로벌 신뢰도 측면에서 강점을 보유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사점

 

Pharmaconex는 한국기업들에게 이집트의 성장하는 제약 시장에 진출하고, 기존 주요 공급국과 경쟁하며, 이집트의 자급자족 및 산업 현대화 비전에 발맞출 수 있는 적절하고 영향력 있는 플랫폼이 될 수 있다.

 

BMI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이집트의 의약품 수입 규모는 31억 달러이며, 2029년에 34억 달러로 전망된다. 2024년 외환위기로 인한 이집트 파운드의 평가 절하에도 불구하고 시장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집트는 원료의약품(API)을 인도와 중국에 크게 의존하는 반면, 기계와 장비는 유럽과 미국에서 들여오고 있다바이어들은 한국기업의 다양한 분야에서 이집트 기업과 협력할 수 있다고 한다. 고급형 API 및 제네릭 분야에서 한국기업이 경쟁력 있는 품질과 제조 역량을 보유하고 있어 협력 잠재력이 높다. 실험실 장비 및 분석기기에서는 한국기업들의 정밀 기술과 자동화 기술, 바이오 기술 등을 보유하고 있어 경쟁력이 높다고 한다. 또 클린룸 시스템 역시 한국기업이 HVAC, 필터, 모니터링 및 밸리데이션 기술로 잘 알려져 있어 유망 분야로 꼽힌다. 무엇보다 포장 및 기계 분야는 한국기업들이 고품질·고효율 충전 및 포장기계로 글로벌 시장에서 오랫동안 인정을 받아온 분야로 이집트 시장을 공략에 경쟁 우위를 지닌 유망 분야라고 한다.

 

최근 한국 의약품은 전세계적으로 우수성을 인정받아 이집트의 의약품 참조국 리스트에도 이름을 올렸다. 이집트에서도 한국 의약품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는 만큼, 우리기업들은 각자 경쟁력 있는 분야로 이집트 시장에 진출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집트 진출 시에는 이집트의 의약품 관련 규제 준수, 의약품 가격 통제 정책, 환율 변동 문제, 치열한 현지 경쟁 상황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

 

 

자료: Pharmaconex 공식 웹사이트(www.pharmaconex-exhibition.com), BMI 보고서 2025(3분기),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 Pharmaconex 2025 전시 참관기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