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국 2025년 2분기 경제성장률 2.8% 기록
- 경제·무역
- 태국
- 방콕무역관 이태형
- 2025-09-15
- 출처 : KOTRA
-
태국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NESDC)는 2025년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2.8% 성장했다고 발표
NESDC는 '25년 상반기 전체 성장률은 3.0%로 집계한 한편, 2025년 경제성장률을 1.8~2.3%로 전망
상무부에 따르면, 태국 수출은 2025년 7월 누계 기준 195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4.4% 증가, 수입은 1952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0.6% 증가하여 무역흑자 260억 달러를 기록
태국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NESDC)는 2025년 2분기 국내총생산(GDP)이 전년 동기 대비 2.8% 성장했다고 발표했다. ‘25년 1분기 3.2%보다 둔화된 수치로, 계절조정 기준 전 분기 대비 성장률은 0.6%였으며, 2025년 상반기 전체 성장률은 3.0%로 집계되었다. 한편, NESDC는 2025년 경제성장률을 1.8~2.3%로 전망했다.
<2023년 1분기~2025년 2분기 태국 경제성장률 추이>

[자료: 태국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25.08.)]
태국 주요 경제지표
주요 경제기관들은 2025년 태국 경제성장률을 2.1% 수준으로 전망했으며, 태국중앙은행(BOT)은 2026년 경제성장률을 1.7%로 전망했다. 세계은행(World Bank)은 최근 글로벌 무역 정책 변화, 수출 부진, 소비 둔화, 관광 회복세 둔화 등의 영향으로 태국의 GDP 성장률을 2025년 1.8%, 2026년 1.7%로 전망했다. 다만 투자 심리가 개선될 경우 성장률이 각각 2025년 2.2%, 2026년 1.8%까지 높아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경쟁력 강화는 투자 유치와 경제 활동을 보다 혁신적이고 생산적인 글로벌 가치사슬로 전환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아울러 태국의 공공 부채는 아직 재정적으로 지속 가능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고령화로 인한 공공 서비스 수요 증가와 성장 촉진을 위한 투자 확대에 따라 지출 압박이 커지고 있다는 점이 과제로 지적됐다.
<태국 주요 경제지표>
(단위: %)구분
2022
2023
2024
2025 전망
실질 GDP
2.6
2.0
2.5
1.8~2.3
민간소비
6.2
6.9
4.4
2.1
정부소비
0.1
△4.7
2.5
1.2
민간투자
4.6
3.1
△1.6
1.0
정부투자
△3.9
△4.2
4.8
5.2
수출
6.2
2.4
7.8
5.1
수입
3.4
△2.5
6.3
2.7
[자료: 태국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25.08.)]
(단위: %)
기관명(전망일)
2025(%)
2026(%)
태국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25.08.)
2.3~3.3
-
태국 중앙은행(’25.06.)
2.3
1.7
태국 재정정책실(’25.07.)
2.2
-
세계은행(’25.07.)
1.8
1.7
국제통화기금(’25.04.)
1.8
1.6
카시콘 리서치(’25.09.)
1.8
-
끄룽스리 리서치(’25.09.)
2.1
-
끄룽타이 은행(’25.08.)
2.0
-
[자료: 기관별 홈페이지, KOTRA 방콕 무역관 종합]
교역
태국 상무부의 무역통계자료에 따르면, 태국 수출은 2025년 7월 누계 기준 1954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4.4% 증가, 수입은 1952억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10.6% 증가하여 무역흑자 260억 달러를 기록했다. 태국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NESDC)는 미국이 태국산 제품에 19% 관세를 확정하면서 불확실성이 줄었으며, 이는 예상치 18%보다 다소 높지만 역내 경쟁국과 유사한 수준이어서 경제 충격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고 평가했다. 또한, NESDC는 올해 경제 운영 과제로 무역 보호주의 대응, 국내 산업 보호, 중소기업 금융 지원 등을 제시했다.
(단위: 백만 달러)
구분
2021
2022
2023
2024
2025(1~7월)
수출
272,006
287,425
285,074
300,740
195,433
수입
267,343
301,030
288,509
305,523
195,173
무역수지
4,663
△13,605
△3,435
△4,783
260
[자료: 태국 상무부(MOC)]
2025년 7월 누계 교역액 기준 태국의 상위 5개 교역국은 중국, 미국, 일본, 말레이시아, 대만 순으로 한국은 태국의 수입 9위, 수출 12위를 기록하며 총교역액 기준 13위를 기록했다.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
수출
수입
교역액
증감률
1
중국
24,548
59,164
83,713
28.5
2
미국
39,708
12,333
27,374
24.2
3
일본
13,702
17,395
31,097
3.9
4
말레이시아
7,636
8,534
16,170
5.4
5
대만
3,295
12,219
15,514
-3.8
13
한국
3,497
5,602
9,099
0.7
[자료: Global Trade Atlas('25.09.09.), 태국 상무부(MOC)]
HS Code 4자리 기준 2025년 상반기 태국의 주요 수출 품목은 컴퓨터, 통신기기, 금, 자동차, 전자집적회로 순이다. 주요 수입 품목은 원유 및 역청유, 전자집적회로, 금, 컴퓨터, 천연가스 순이다.
<2025년 상반기 HS Code 4자리 기준 태국 상위 5개 수출입 품목>
(단위: US$ 백만, %)
순위
HS Code
수출품목
금액
증감률
수출
8471
컴퓨터
11,852
78.2
8517
통신기기
6,622
23.1
7108
금
6,599
121.5
8703
자동차
5,666
△6.2
8542
전자집적회로
5,464
35.1
수입
2709
원유 및 역청유
15,735
△6.5
8542
전자집적회로
13,622
8.3
7108
금
10,163
53.8
8471
컴퓨터
4,997
△1.1
2711
천연가스
4,592
△5.5
[자료: Global Trade Atlas(’25.09.09.), 태국 상무부(MOC)]
태국 상무부(MOC)의 소비자 물가지수(CPI) 지표 발표 자료에 따르면, 2025년 8월의 국내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동월 대비 –0.79% 하락했고 이는 시장 예상치인 –0.70% 하락보다 다소 더 큰 폭이다. 이 수치는 태국 중앙은행(Bank of Thailand, BOT)이 설정한 물가 상승률 목표 범위인 1.0%~3.0%보다 낮거나, 오히려 하락하는 수준으로, 목표 범위 밖에 있다. 한편, 태국 소비자물가지수에서 가장 중요한 범주는 식품 및 비알코올 음료(전체의 36%), 교통 및 통신(24%), 주택 및 가구(23%) 순이다. 기타 범주로는 의료 및 개인 관리(6%), 여가 및 교육(6%), 의류 및 신발(3%), 담배 및 주류(1%) 순이다.
<2024년 8월~2025년 7월 태국 소비자 물가지수(CPI) 동향>
(단위: %(YoY))

[자료: 태국 상무부(MOC)]
태국중앙은행(BOT)은 최근 발표에서 2025년과 2026년의 물가 상승률이 낮은 수준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BOT는 국제 유가 하락과 정부의 전기·연료 보조금으로 인해 에너지 물가가 크게 떨어지면서, 2025년과 2026년 헤드라인 인플레이션은 각각 0.5%, 0.8%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반면, 원자재와 식품 가격 부담이 점진적으로 반영되면서 근원 인플레이션은 2025년 1.0%로 2024년(0.6%)보다 다소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경제 성장 둔화와 에너지 가격 하락세를 감안할 때, 근원 인플레이션이 크게 가속화되지는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단위: %)
구분
2024
2025
2026
물가상승률
0.4
0.5
0.8
근원 인플레이션
0.6
1.0
0.9
[자료: 태국 중앙은행(BOT)]
소비자 신뢰지수
<2024년 7월~2025년 7월 태국 소비자신뢰지수(CCI) 월별 추이>

[자료: 태국 상공회의소대학교(UTCC) 경제 비즈니스 예측센터(CEBF)]
환율

[자료: 태국 중앙은행(BOT)]
시사점
태국의 2025년 2분기 경제성장률은 2.8%로, 1분기(3.2%)보다 둔화되었으나 상반기 전체로는 3.0%를 기록했다. NESDC는 올해 성장률을 1.8~2.3%로 전망했으며, 세계은행과 IMF 등 주요 기관도 유사한 수준을 제시했다. 미국의 대태국 상호관세가 19%로 확정되며 불확실성은 줄었지만, 수출 둔화와 투자 위축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다. 특히 전자·전기 산업의 미국 시장 점유율 하락이 우려되고, 소비 둔화와 정치 불안정도 내수 회복을 제약하는 요인으로 지적된다. 공공 부채는 아직 지속 가능한 수준이지만, 고령화에 따른 재정 부담과 낮은 물가 상승률은 경제 활력을 약화시키는 요소다. 결국 하반기 이후 태국 경제는 무역 환경, 투자심리 개선, 정부의 재정·통화정책 대응에 따라 성장세 유지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작성: KOTRA 방콕무역관 박원주, 이태형
자료: 태국 재정정책실(FPO), 재무부(MOF), 통화정책 위원회(MPC), 태국 중앙은행(BOT), 상공금융연합회(JSCCIB), Kasikorn Research, Krungthai Bank(KTB), 태국관광체육부(MOTS), 태국 상무부(MOC), 태국 산업경제국(OIE), 태국 공공부채관리실(PDMO), 태국 상공회의소대학교(UTCC), 경제 비즈니스 예측센터(CEBF), 국가경제사회개발위원회(NESDC), 태국 투자청(BOI), 태국 산업연맹(FTI), Global Trade Atlas(GTA), 세계은행(The World Bank), Economist Intelligence Unit(EIU) The Nation Thailand, Bangkok Post 및 KOTRA 방콕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태국 2025년 2분기 경제성장률 2.8% 기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미국 컴퓨터 모니터 시장동향
미국 2025-09-12
-
2
말레이시아, 경제개발계획 13차 말레이시아계획(13MP) 발표
말레이시아 2025-09-15
-
3
일본 메모리반도체 시장동향
일본 2025-09-10
-
4
중국 산업용 로봇 시장 동향
중국 2025-09-09
-
5
중국 스마트 센서 시장 동향
중국 2025-09-12
-
6
중국 디스플레이 구동 칩(DDIC) 시장 동향
중국 2025-09-08
-
1
2025년 태국 데이터 센터 산업 정보
태국 2025-05-30
-
2
2025년 태국 보석산업 정보
태국 2025-03-06
-
3
2024년 태국 금융산업 정보
태국 2024-05-10
-
4
2024 태국 물류산업 정보
태국 2024-04-11
-
5
2024 태국 건설산업 정보
태국 2024-04-09
-
6
2024년 태국 관광산업 정보
태국 2024-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