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러시아 가구(의자) 시장 동향
  • 상품DB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25-09-17
  • 출처 : KOTRA

IKEA 철수 이후 자국 브랜드 부상…한국산 점유율 확대 추세

친환경 디자인·철제 사무용 가구·온라인 유통 수요 확대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제품명

9401.80

의자(기타)

9401.99

의자 부분품(목재 아닌 것)


시장동향

 

<2020~2024년 러시아 가구 판매량>

(단위: 백만 개)

[자료: BusinesStat]

 

최근 5년간 러시아 가구 시장은 생산과 소비 모두 증가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기록했다. 시장조사기관 BusinesStat에 따르면, 2024년 가구 판매량은 2020년 5300만 개에서 8800만 개로 66% 증가했다. 2021년에는 팬데믹 여파로 재택근무가 확산되면서 주거공간의 기능성과 쾌적성에 대한 수요가 확대됐다. 같은 해 주택 건설 증가와 낮은 재융자율도 수요 증가를 뒷받침했다. 2022년에는 제재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시장에서 철수한 브랜드에 대한 대체 수요와 제조사의 마케팅 확대에 힘입어 성장세를 유지했다. 환율 불안정과 공급 불확실성 속에서 소비자들은 주택 인테리어 시공, 가구 구입 등을 조기에 마무리하는 모습을 보였다. 2023~2024년에는 시장 포화와 금리 인상으로 성장세가 다소 둔화됐다. 다만, 주택 분양 계약 증가와 신규 주택 준공 확대가 수요를 지탱했고, 풀 퍼니시드 아파트 공급 확대도 시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2020~2024년 러시아 가구 생산 규모>

(단위: 십억 RUB)

[자료: Delovoy Profil]

 

러시아 가구·목재가공산업협회(АМДПР)에 따르면, 전체 가구 생산량은 2020년 4370만 개에서 2024년 7570만 개로 증가했으며, 생산액은 같은 기간 2270억 루블에서 5220억 루블로 확대됐다.

 

디자인 트렌드 측면에서는 미니멀리즘, 실용성, 자연 소재 기반의 인테리어 수요가 지속되고 있다. 2025년에는 지속가능성과 친환경성이 주요 키워드로 부상했다. 재활용 소재 활용, 자원 절약형 생산 방식이 핵심 흐름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재생 원료를 사용한 가구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케아(IKEA)의 철수 이후에도 스칸디나비아풍 디자인에 대한 선호는 유지되고 있다. 천연 소재와 부드러운 색감, 곡선 중심의 디자인은 앞으로 장기간 인기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2022-2024년 러시아 의자 부분품(HS Code 9401.99) 수입 통계>

(단위: US$ 천, %)

순위

수출국

2022

2023

2024

증감률

('24/'23)

점유율

(2024)

전세계

109,602

90,135

95,704

6.2

100

1

중국

41,437

59,422

60,749

2.2

63.5

2

한국

18,260

14,558

22,109

51.9

23.1

3

이란

662

2,298

3,495

52.1

3.7

4

태국

230

411

1,602

289.9

1.7

5

폴란드

10,029

1,933

1,532

-20.8

1.6

6

이탈리아

1,723

1,161

1,479

27.3

1.5

7

튀르키예

4,793

1,668

1,261

-24.4

1.3

8

리투아니아

1,710

1,515

991

-34.6

1

9

카자흐스탄

237

231

867

275.2

0.9

10

스리랑카

N/A

5

596

12,595

0.6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07.18.]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러시아의 HS Code 9401.99(의자 부분품) 수입은 2022~2024년 사이 점진적으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2023년에는 러-우 사태 영향으로 수입액이 전년 대비 약 18% 감소한 9013만 달러에 그쳤으며, 이는 제재 및 물류 제약에 따른 전반적인 수입가구 축소에 따른 것으로 파악된다.

 

2024년에는 수입 회복세를 보이며 총 9570만 달러를 기록했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6075만 달러로 1위를 차지했으며, 한국은 2211만 달러로 2위를 기록하며 수입 점유율 23.1%를 차지했다. 이어서 이란(3.7%), 태국(1.7%), 폴란드(1.6%) 등이 주요 수입국에 이름을 올렸다.

 

러시아 가구·목재가공산업협회(АМДПР)에 따르면, 최근 가구 시장에서는 수입 의존도 감소가 두드러지고 있다. 전체 소비 중 수입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41.3%에서 2024년 20.7%로 감소했으며, 2025년에는 18.7%까지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같은 기간 내수 생산 비중은 58.7%에서 2025년 81.3%까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지정학적 불확실성 속에서 수입대체 및 국산화 확대 정책이 성과를 내고 있음을 시사한다.

 

경쟁동향

 

러시아 가구 산업의 수입대체화는 대부분 IKEA 철수에 따른 대체 수요에서 비롯됐다. 러시아 가구 기업 Grand가 의뢰한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IKEA를 대체한 브랜드로는 Hoff, Shatura, Lemana PRO( 레로이메를랭), Askona, Mnogo Mebeli 등이 가장 많이 언급됐다.

 

2021년 기준 약 20%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던 IKEA의 공백은 점진적으로 러시아 업체들이 채워 나갔다. 특히 IKEA와 협력관계였던 기존 하청업체들이 핵심 공급자 역할을 수행했다. 예컨대, 의자는 Runko Group, 가죽 소파는 Kozhprommebel, 스툴은 Povolzhskiy Fanerno-Mebel'nyy Kombinat가 생산을 이어갔다. 현재까지 약 20개 내외의 제조업체가 수입대체 생산에 참여했으며, 다수 기업이 자체 브랜드 개발과 제품 라인업 확장에 나서고 있다.

 

<2024년 주요 러시아 가구 업체>

업체명

제품 사진

비고

MNOGO MEBELI

ㅇ 기업유형: 대기업

ㅇ 설립연도: 2012년

ㅇ 매장 수: 1000개 이상

ㅇ 매출액: USD 139백만 (2024)

ㅇ 공식 홈페이지:

https://mnogomebeli.com/

Hoff

ㅇ 기업유형: 대기업

ㅇ 설립연도:  2007년

ㅇ 매장 수: 86개

ㅇ 매출액: USD 919백만 (2024)

ㅇ 공식 홈페이지: 

https://hoff.ru/

Shatura

ㅇ 기업유형: 대기업

ㅇ 설립연도: 1992년

ㅇ 매장 수: 600개 이상

ㅇ 매출액: USD 486백만 (2024)

ㅇ 공식 홈페이지:

https://www.shatura.com/

DYATKOVO

ㅇ 기업유형: 대기업

ㅇ 설립연도: 2020년

ㅇ 매장 수: 400개 이상

ㅇ 매출액: USD 1.7백만 (2024)

ㅇ 공식 홈페이지: 

https://dyatkovo.ru/

LAZURIT

ㅇ 기업유형: 대기업 

ㅇ 설립연도: 2007년

ㅇ 매장 수: 530개 이상

ㅇ 매출액: USD 152백만 (2024)

ㅇ 공식 홈페이지: 

https://lazurit.com/

* 환율: 78.86루블/1달러 (러시아 중앙은행 2025.07.25)

[자료: Spark-Interfax, 브랜드별 홈페이지]

 

<러시아 내 의자 제품 및 가격>

제품 유형

사진

가격

사무용 의자,

Chairman 696 (러시아)

RUB 6,897

USD 87.45

사무용 의자,

SU-B-10

(러시아)

RUB 16,128

USD 204.5

사무용 의자,

 Sparx FX-14

Toro Plus

(중국)

RUB 24,180

USD 306.6

사무용 의자,

Falto Duo Gini

(한국)

RUB 21,800

USD 276.4

흔들의자

(러시아)

RUB 17,999

USD 228.2

주방용 의자

(러시아)

RUB 7,999

USD 101.4

푸프 의자

(러시아)

RUB 5,999

USD 76.1

* 환율:  78.86루블/1달러 (러시아 중앙은행 2025.07.25)

[자료: Express Office, Hoff.ru]

 

2024년 러시아 가구 가격은 원자재 및 물류비 상승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유지했다. 이는 생산공정 최적화 및 규모의 경제 확보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중간 가격대는 여전히 일반 소비자가 접근 가능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프리미엄 시장은 고급 소재 사용과 독창적 디자인이 늘어남과 동시에 가격 상승세가 지속됐다.


유통구조

 

<러시아 의자(가구) 시장 유통구조>


[자료: KOTRA 모스크바무역관]  


러시아 가구시장은 온라인 판매 비중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대표적인 온라인 전문 업체로는 HomeMe.ru가 있으며, 자체 생산 및 물류 시스템을 갖춘 대형 온라인 가구 쇼핑몰이다. Divan.ru는 2015년 설립된 가구 전문 그룹으로, 60개 이상의 오프라인 매장을 운영하면서도 온라인 판매를 적극 확대 중이다. 해당 채널을 통한 매출은 2023년 기준 78억 루블에 달했다.

 

Hoff는 IKEA 철수 이후 입지를 확대한 현지 가구 유통망으로, 전국에 대형 점포를 운영하는 동시에 온라인 모델을 도입하며 온라인 비중을 크게 늘렸다. Maxidom도 2022년부터 마켓플레이스 및 모바일 앱 중심의 온라인 판매를 확대했으며, 제품 구성에서 러시아산 비중이 60%까지 상승했다. 이러한 기존 유통망의 변화와 함께, 최근에는 Ozon, Wildberries 등 대형 온라인 마켓플레이스를 통한 가구 유통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오프라인에서는 Hoff가 약 86개의 대형 매장을 운영하며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 도매 유통은 주로 제조공장 및 딜러 네트워크를 통해 이뤄진다. 주요 국내 공급업체로는 Korol Divanov, Litwood, Mikron, Felix, Borovichi-Mebel 등이 있으며, 이들은 Ozon 및 X5 그룹 소속 유통망에도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관세율 및 인증

 

<관세율 및 부가가치세>

(단위: %)

EAEU HS Code

제품명

관세

부가가치세

9401.80.0009

자(기타)

10% + 1kg 당 0.08유로

20%

9401.99.0009

기타

 [자료: EAEU 세관]

 

의자류(HS Code 9401.99 포함)는 유라시아경제연합(EAEU) 기술규정 「가구 제품의 안전성에 관한 규정(TR CU 025/2012)」에 따라 필수 인증 대상이다. 해당 규정은 2014년 7월 1일부터 시행 중이며, 모든 가정용·사무용 가구(맞춤형 포함)에 대해 적합성 선언(DoC)을 발급받아야 한다.

 

단, 어린이용 또는 교육기관용 가구는 적합성 인증서(CoC) 발급이 의무화되어 있으며, 유효기간은 최대 5년이다.

 

인증 신청은 현지에 등록된 사업자만 가능하며, 제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는 공인 시험기관에서 진행한다, 검사 대상에 포함되는 사항은 다음과 같다.

 

- 구성 부품의 견고성 확보 및 날카로운 모서리·돌출물 제거

- 부품 마감 처리(목재·유리 모서리 연마 등)

- 서랍·기구의 고정장치 장착 여부

- 자재의 방염성, 독성, 방사능, 유해물질 여부

- 장기 보관 시 유해한 냄새 유발 여부 등

 

인증 신청 시 제출해야 할 주요 서류는 다음과 같다.

 

- 제품 정보(명칭, 모델명, 용도, 도면, 구조 설명 등)

- 신청 기업의 설립 관련 서류 사본

- 기술조건 또는 적용된 GOST(국가표준)

- 공급 계약서

- 시험성적서(보유 시)


시사점

 

러시아 가구·목재가공산업협회(АМДПР)는 향후 비우호국으로부터의 가구 수입이 단계적으로 제한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2025~2026년 국내 생산 비중이 금액 기준 80% 이상으로 확대될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한편, Analytic Research Group에 따르면 철제 사무용 가구 등 일부 특화 분야는 2028년까지 연평균 14% 성장해 약 1700억 루블 시장으로 확대될 것으로 분석된다. 이는 기술 집약적이거나 전문화된 가구 솔루션의 수입 가능성이 열려 있음을 의미한다.

 

러시아 경제대학(РЭШ) 발레리 체르노키 교수는 2024년 이후 부동산 시장의 냉각이 가구 수요 둔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에 따라 우리 기업은 향후 수요 둔화 가능성을 고려하되, 현재의 실수요에 신속히 대응하여 점유율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

 

 

자료: RBC, Vedomosti, Kommersant, Global Trade Atlas, Globus VED, Spark-Interfax, Consultant Plus,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가구(의자)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