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본 펫테크 열풍, 반려동물과 기술의 스마트한 만남
- 트렌드
- 일본
- 후쿠오카무역관 김광민
- 2025-09-16
- 출처 : KOTRA
-
애완동물에서 가족으로...진화하는 반려동물 문화
일본 반려동물 산업 전반에 스며든 펫테크
일본의 반려동물 시장은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맞추어 다양한 분야로 세분화돼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사료 · 간식 등 식품 산업, 미용 · 패션 등 라이프스타일 산업, 보험 · 호텔 등 서비스 산업이 그 예다. 이 모든 영역을 아우르며 빠르게 성장 중인 산업이 바로 펫테크(PetTech)다.
‘펫테크’란 반려동물을 의미하는 Pet 과 기술을 의미하는 Technology 의 합성어로,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해 반려동물의 건강 관리, 안전, 생활 편의, 그리고 사람과의 원활할 커뮤니케이션을 지원하는 기술 · 서비스를 뜻한다. 고기능 센서로 반려동물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거나 AI 와 연동해 가정 내 환경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등, 반려동물의 삶의 질과 보호자의 편의성을 모두 향상하는 다양한 서비스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펫테크 시장규모 전망
야노경제연구소의 2019년 보고서에 따르면 일본 펫테크 시장 규모는 2017년 약 2억3000만 엔에서 2018년 7억4000만 엔으로 세 배 이상 성장한 뒤, 2023년에는 약 50억300만 엔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 바 있다. 후지경제그룹의 최근 조사에서는 2024년 시장 규모가 61억 엔으로 과거 예측치를 웃돌았으며, 2030년에는 약 73.8% 증가한 약 106억 엔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성장세는 단순한 반려동물용품 시장 수요 확대를 넘어, IoT · AI · 빅데이터 등 첨단 기술이 반려동물 관리와 생활 전반에 빠르게 스며든 결과로 평가된다. 특히 일본은 반려동물에 대한 인식 전환과 인구 구조 변화에 따라 프리미엄 · 맞춤형 서비스에 대한 지출이 꾸준히 늘고 있어 펫테크 역시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왜 펫테크가 주목받는가?
펫테크 산업의 성장 배경은 크게 두 가지로 보인다. 첫째는 반려동물에 대한 정서적 인식 변화이다. 반려동물의 보험 상담 서비스를 운영하는 일본 기업인 주식회사 wizleap 의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535명 중 99.6%가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인식하고 있다고 했다. 이 중 67.1%는 반려동물이 사람과 동등한 가족이라고 응답했으며, 32.5%는 사람을 우선하지만 반려동물도 가족이라고 응답했다. 이러한 흐름은 한국의 신조어 '펫팸족'*과도 맥을 같이 하는데, 일본에서는 이를 반려동물의 가족화(ペットの家族化)라고 표현한다. 즉, 한국뿐 아니라 일본에서도 반려동물은 단순한 애완동물을 넘어 정서적, 사회적 가족의 일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주: 반려동물(pet)과 가족(family)의 합성어로,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생각하며 아끼고 사랑하는 사람들을 의미
<반려동물의 인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자료: 주식회사 wizleap]
둘째는 사회 구조의 변화다. 일본 펫푸드협회의 조사와 닛케이신문 보도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반려동물은 약 1595만 마리로, 같은 해 15세 미만 유소년 인구(약 1400만 명)의 약 1.2배에 이르렀다. 또한 신규 등록 반려동물 수는 큰 변동 없이 2013년 68만 7000마리에서 2024년 80만 3000마리로 소폭 증가했지만, 같은 기간 출생아 수는 102만 9000명에서 68만 6000명으로 감소했다. 즉, 출생아 수가 지속적으로 줄어드는 가운데 반려동물 수는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이러한 수치를 통해 저출생 사회 구조를 가진 일본에서 반려동물이 가정의 동반자로 자리 잡아 가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다.
<2013~2024년 15세 미만 유소년 인구 수와 반려동물 총 수 비교(2024년), 출생아 수와 신규 등록 반려동물 수 연간 비교>
(단위: 만 명, 만 마리)


[자료: 일본 후생노동성(厚生労働省), 일본 펫푸드협회(ペットフード協会)]
다양한 펫테크 상품 및 서비스
펫테크는 반려동물 시장의 여러 영역에 자리 잡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웨어러블형 펫테크는 센서와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해 실시간으로 반려동물의 건강 상태와 행동 패턴 더 나아가 정서 상태까지 체크가 가능한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바이오형 서비스는 유전자 검사와 같은 정밀 분석으로 유전병 예방을 가능하게 하고 반려동물 위탁 서비스는 C2C 플랫폼을 통해 우수한 환경과 신뢰할 수 있는 호스트 매칭을 제공함으로써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펫테크 상품 및 서비스 예시>
카테고리
사진
회사명/상품명
가격 및 특징
웨어러블형 펫테크

주식회사 펫보이스
(株式会社PetVoice)
[PetVoice]
・월 요금 약 9,800원(980엔)
・기계 및 목줄 등의 초기비용 약 52,000원(5,170엔)
・고기능 센서로 체온이나 활동량 등 건강상태 정보를 수집
・인공지능을 통해 이상 징후 감지 및 전달
・원격 기능으로 실시간 조작 및 모니터링 가능
・정보를 토대로 온라인 수의사와 상담 및 병원 예약 가능웨어러블형 펫테크

주식회사 라보
(株式会社RABO)
[Catlog]
・구매 가격 약 150,000원(14,850엔)
・고양이의 식사, 수면 등 활동을 맞춤 분석하고 데이터로 기록 및 비교 열람 가능
・고양이의 스트레스 수치 체크 가능
・AI 기반의 분석으정서 상태상태 감지 및 알림
바이오형
펫테크주식회사 VEQTA
(株式会社 VEQTA)
유전자 검사 키트
・유전병 검사 가격 항목 당 약 50,000원부터(5,000엔)
・검사를 통해 유전질환 리스크 파악 등 건강관리 용이
・반려동물의 연령 추정 및 품종 정밀 분석 가능
서비스형
펫테크
주식회사 DogHuggy
(株式会社DogHuggy)
반려동물 돌봄 매칭 서비스
・숙박비는 1박당 약 50,000원부터(5,000엔)
・반려견 보호자와 '도그 호스트'를 연결하는 C2C 플랫폼
・숙박 외에 산책 및 단기 돌봄도 가능
・2회의 심사 및 면담을 통해 호스트의 신뢰 확보
・케이지 없이 마당이나 호스트의 집에서 일상처럼 지내며 스트레스 감소
[자료: 라쿠텐시장(楽天市場), PR TIMES, 각 회사 홈페이지]
시사점
일본 펫테크 산업은 반려동물의 가족화라는 정서적 변화와 출생아 수 감소 속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반려동물 수라는 사회구조적 변화를 기반으로 밝은 성장 전망을 보인다. KOTRA 후쿠오카 무역관이 후쿠오카시 반려동물 보호자 23명을 대상으로 한 소규모 설문조사에서도 이러한 흐름이 확인된다. 스마트 목줄 등 웨어러블 기기를 이미 보유한 응답자는 3명(약 13%)에 불과했지만, 전체 응답자의 78%에 해당하는 18명이 구매 의향을 밝혀 상당한 잠재수요를 보여줬다. 한 응답자는 “가족에게 투자를 아끼고 싶지 않다”라고 말해 반려동물을 가족으로 여기는 인식을 드러냈다.
전국 규모로 반려동물용품 전문 매장을 운영하는 M 사의 A 부장 역시 KOTRA 후쿠오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프리미엄 간식과 사료의 인기가 지속되고 있으며, 1kg당 3000엔 이상의 고급 사료도 많이 팔리고 있다”라고 언급했다. 그는 반려동물 사료 및 용품 소비자들은 일본 제품만을 선호하지 않아 뉴질랜드 등 해외 제품도 인기를 끌고 있으며, 소비자들이 패키지의 고급스러움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하다고 설명했다. 펫테크 기기 활용에 대해서는 한국이 상대적으로 사용률이 높은 편이지만, 일본에서도 앱과 연동해 사료 급여 시기를 조절하는 기기 등 스마트 기기의 보급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러한 조사와 현장 의견은 일본 시장에서 반려동물을 ‘새로운 가족’으로 바라보는 인식이 꾸준히 확산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일시적 트렌드가 아니라 장기적인 성장 동력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일본 진출을 고려하는 우리 기업은 가족화되고 있는 펫테크 트렌드에 맞춰 감성적 접근을 시도하고 제품과 서비스의 품질과 안정성을 강조하는 한편, ICT 나 AI 등 기술적 강점을 살려 차별화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자료: 후지경제그룹(富士経済グループ), 주식회사 wizleap, 일본 후생노동성(厚生労働省), 일본 펫푸드협회(ペットフード協会), 라쿠텐시장(楽天市場), PR TIMES, 각 회사 홈페이지, KOTRA 후쿠오카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펫테크 열풍, 반려동물과 기술의 스마트한 만남)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태국 펫케어 시장 트렌드: 중가 프리미엄화, 건강·웰빙, 온라인 유통 확대
태국 2025-09-15
-
2
2025 인도 신발산업 정보
인도 2025-09-16
-
3
영국, 노후화 해양 플랫폼 ‘리뉴얼 전략’ 추진
영국 2025-09-15
-
4
동남아 물류 지형을 바꾸는 베트남 항만 개발
베트남 2025-09-15
-
5
일본 'Food Store Solutions Fair 2025' 참관기
일본 2025-09-16
-
6
영국 의료기기 시장동향
영국 2025-09-16
-
1
2025년 일본 조선업 정보
일본 2025-10-16
-
2
2025년 일본 농산물 산업 정보
일본 2025-07-03
-
3
2024년 일본 에너지산업 정보
일본 2024-11-19
-
4
2024 일본 리튬이온 전지 산업 정보
일본 2024-11-18
-
5
2021년 일본 석유산업 정보
일본 2022-01-20
-
6
2021년 일본 의료기기 산업 정보
일본 2022-0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