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러시아 철제 주방용품 시장 동향
- 상품DB
- 러시아연방
- 모스크바무역관
- 2025-09-16
- 출처 : KOTRA
-
시장 회복세 지속되나 수입 의존도 여전… 철제 주방용품 내구재 수요 중심
중국산 점유율 90% 육박, 한국산은 틈새 진출 확대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제품명
7323.99
철제 식탁용품ㆍ주방용품 또는 기타 가정용품
시장동향
HS Code 7323.99는 주방·생활용품, 욕실 액세서리, 레저용품, 가구, 사무용품 등 다양한 제품을 포함한다. 품목 범위가 넓어 시장 규모를 정확히 산정하기는 어렵지만, 철제 주방용품의 생산 및 수입 규모, 전문가 분석을 토대로 추정할 때, 2024년 HS 7323.99의 시장 규모는 약 8500만 달러 이상으로 평가된다.
시장 규모는 2022년 7260만 달러에서 2023년 8620만 달러로 18.7% 증가했으나, 2024년에는 8530만 달러로 소폭 하락했다. 여기에는 러-우 사태 이후 지속된 루블화 가치 하락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 루블은 2022년 달러당 약 68루블에서 2023년 85루블, 2024년에는 92루블까지 절하된 바 있다.
<2022~2024년 러시아의 HS Code 7323.99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 주: 데이터를 통해 규모 추정, 연도별 평균 달러/루블 환율 적용
[자료: Statista(2025.07.09), Global Trade Atlas(2025.07.02),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한편, 다양한 소재를 포함한 전체 주방·생활용품 시장은 변동성이 컸다. 2021년 3억8340만 달러에서 2022년 2억5060만 달러로 급감했으나 2023년 44.5% 반등, 2024년 다시 6.8% 감소해 3억3730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5년은 7.4% 추가 감소가 예상되지만, 중장기적으로는 성장세가 유지될 것으로 보이며 2029년까지 연평균 12.7% 성장할 것이라는 전망도 존재한다.
단기적으로 성장률이 둔화됐지만 주방용품에 대한 수요는 유지되고 있다. 특히 2023~2024년 식기류 등 일부 주방용품과 생활용품 시장은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는데, 이는 ▲가계 구매력 개선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확대 ▲소비자 취향 변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보인다. 실제 주방·생활용품 소매 매출은 2023년 대폭 증가해 1780억 루블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2024년에는 약 13% 성장한 2000억 루블에 근접한 것으로 파악된다.
<2022~2024년 러시아의 전체 주방용품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자료: Statista, 2025.07.09]
생산 측면에서는 2024년 철제 주방·가정용품이 전년 대비 9% 증가했으며, 스테인리스 제품은 89.6% 급증했다. 금속제 옷걸이·선반류 생산도 두 배 이상 확대됐다. 다만 시장의 약 60%는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주요 공급국은 중국과 튀르키예다.
한편, 최근 소비 트렌드는 ▲디자인·실용성 중시 ▲로컬 브랜드 선호 ▲미니멀리즘 확산이 두드러지며, 리테일러 자체 상표(PB) 제품 비중도 확대될 전망이다. 다만 시장의 약 60%는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고, 중국·튀르키예 중심 외국 브랜드가 여전히 시장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2022~2024년 러시아의 HS Code 7323.99 수입 통계>
(단위: US$ 천, %)
순위 (2024)
국가
2022
2023
2024
점유율
(2024)증감률
('24/'23)
합 계
59,483
66,694
60,398
100.0
-9.4
1
중국
50,498
58,782
53,366
88.0
-9.2
2
튀르키예
2,871
2,237
1,911
3.0
-14.6
3
이탈리아
1,152
822
884
1.5
7.5
4
이란
330
433
704
1.2
62.6
5
한국
377
323
589
1.0
82.4
6
슬로베니아
28
112
548
0.9
389.3
7
대만
586
477
392
0.7
-17.8
8
리투아니아
496
525
373
0.6
-29.0
9
폴란드
828
719
341
0.56
-52.6
10
체코
264
317
270
0.4
-14.8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07.02]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러시아의 HS Code 7323.99(철제 식탁·주방·가정용품) 수입은 제재로 인한 교역환경 변화에 따라 등락을 반복했다. 해당 품목은 직접적인 제재 대상은 아니지만, 전반적인 통상 여건의 영향을 받으며 변동성이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2023년 러시아의 해당 품목 수입액은 전년 대비 12.1% 증가했으나, 2024년에는 9.4% 감소한 6040만 달러로 감소했다. 국가별로는 중국이 전체 수입의 88%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비중을 유지했으며, 튀르키예(3%), 이탈리아(1.5%), 이란(1.2%), 한국(1%) 등이 뒤를 이었다.
한국의 대러 수출은 2023년 32만3000달러로 전년 대비 14.3% 감소했으나, 2024년에는 82.4% 증가한 58만9000달러를 기록하며 뚜렷한 회복세를 보였다. 특히, 중국산 제품이 모스크바주·모스크바시·상트페테르부르크 등 유럽 러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유입된 반면, 한국산 제품은 전량 블라디보스토크, 유즈노사할린스크, 사할린주 등 극동 지역을 통해 반입된 점이 특징적이다.
제품별로는 중국이 2단·스탠드형·벽걸이형·장식용 금속 바구니, 밀폐형 철제 캔, 조미료·식기 거치대, 바비큐용 철망, 빨래건조대, 옷걸이 세트 등 다양한 품목을 수출하고 있다. 반면 한국산은 천장형·스탠드형 빨래 건조대, 플라스틱 코팅 옷걸이, 논스틱 제빵틀, 금속 그릴망, 철제 휴지통 등이 주력 수출 품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러시아의 해당 품목 수입이 감소한 가운데 한국이 82.4% 증가한 것은 고무적이며, 특히 중국이 시장을 압도하는 가운데, 한국 기업이 극동을 시작으로 대형 시장인 수도권까지 공략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경쟁동향
러시아의 HS Code 7323.99(철제 식탁·주방·가정용품) 시장은 국가별 공급업체 간 경쟁이 치열하다. 여러 국가에서 제품을 지속적으로 수출하고 있으나, 중국산 제품의 시장 점유율이 압도적이다.
상위 10대 수입 공급업체는 모두 중국계 기업이다. 이 중 Union Source Co. Ltd.가 6.3%의 점유율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주방·가정용품 외에도 가구, 인테리어, 정원용품 등을 수출하는 대형 무역업체로 알려져 있다. Market Union, Ningbo Home Dollar Imp&Exp Corp.가 뒤를 이었다. 이들 기업은 다수의 브랜드를 운영하며, Magnit, Domovoy, Ryzhiy Kot, Dacha 등 현지어 브랜드를 활용한 OEM 공급 방식이 일반적이다.
<러시아 내 HS Code 7323.99 제품 및 가격>
브랜드명(생산지)
제품 사진
제품 설명/특징
가격
해외 제품
Mallony
(중국)

다용도 보관용기
(900ml, 양철, 원형)
RUB 423
US$ 5.4
Honey Kitchen
(중국)

양념통 세트(유리병 6개,
회전식 받침대 포함)
RUB 1,107
US$ 14.0Frabosk
(이탈리아)

양념통 세트
(5종, 스테인리스·유리,
받침대 포함)
RUB 6,107
US$ 77.5Primanova
(튀르키예)

수저통
(스테인리스·ABS)
RUB 1,263
US$ 16.0Forester
(중국)

그릴망(접이식 손잡이,
스테인리스, 24×31cm)
RUB 1,693
US$ 21.5Rozenpik
(한국)
그릴망
(스테인리스, 31×62cm)
RUB 1,039
US$ 13.2Meibanju
(중국)

벽걸이형 빨래건조대
(3단, 접이식, 하중 50kg)
RUB 4,194
US$ 53.2Artex
(한국)

천장형 발코니 건조대
(길이 190cm, 건조 7.6m)
RUB 5,347
US$ 67.8러시아 제품
Mezo
(러시아)

양념통 세트
(6종, 회전식 받침대 포함)
RUB 1,524
US$ 19.3Lesnikovo
(러시아)
그릴망
(바베큐용, 스테인리스)
RUB 1,142
US$ 14.5Dolyana
(러시아)
원형 베이킹 틀 세트
(3종, 스테인리스, 논스틱)
RUB 783
US$ 9.9*환율: 78.84 루블/1달러 (러시아 중앙은행 2025.07.04)
[자료: Ozon.ru]
유통 구조
(1) 러시아 내 공급 구조
러시아 내 철제 주방·생활용품의 유통은 일반적으로 제조업체 → 소속 유통회사 → 자사 온라인몰 또는 전자상거래 플랫폼 → 최종 소비자의 흐름으로 이뤄진다. 제품 특성이나 생산 규모에 따라 세부 유통 경로는 달라질 수 있으며, 최근에는 제조사가 유통 방식에서 높은 유연성을 확보하려는 경향이 뚜렷하다.
예를 들어, 한 베이킹 용기 제조업체는 자사 온라인몰을 통해 제과업체·외식업체 등 법인 고객뿐 아니라 일반 소비자 대상 직접 판매도 병행하고 있으며, 주요 전자상거래 플랫폼과 연계해 판매망을 확장하고 있다. 이처럼 제조업체가 자체 온라인 채널을 운영하면서 외부 플랫폼과 병행 활용하는 구조가 확산되고 있다.
(2) 해외 제품 공급 구조
러시아 내 해외 제품의 유통 경로는 다음 세 가지 방식이 일반적이다.
① 해외 제조업체/공급업체 → 러시아 수입업체(가전·생활용품 도소매 업체) → 전자상거래 플랫폼 및 중소 리셀러
가장 일반적인 구조로, 수입업체는 온라인 플랫폼과 소매 리셀러를 통해 제품을 시장에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② 해외 제조업체 → 러시아 대형 유통·소매 체인 → 온·오프라인 병행 판매
대표적인 유통 체인으로는 Auchan(아샨), Metro Cash & Carry, Fix Price, Kari 등이 있으며, 이들은 복수의 해외 공급처로부터 제품을 조달하고 오프라인 매장과 자체 온라인 몰을 함께 운영한다.③ 해외 제조업체 → 러시아 현지 자회사(법인) → 도매 유통
일부 해외 제조사는 러시아 내에 직접 법인을 설립해 자사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관세율 및 인증
(1) HS Code 7323.99 관세율
<적용 관세율 및 부가세>
(단위: %)
HS Code
관세
부가가치세
7323.99
10
20
[자료: EAEU CN of FEA, EAEU CCT]
(2) 필수 인증
HS Code 7323.99는 다양한 용도의 생활·주방용 철제 제품을 포함하고 있어, 적용 인증 요건이 품목별로 상이하다. 다만 주요 품목의 경우, ‘적합성 선언(DoC)’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사실상 의무 인증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주방용품(뚜껑 있는 보관용기, 베이킹 틀, 식기 거치대, 물병, 꽃병, 과일 바구니 등)은 GOST 27002-2020 '내식성 강철제 주방용품. 일반 기술 조건' 기준을 기반으로 적합성 선언 대상에 포함된다. 해당 절차는 정식 등록된 인증기관과 공인시험소를 통해 진행된다.
<적합성 선언 예시>

[자료: ozon.ru]
아동·청소년용 철제 제품은 EAEU 기술규정 TR TS 007/2011 「아동 및 청소년 제품의 안전」에 따라 연령대별로 상이한 인증 절차가 적용된다.
만 3세 미만 아동용 제품은 국가등록(SGR) 후 적합성 선언(DoC) 절차를 거쳐야 한다. 국가등록증(SGR)은 러시아 소비자권익보호·복지감독청(Роспотребнадзор) 산하 기관에서 발급한다.
만 3세 이상 아동·청소년용 제품은 적합성 인증서(CoC) 취득이 의무화 돼있다. 인증서는 적합성 선언(DoC)과 동일하게 공인 인증기관에서 발급한다.
한편, HS Code 7323.99에 포함되는 품목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적용되는 구체적인 인증 절차는 개별 제품별 확인이 필요하다.
시사점
2022년 수요 급감 이후, 러시아 내 철제 주방·생활용품 시장은 점진적 회복세를 보이며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국제 제재의 장기화와 인플레이션 압력 등 리스크 요인은 상존하지만, 현지 전문가들은 당분간 수요 회복세가 유지될 것으로 보고 있다. 내수 수요 충족을 위해 수입 제품의 역할은 여전히 중요하며, 특히 중국산이 시장을 압도하는 가운데 한국산 제품도 점유율 확대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2024년 기준, 한국은 천장형·바닥형 빨래건조대, 논스틱 제빵 틀, 금속 그릴망 등의 품목을 중심으로 대러 수출을 확대했으며, 러시아 시장 내 품질과 기능성 측면에서의 경쟁력이 확인되고 있다.
러시아 시장은 다양한 제품과 다수의 해외 공급업체가 활발히 참여하고 있어 경쟁 강도가 높은 편이다. 이에 따라 탄력적인 가격 전략과 채널별 맞춤형 진출 방안이 필수적이다. 특히 잠재 파트너로는 중소 도매업체 뿐만 아니라 생활용품 중심의 대형 소매 체인이 유력하며, 이들은 오프라인 매장과 함께 온라인 플랫폼(인터넷 쇼핑몰, 마켓플레이스 등)을 동시에 활용해 유통망을 확장하고 있다. 우리기업도 이 같은 복합 유통 구조에 적응한 입점 전략 수립과 지역별 선호 제품에 맞춘 포트폴리오 구성이 필요할 것이다.
자료: 러시아 통계청, Global Trade Atlas, Spark Interfax, Consultant Plus, Yandex, ifcg.ru, Statista, Ozon, Wildberries, RBC, KOTRA 모스크바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러시아 철제 주방용품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일본 'Food Store Solutions Fair 2025' 참관기
일본 2025-09-16
-
2
2025 인도 신발산업 정보
인도 2025-09-16
-
3
태국 차(Tea) 시장의 다변화: 녹차와 밀크티에서 편의성 높인 간편 음료까지
태국 2025-09-16
-
4
영국 의료기기 시장동향
영국 2025-09-16
-
5
2025년 카자흐스탄 식품가공 산업 정보
카자흐스탄 2025-09-17
-
6
베트남 물티슈 시장동향
베트남 2025-09-15
-
1
2025년 러시아 조선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5-08-11
-
2
2024년 러시아 섬유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2-10
-
3
2024년 러시아 농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2-02
-
4
2024년 러시아 폴리머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1-27
-
5
2024 러시아 극동 지역 농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1-06
-
6
2024년 러시아 자동차 산업 정보
러시아연방 2024-10-02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