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트남 물티슈 시장동향
- 상품DB
- 베트남
- 하노이무역관 박성민
- 2025-09-15
- 출처 : KOTRA
-
인구 구조 변화와 친환경 소비 트렌드가 이끄는 성장
대용량, 개인용, 유아용 물티슈 중심으로 성장
상품명 및 HS코드
<상품명 및 HS 코드>
HS코드
품목
481820
손수건, 세정용 티슈 또는 페이셜 티슈, 타월
[자료: KOTRA 하노이무역관 종합]
시장동향
베트남은 약 1억 명이 넘는 인구를 보유하고 있으며 평균 나이가 32세 내외로 비교적 젊은 국가다. 2024년 7%대의 경제성장률을 보였다. 월드뱅크는 2025년 경제성장률을 약 6.5%~7%로 예상했다. 경제 성장에 힘입어 도시 소비자의 가처분 소득이 향상됐다. 농촌 지역의 생활 수준 또한 향상되면서 소비시장이 성장한다. 이러한 구조적 변화는 위생용품 소비시장 확대를 이끄는 핵심 동력으로 작용한다.
<2019-2024년 베트남 연도별 인구 규모>
(단위: 백만 명)

[자료: Statista]
<2019-2024년 베트남 연령별 인구 비율>
(단위: %)

[자료: Statista]
최근 베트남 소비자들은 단순한 가성비보다 친환경성과 안전성을 갖춘 고품질 제품을 선호하는 추세다. 평균 초혼 연령이 약 27세인 MZ세대가 부모 세대로 진입하면서, 이들의 친환경 소비 성향이 위생용품 시장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된다. 특히, 무알코올 · 무향 · 저자극 제품의 인기가 높아진다. 아기용 물티슈 판매도 증가세다. 이러한 변화는 소득 수준 향상과 위생 관념 강화에 기인한다. 기업들 역시 이에 맞춰 플라스틱 사용을 줄이고, 생분해성 원단과 친환경 포장재를 도입하는 등 대응 전략을 강화한다.
2024년 기준 베트남 물티슈 시장은 약 1억3000만 달러 규모이며, 2019~2024년 연평균 9% 성장세를 기록했다. 개인용 물티슈가 가장 빠르게 증가한 카테고리로 대용량 제품이 매출을 이끌었고, 아기용, 일반용 물티슈는 안정적인 수요를 유지하며 여전히 시장의 큰 축을 담당하고 있다. 앞으로도 소득 수준 향상과 중산층 확대, 그리고, 친환경 소비 트렌드가 맞물리며 시장은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2019-2024년 베트남 물티슈 판매량>
(단위: US$ 천)

*주: USD 1 = VND 25056 (2024년 평균치 기준)
[자료: 유로모니터]
수입동향
HS코드 4818.20 품목의 베트남 수입 통계를 살펴보면 2024년 총수입 규모는 3057만 달러로 전년 대비 38.7% 증가했다. 주요 수입국으로는 중국이 수입 비중 83.8%를 차지해 1위를 기록했으며 인도네시아와 태국이 각각 10.6%와 2.9%로 2, 3위를 차지했다. 한국은 0.7%로 5위권이었다.
<2022-2024년 베트남 물티슈(HS코드 4818.20) 수입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구분
2022
2023
2024
점유율
('24)
증감률
('23~'24)
-
총계
17,390
22,046
30,575
100.0
38.7
1
중국
13,757
17,866
25,618
83.8
43.4
2
인도네시아
2,439
3,136
3,249
10.6
3.6
3
태국
62
145
885
2.9
510.3
4
일본
217
263
321
1.0
22.1
5
한국
216
236
227
0.7
-3.8
6
홍콩
15
6
78
0.3
1,200
7
EU
265
141
50
0.2
-64.5
8
대만
22
45
41
0.1
-8.9
9
독일
49
27
37
0.1
37.0
10
말레이시아
36
30
27
0.1
-10.0
[자료: GTA (2025. 9. 8.)]
경쟁동향
베트남 물티슈 시장은 베트남 현지 기업과 외국계 기업이 함께 참여하며 경쟁 구도를 형성한다. 일본 유니참(Unicharm)이 인수한 Diana 가 Bobby 와 Fressi Care 브랜드를 앞세워 시장 선두를 차지한다. 베트남 현지 기업인 Dong Hiep Trade & Investment 도 Mamamy, Fressi Care 등 자사 브랜드를 통해 강력한 입지를 유지한다. 대만계 기업인 Yahon Enterprise 는 Let-Green, Nuna 등 브랜드를 운영하며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고, Viet Australia International Trading and Service JSC 는 호주와 합작 형태로 Teen Care 를 생산 · 유통하며 존재감을 높인다. 글로벌 기업인 Kimberly-Clark Vietnam 은 Huggies 브랜드를 현지 생산하며 베트남 시장에 안정적으로 자리 잡았다. 이 외에도 일부 기업은 OEM · ODM 방식을 활용해 글로벌 및 현지 유통망에 공급한다. 외국계 자본이 베트남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입하면서, 베트남 현지 브랜드와 외국계 브랜드 간 경쟁을 하는 양상을 보인다.
<2024년 베트남 물티슈 제조업 주요 기업 현황>
회사명
주요 브랜드 및 제품
관련 지역
소재지
(설립연도)
홈페이지
Diana Unicharm
Bobby

Fressi Care

일본
베트남 하노이
(1997)
www.unicharm.vn/vi
Dong Hiep Trade & Investment
Mamamy

Luck-Lady

베트남
베트남 호치민
(1999)
dhti.vn
Yahon Enterprise
Let-green

Nuna

대만
베트남 호치민
(1997)
www.yahon.com.vn
Viet Australia International Trading and Service
Teen care
베트남-호주 합작
베트남 호치민
(2003)
babycarevietnam.com
Kimberly-Clark Vietnam
Huggies

미국
베트남 빈증
(1991)
www.kimberly-clark.com.vn
Tai Sun Enterprise
Unifresh

대만
베트남 호치민
(2001)
taisungroup.talentnetwork.vn/en
*주: Diana Unicharm, Kimberly-Clark Vietnam은 베트남 500대 기업(VNR500)에 속함
[자료: VNR500, 각 사 홈페이지 종합]
유통구조
베트남 물티슈 시장의 유통은 제조사나 수입사에서 출발해 대리점을 거쳐 전국으로 공급되는 구조이다. 이후, 대리점은 마트, 슈퍼마켓, 편의점, 아기 전문점 등 지역 소매점들과 연결된다. 지역 소매점은 베트남의 여전히 가장 큰 판매 채널이며, 유명 브랜드 제품을 먼 취급해 소비자의 접근성을 높인다. 그러나, 최근에는 Shopee, Lazada, Tiktok shop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빠르게 성장해 온라인 직거래 대용량 저가 판매가 활성화되면서 시장 점유율을 높인다.
관세율
베트남에서 HS코드 4818.20에 해당하는 물티슈(손수건, 클렌징 티슈 등)의 일반 수입관세율은 27%가 적용된다. 그러나, 한국-베트남 FTA(VKFTA)와 한-아세안 FTA(AKFTA) 등 다양한 자유무역협정을 활용할 경우 관세율은 0%까지 낮아진다. 또한, RCEP을 적용할 때도 18%의 세율이 적용돼 일반세율에 비해 부담이 완화된다. 따라서, 한국 기업의 경우 FTA 활용 여부에 따라 베트남 시장에서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베트남의 물티슈(HS코드 4818.20.00) 관세율>
HS코드
품목명
일반
AKFTA
VKFTA
RCEP
4818.20.00
손수건, 클렌징 티슈 혹은 얼굴 티슈, 타월
27
0
0
18
인증
베트남 국가 기술 규정 QCVN 09:2015/BCT 에 따르면 베트남 시장에서 수입돼 소비되는 종이 타올, 화장지, 티슈 제품은 제품의 품질(물리, 화학, 미생물학적) 기준을 충족하고 라벨링 및 CR 마크를 부착해 적합성 관련 절차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해당 요건을 만족하지 못하면 수입이 제한된다.
시사점
베트남 물티슈 시장은 인구 증가, 소득 증가, 위생, 건강 인식 제고, 친환경 소비 확산을 배경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특히, MZ세대 부모층의 증가는 무알코올, 저자극, 친환경 제품 수요를 빠르게 끌어 올려 시장 차별화의 핵심 요소로 작용한다. 우리 기업은 품질과 안전성을 강조한 영 · 유아용 제품과 친환경, 생분해성 제품을 중심으로 시장에 접근하는 것이 효과적이며 수출 시 품질 기준 등을 잘 확인해야 한다. 게다가 현지 소비자 성향에 맞춘 포장 디자인과 마케팅, 현대식 소매 및 이커머스 채널과의 협업을 강화해 브랜드 신뢰도를 확보할 필요가 있다.
자료: GTA, Statista, 유로모니터, 베트남 관세총국, 현지언론 등 KOTRA 하노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물티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필리핀 현금 자동 입출금기(ATM) 시장동향
필리핀 2025-09-15
-
2
미얀마 신발 시장, 플리플랍 문화가 품은 시장 성장의 기회
미얀마 2025-09-15
-
3
음식과 기술의 맛있는 콜라보레이션, 튀르키예 식품 시장
튀르키예 2025-09-15
-
4
스페셜티 시장으로 나아가는 라오스 커피 산업
라오스 2025-09-15
-
5
베트남 전선·케이블 시장동향
베트남 2025-09-12
-
6
태국 펫케어 시장 트렌드: 중가 프리미엄화, 건강·웰빙, 온라인 유통 확대
태국 2025-09-15
-
1
2025년 베트남 철강 산업 정보
베트남 2025-07-07
-
2
2025년 베트남 전자산업 정보
베트남 2025-05-13
-
3
2025년 베트남 섬유의류 산업 정보
베트남 2025-04-11
-
4
2025년 베트남 자동차산업 정보
베트남 2025-04-02
-
5
2024년 베트남 전력 및 에너지 산업 정보
베트남 2024-12-10
-
6
2024 베트남 건설산업 정보
베트남 2024-11-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