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 인도 신발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인도
- 첸나이무역관 이민형
- 2025-09-16
- 출처 : KOTRA
-
빠르게 성장하는 시장과 주요 산업 동향
친환경, 프리미엄 수요 증가와 규제 대응 과제
한국 기업을 위한 진출 시사점
인도 현지 리서치 업체인 MMR(Maximize Market Research)에 따르면, 인도 신발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178억 9000만 달러로, 2025년부터 2032년까지 연평균 12.39%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는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신발 생산 및 소비 국가이자, 가죽 제품 수출국으로는 세계 4위이다. 특히 전 세계 가죽 생산량의 약 13%를 차지하는 강력한 원자재 기반을 바탕으로, 가죽신발에 대한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가죽제품을 중심으로 하는 해외시장과 달리, 인도 국내 시장에서는 비가죽 신발이 전체의 90%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 품목은 합리적인 가격과 뛰어난 내구성, 트렌디한 디자인을 중시하는 소비자 트렌드에 힘입어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산업 전반의 연간 생산 능력은 약 22억 켤레에 달하며, 신발 및 가죽 산업 전반에 걸쳐 약 400만 명이 고용되어 있다. 이 중 약 110만 명은 신발 제조업에 직접 종사하고 있어, 해당 산업은 인도의 고용 창출에 있어 핵심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중소기업(MSME)이 전체 생산업체의 약 95%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생산 거점은 타밀나두, 우타르프라데시, 마하라슈트라, 안드라프라데시, 웨스트벵갈 등지에 집중돼 있다. 그 중에서도 남인도, 특히 첸나이와 앰버(Ambur) 지역은 높은 생산성과 인프라를 바탕으로 시장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다.
시장 성장 동력
인도 신발 시장이 사회경제적 변화와 정책 개혁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소득 수준의 향상과 함께 소비자들은 프리미엄 브랜드와 내구성·품질·편안함을 갖춘 제품으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글로벌 패션에 대한 관심과 라이프스타일 변화가 확산되면서, 캐주얼 슈즈, 디자이너 슈즈, 운동화 등 다양한 스타일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여기에 건강과 체력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스포츠 및 애슬레저 슈즈의 인기도 함께 상승하고 있다. 전자상거래 시장의 급성장도 신발 산업 변화의 핵심 요인 중 하나다. 아마존, 플립카트, 민트라 등 주요 플랫폼은 다양한 제품 라인업, 경쟁력 있는 가격, 무점포 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소비자 선택지를 넓히고 있다. 특히 오프라인 매장 접근성이 떨어지는 소도시 지역 소비자들에게 온라인 쇼핑의 편리함이 큰 매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친환경 소비 트렌드도 점차 뚜렷해지고 있다. 재활용 소재 사용, 투명한 공급망 구축, 친환경 제조 방식 도입 등 지속가능성을 고려한 브랜드와 제품들이 소비자들 사이에서 긍정적인 반응을 얻고 있다. 이처럼 인도 신발 시장은 소비자의 변화하는 기대에 발맞춰 제품과 유통, 제조 방식 전반에서 진화를 거듭하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정부 정책
인도 정부의 적극적인 정책 지원이 신발 산업의 현대화와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하고 있다. 100% 외국인직접투자(FDI) 허용, 생산 시설에 대한 라이선스 및 지정 요건 폐지, ‘메이크 인 인디아(Make in India)’ 캠페인 등은 해외 기업 유치와 산업 전반의 구조 고도화를 촉진하고 있다. 정부는 ‘인도 신발·가죽·액세서리 개발 프로그램(IFLADP, 2021~2026)’을 통해 약 1억 9700만 달러를 투자해, 산업 인프라 구축, 검사·시험 시설 확충, 디자인 개발, 메가 클러스터 조성 등을 지원하고 있다. 또한 ‘스킬 인디아(Skill India)’ 프로그램과 인도 가죽수출위원회(CLE, Council for Leather Exports)를 중심으로 전문 인력 양성에도 힘쓰고 있다. 이는 생산성 향상은 물론, 국내 산업의 질적 경쟁력 제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수출 확대를 위한 정책도 강화되고 있다. 관세 환급 제도를 비롯해, RoDTEP(Remission of Duties and Taxes on Export Products) 제도를 통해 환급되지 않는 세금·관세 부담을 줄이고, MAI(Market Access Initiative) 등을 통해 해외 시장 접근성을 높이는 전략이 추진되고 있다. 아울러, 친환경 제조 공정, 재활용 소재 활용, 국제 환경 규제 준수를 유도하는 지속가능성 정책도 병행되며, 글로벌 ESG 트렌드에 부응하려는 움직임도 뚜렷하다. 이처럼 다각적인 정부 지원 정책은 인도 신발 산업의 전반적인 경쟁력 강화와 함께, 글로벌 시장에서의 입지 확대를 가속화하고 있다.
인증 및 규제
인도 정부가 HS 코드 6404에 해당하는 신발 제품을 포함한 품목에 대해 품질관리명령(QCO)을 강화하면서, 수입업자와 제조업체들의 규제 준수 부담이 높아지고 있다. 2024년 8월부터는 모든 섬유 갑피 신발에 대해 제조 및 수입 시 ‘인도표준국(BIS, Bureau of Indian Standards)’의 인증과 ISI 마크 부착이 의무화됐다. 여기에 가죽 신발, 운동화, 안전화 등 주요 품목도 BIS 인증 대상에 포함되며, 신발 사이즈 및 표시 기준도 BIS가 정한 규정을 따라야 한다. 또한, 신발 포장과 관련된 법적 계량 규정도 엄격히 적용된다. 제조자 또는 수입자의 이름과 주소, 원산지, 사이즈, 수량, 소비자가격(MRP, 세금 포함), 제조 또는 수입 시기(월·연도) 등 모든 정보는 포장에 명확하게 표기되어야 한다. 화학 안전 기준도 강화됐다. 아조 염료, 납, 카드뮴, 크롬 VI 등 유해 물질의 사용은 엄격히 제한되며, 경우에 따라 BIS 인증을 획득한 실험실에서의 검사가 요구될 수 있다. 아울러, 합성 소재를 사용한 신발은 인도의 플라스틱 폐기물 관리 규정과 EPR(Extended Producer Responsibility, 확장생산자책임) 대상이 될 수 있다. 이는 제품 생산자가 사용 후 폐기물의 수거 및 재활용에 일정 책임을 지도록 하는 제도로, 친환경 생산과 유통을 유도하기 위한 정책이다. 이번 규제 강화는 제품 품질과 소비자 안전 확보, 그리고 환경 보호를 위한 국제 기준 준수를 목표로 하며, 인도 시장 진출을 노리는 해외 브랜드 및 수입업자들에게는 엄격한 사전 준비가 요구된다.
기술 및 생산 동향
인도 신발 산업은 기술 혁신이 빠르게 진행되며, 해외 바이어와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섬유 신발 분야는 니트 갑피(신발 윗부분(갑피)을 니트 원단으로 만든 것), EVA(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thylene Vinyl Acetate), 가볍고 쿠션감이 좋은 신발 밑창 소재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내마모성과 탄성이 뛰어난 밑창 소재) 밑창, 가벼운 통기성 원단 등 혁신을 도입하고, 3D Knitting(컴퓨터로 프로그래밍된 기계를 사용해 신발이나 옷의 갑피 부분을 입체적으로 한 번에 뜨는 기술) 및 CAD/CAM 디자인 시스템으로 빠른 프로토타입 제작과 대량 맞춤생산이 가능하다. 자동화, 로봇, AI 기반 품질관리가 도입되어 불량률을 낮추고 일관성을 높여 수입자의 인증 절차 애로 및 안정성 우려를 줄이고 있다. 친환경 소재(리사이클 폴리에스터, 유기농 면, 수성 접착제, 식물성 가죽 등) 확대로 EU REACH(Registration, Evaluation, Authorization and Restriction of Chemicals), 미국 CPSIA(Consumer Product Safety Improvement Act), 영국 UK REACH 등 소비자 관련 법률 준수 및 친환경 기준을 충족하여 규제국가 진출이 수월해지고 있다. 밑창, 갑피, 접착제, 포장 등 부품 생태계가 개선되고 통합 공급망이 구축되고 있으며, 타밀나두, 우타르프라데시, 안드라프라데시 등 정부 지원 클러스터에 검사실, 공용 시설, 수출 중개센터가 들어서면서 투자 위험이 낮아지고 있다. ISO 14001, Leather Working Group 인증 등 ESG 인증을 받은 공장과 제품의 생산부터 유통까지 추적 가능한 시스템이 확산되는 점은 글로벌 브랜드들이 인도 산 제품을 더욱 신뢰하게 할 수 있는 요소이다. 이는 환경, 사회, 투명 경영 측면에서 높은 기준을 충족함을 의미해 다국적 기업의 인도 생산 투자 확대를 촉진한다.
주요 관련 기업 현황
인도는 풍부한 인력과 정부 지원, 인프라 개선을 바탕으로 중국 의존도를 낯추려는 글로벌 기업들의 대안 생산지로 부상하고 있다. 인도 내 섬유 신발 시장은 Relaxo, Campus Activewear, Bata India 등이 스포츠, 애슬레저, 캐주얼 분야에서 강세를 보인다. 세계적으로는 Adidas, Puma, Nike, Skechers 등 세계적인 브랜드들이 이 인도에서 섬유 갑피 신발을 지속적으로 소싱하고 있다. 이는 다국적 기업이 중국만이 아니라 인도로 생산을 다변화하는 "차이나 플러스 원" 전략의 일환이다.
<인도 주요 신발산업 기업 규모>
(단위: US$ 백만)

[자료: MMR]
<인도 주요 신발산업 기업 현황>
(단위: US$)
회사명
시가총액(달러)
내용
Metro Brands
41.75억
인도 신발 업계 최대 시총 보유. Cravatex 인수 등으로 프리미엄 브랜드 확장 중. 멀티브랜드 전략과 온·오프라인 통합(옴니채널) 강화. 프리미엄 & 애슬레저 수요 모두 공략
Relaxo Footwears
26.82억
중저가 시장 강자. 슬리퍼, 캐주얼, 학생용 신발 등 가격 대비 내구성 강조. 2·3선 도시 유통망 확장 + 온라인 채널 확대. 생산 효율성 및 가격 경쟁력으로 대중 소비자 확보
Bata India
24.37억
전국 최대 리테일 네트워크 보유(1,800개 이상 매장). 매장 현대화 + 디지털 경험 투자. 브랜드 충성도 활용하면서 젊은 층 타깃으로 애슬레저/패션 신발 확대. 옴니채널 전략 강화
Campus Activewear
10.62억
젊은층 대상 애슬레저·스포츠 신발에 특화. 저렴하면서 스타일리시한 스니커즈 개발 + 타깃 마케팅. D2C 및 이커머스 투자로 브랜드 접근성 제고. 피트니스·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대응
Mirza International
9,540만
Red Tape 브랜드 중심으로 프리미엄 가죽 신발 및 수출 확대(영국, 미국, EU 등). 의류·액세서리로 사업 다각화. 소매망은 작지만 디지털 우선 전략으로 글로벌 입지 강화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수출입 통계
신발산업의 주요 품목(HS코드별)은 다음과 같다.
<신발산업 주요 품목 HS 코드>
HS 코드
품목명
설명
6401
방수 신발
고무 또는 플라스틱으로 만든 방수 신발로, 갑피가 꿰매기나 리벳 등으로 밑창에 부착되지 않은 것. 주로 일체형 장화 등
6402
고무·플라스틱 신발(기타)
고무 또는 플라스틱 겉창과 갑피로 만든 신발로, 일반적으로 조립(꿰매기 등)된 형태. 슬리퍼, 샌들 등 포함
6403
가죽 갑피 신발
겉창은 고무, 플라스틱, 가죽 등이며, 갑피는 가죽인 신발. 정장화, 부츠, 보호화 등 포함
6404
섬유 갑피 신발
겉창은 고무, 플라스틱, 가죽 등이며, 갑피는 섬유(직물) 소재인 신발. 운동화, 패브릭 슈즈 등
6405
기타 신발류
위 6401~6404에 해당하지 않는 신발. 특수 재질, 복합 구조 등 다양한 형태 포함
6406
신발 부품 및
부속품
완제품이 아닌 신발의 부품(깔창, 굽, 갑피 부품 등) 및 보호 장비(게이터, 레깅스 등)
HS코드 6404(운동화· 패브릭 슈즈 등)는 계절이나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착용하는 소비 트렌드 확산에 힘입어, 인도 신발 시장 내 점유율이 크게 확대되고 있다. 특히 해당 품목은 수입 시장에서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본 자료에서는 HS코드 6404에 대한 관세율 및 수출입 통계 현황을 함께 분석했다.
<인도 신발산업 주요 품목(HS코드 6404) 관세율>
HS Code
내용
세율
6404
GST세율
18%
최혜국 관세 (Most Favoured Nation Tariff)
20%
Asia-Pacific Trade Agreement Preferential Tariff
No Preference
CEPA 관세
(Comprehensive Economic Partnership Agreement Preferential Tariff)
No Preference
[자료: Indian Trade Portal]
<인도 신발 수입(HS코드 6404) 상위 10개국>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2
2023
2024
증감률(24/23)
1
베트남
169,000
147,000
91,000
-38.0
2
방글라데시
440,00
66,000
89,000
33.6
3
중국
117,000
92,000
48,000
-47.0
4
인도네시아
40,000
40,000
21,000
-48.6
5
네팔
7,000
6,000
6,000
5.3
6
싱가포르
5,000
5,000
5,000
-9.1
7
이탈리아
3,000
4,000
2,000
-55.2
8
미국
1,000
1,000
1,000
13.9
9
UAE
4,000
4,000
1,000
-80.3
10
스페인
4,000
4,000
1,000
-66.1
합계
420,000
394,000
270,000
-31.5
[자료: S&P Global Connect]
<인도 신발 수출(HS코드 6404) 상위 10개국>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2
2023
2024
증감률(24/23)
1
미국
44,000
22,000
29,000
31.1
2
프랑스
34,000
35,000
26,000
-23.9
3
독일
24,000
16,000
20,000
27.8
4
UAE
13,000
15,000
14,000
-3.1
5
영국
8,000
5,000
8,000
49.2
6
소말리아
8,000
5,000
8,000
58.2
7
네덜란드
5,000
2,000
7,000
187.0
8
예맨
1,000
2,000
5,000
120.1
9
터키
3,000
3,000
5000
69.2
10
멕시코
3,000
3,000
5,000
33.6
11
대한민국
3,000
2,000
2,000
39.5
합계
227,000
179,000
192,000
7.4
[자료: S&P Global Connect]
SWOT 분석
강점: 인도는 세계 소와 버팔로의 약 21%를 보유하고 있어, 가죽 및 비가죽 산업 전반에 걸친 풍부한 원자재 공급처로서 글로벌 제조 허브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 산업의 핵심은 전체 생산업체의 95%를 차지하는 중소기업(MSME) 네트워크로, 광범위한 고용을 창출하는 동시에 타밀나두, 우타르프라데시, 마하라슈트라 등지에 지역 클러스터를 형성하고 있다.
약점: 인도 신발 산업의 주요 약점 중 하나는 프리미엄 및 고급 신발 시장의 점유율이 여전히 낮다는 점이다. 인구 규모에 비해 고가 제품에 대한 수요는 제한적이며,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여전히 가격에 민감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프리미엄 시장은 주로 도시 지역의 고소득층에 국한돼 있으며, 브랜드 다변화나 디자인 혁신 등 고부가가치 영역으로의 확장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또한, 합법적으로 운영되는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높은 세금 부담을 지고 있다는 점도 구조적 약점으로 꼽힌다. 반면, 영세하거나 비공식적으로 운영되는 업체들은 규제와 세금에서 비교적 자유로워 경쟁 여건에 불균형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산업의 전반적인 현대화와 대규모 투자 유치를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기회: 인도 신발 산업은 전체 생산업체의 95%를 중소기업(MSME)이 차지하고 있어, 해외 수입업체들이 현지 제조업체와 협력할 수 있는 여지가 크다. 특히 비용 효율성을 기반으로, 첨단 기술과 디자인 기준, 글로벌 유통망을 접목하는 방식으로 상호 이익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현재 인도 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보급률이 낮은 프리미엄 및 고급 신발 라인을 도입함으로써, 도시 지역과 젊은 소비층을 중심으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다는 평가도 나온다.
위협: 인도 신발 산업은 합성 소재 및 화학제품의 높은 수입 의존도, 특히 중국에 대한 편중된 의존으로 인해 공급망 불안정성과 원자재 가격 변동성에 지속적으로 노출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인도 내 산업 구조 측면에서도 중소기업 중심의 분산형 생산 체계가 여전히 비공식적이고 비조직적인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어, 장기적인 산업 경쟁력 저하 가능성이 우려된다. 실제로 소규모 제조업체 다수는 자금력과 기술력 부족으로 인해 생산 설비 현대화나 지속가능한 경영 방식 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이로 인해 모조품 생산과 유통 리스크도 상존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브랜드 신뢰도 훼손은 물론, 소비자 선호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 전반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유망 분야
인도 내 신발 산업이 소비재, 스포츠·애슬레저, 전자상거래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하며, 국가 경제의 전략적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고 있다. 우선, 소비재 및 라이프스타일 분야에서는 중산층 확대와 소득 수준 상승에 따라 패션과 품질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디자인과 브랜드가 강조된 신발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스포츠 및 애슬레저 신발은 인도 내 피트니스 열풍과 건강한 라이프스타일 추구 트렌드에 힘입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헬스장 이용, 요가, 조깅 등 야외 활동이 증가하면서 기능성과 착용감을 강조한 운동화에 대한 수요가 꾸준하다. 또한,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확장은 신발 산업 성장의 핵심 촉매제로 작용하고 있다. 주요 이커머스 기업들이 신발을 빠르게 판매되는 핵심 카테고리로 분류하면서, 온라인 판매 비중이 급증하고 있다. 중소 브랜드 및 신생 기업들도 온라인 유통망을 통해 전국적 소비자 접근이 가능해지고 있다. 기술 및 혁신 분야에서는 3D 프린팅, 디지털 디자인, 친환경 소재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한 제품 개발이 활발하다. 친환경적인 제조 공정과 기술 중심 디자인이 인도 내 젊은 소비자층의 주목을 받고 있다. 이와 함께, 산업안전 신발 시장도 유망한 분야로 꼽힌다. 인도 정부의 산업안전 기준 강화 및 인프라 개발 확대에 따라 건설, 제조, 광업 분야에서 보호용 안전화 수요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다.
시사점
2025년 인도 신발 시장이 빠른 성장세와 구조적 전환을 맞이하면서, 한국 기업들에게 새로운 사업 기회와 함께 대응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인도는 세계 2위의 신발 생산 및 소비국으로, 2024년 시장 규모는 178억 9000만 달러에 달하며, 2032년까지 연평균 12.39%의 고성장이 전망된다. 시장 진출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현지 파트너십과 생산 협력 모델 구축이다. 인도 내 신발 제조업체의 95%가 MSME(중소기업)로 구성돼 있어, OEM·ODM 방식의 협업이 효과적이다. 타밀나두, 우타르프라데시 등 주요 클러스터 지역 내 생산 거점 확보도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프리미엄·애슬레저·친환경 제품군에 대한 수요가 확대되며, 젊은 소비층을 겨냥한 기능성 및 디자인 중심 제품 전략이 유망하다. EVA, TPU, 리사이클 소재, 식물성 가죽 등 첨단·친환경 소재 활용이 차별화 요소로 부상하고 있다. 이커머스 채널 확장도 주요 전략이다. 아마존, 민트라, 플립카트 등 플랫폼을 활용한 온라인 입점과 SNS 마케팅, D2C(직접판매) 전환이 전국 시장 확장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다. 한편, BIS 인증, 원산지 표시, 환경 규제 등 현지 제도와 인증 요건 강화는 주요 진입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품질·표준 대응 체계와 함께, ESG 기반 생산·포장 시스템 마련이 요구된다.
자료: maximizemarketresearch, researchgate, statista, grandviewresearch, companiesmarketcap, tijorifinance, stockanalysis, screener, economictimes, simplywall, upstox, companiesmarketcap, reuters, campusactivewear, the-ken, india-briefing, adidas-group 등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5 인도 신발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스웨덴 로봇산업, 국가의 성장동력으로 작동하다
스웨덴 2025-08-01
-
2
NexTech Week 2025 [봄] 참관기...생성형 AI 활용 전략이 일본 기업 경쟁력 핵심으로 부상
일본 2025-05-08
-
3
일본 치과용 기기 시장 동향
일본 2025-09-16
-
4
러시아의 인공지능 어디까지 왔나
러시아연방 2025-07-04
-
5
모로코 터치스크린 시장 동향
모로코 2025-07-03
-
6
'포켓 속 혁신', 미국 포터블 제품의 진화와 소비 트렌드
미국 2025-07-01
-
1
2025 인도 반도체 산업 정보
인도 2025-07-07
-
2
2024년 인도 철강산업 정보
인도 2025-01-03
-
3
2024 인도 섬유 산업 정보
인도 2024-11-29
-
4
2024년 인도 화학산업 정보
인도 2024-11-25
-
5
2024년 인도 문구 및 미술 용품 산업 정보
인도 2024-10-16
-
6
2024년 인도 해양 산업 정보
인도 2024-07-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