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국 차(Tea) 시장의 다변화: 녹차와 밀크티에서 편의성 높인 간편 음료까지
- 트렌드
- 태국
- 방콕무역관 이태형
- 2025-09-16
- 출처 : KOTRA
-
태국 차 시장은 단기간의 완만한 성장에서 출발해 중장기적으로 가속적인 성장 국면에 들어설 것으로 전망
성장세는 전통적 소비 확대뿐 아니라 건강·웰빙 중심의 소비문화 확산, 프리미엄 제품과 RTD(Ready-to-Drink) 음료 수요 증가, 글로벌 시장 확대가 맞물린 결과로 분석
다만 원자재 가격 변동, 기후 변화로 인한 공급 불안정, 커피·청량음료 등 대체 음료와의 경쟁은 여전히 시장의 위험 요인
상품명 및 HS 코드
태국 밀크티에 사용되는 Thai Tea Mix, 녹차 파우더, 허브 블렌드 등 다양한 차 제품은 국제무역 기준에 따라 크게 두 가지 범주로 분류된다. 먼저, 가공 여부와 관계없이 기본적인 차 원료는 HS Code 0902(차류, 맛과 향 첨가 여부 무관)에 속하며, 이를 활용해 만든 추출물·에센스·농축물이나 조제품은 HS Code 2101(커피·차·마테 등의 추출물, 에센스, 농축물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제품)에 해당한다. 따라서 태국에서 소비되는 차 제품은 원재료 단계와 가공·조제품 단계로 구분돼 국제 교역 및 통관 과정에서 관리되고 있다.
<상품명 및 HS 코드>
HS 코드
품목명
0902
차류(맛과 향을 첨가했는지에 상관없다)
Tea, whether or not flavoured
2101
커피ㆍ차ㆍ마테(maté)의 추출물(extract)ㆍ에센스(essence)ㆍ농축물과 이것들을 기본 재료로 한 조제품, 커피ㆍ차ㆍ마테(maté)를 기본 재료로 한 조제품, 볶은 치커리(chicory)ㆍ그 밖의 볶은 커피 대용물과 이들의 추출물(extract)ㆍ에센스(essence)ㆍ농축물
Extracts, essences and concentrates, of coffee, tea or mate and preparations with a basis of these products or with a basis of coffee, tea or mate; roasted chicory and other roasted coffee substitutes, and extracts, essences and concentrates thereof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태국 관세청(Thai Customs)]
태국 차(Tea) 시장의 다변화
시장 조사기관 6WResearch 에 따르면, 태국 차(Tea) 시장은 단기간의 완만한 성장세에서 출발해 중장기적으로 가속적인 성장 국면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된다. 조사기관 6WResearch 는 2025년 3.9% 성장에서 2026년 4.4%로 소폭 확대되며 기반을 다진 뒤, 2029년에는 15.4%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러한 성장세는 기존 차 소비의 확대에 더해 건강 · 웰빙 트렌드, 프리미엄 제품, RTD(Ready-to-Drink) 음료 수요 증가가 맞물리면서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했다.
<태국 차(Tea) 시장 성장률 전망(2025년-2029년)>

* 주: 해당 시장 전망치는 주요 거시경제 요인과 시장 판매 추세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도출
** 주: 해당 차(Tea) 시장에는 녹차(Green Tea), 홍차(Black Tea), 우롱차(Oolong Tea), 허브·과일차(Fruit/Herbal Tea) 등 다양한 제품군이 포함됨
[자료: 6W Research]
아시아 차(Tea) 시장은 중국이 주도권을 잡고 있다. 그 뒤를 인도, 일본, 호주, 한국이 잇는다. 태국은 이러한 흐름 속에서 기술 발전과 시장 확장을 기반으로 꾸준하고 점진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아시아 주요국 티 시장 성장 추세 비교 (2027년 기준) >

[자료: 6W Research]
태국의 차 문화: 녹차·밀크티 중심 선호
YouGov의 설문조사에 따르면, 태국 소비자들의 차(Tea) 소비 행태는 뚜렷한 성장 가능성과 함께 세분화된 선호 패턴을 보여주고 있다. 먼저, 태국 성인의 절반 이상(53%)은 차와 커피를 모두 즐기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21%는 차만을 선택해 마시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커피만을 소비하는 비율은 14%에 그쳐, 태국에서는 차가 여전히 중요한 음료 카테고리로 자리 잡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동남아 3국의 차·커피 소비 패턴 — 태국은 ‘차 단독 소비’ 두드러져>
(단위: %)

* 주: 인도네시아: 성인 2,036명 / 싱가포르: 성인 1,028명 / 태국: 성인 2,057명
[자료: YouGov 설문조사 (2025년 5월 8~12일)]
구체적인 차 종류별 선호도를 살펴보면, 태국인들은 특히 녹차(68%)와 밀크티(64%)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건강·웰빙을 중시하는 트렌드와 더불어, 전통적인 태국 밀크티 문화가 여전히 강하게 자리 잡고 있음을 반영한다. 또한, 버블티(49%)와 우롱차(31%) 같은 새로운 카테고리도 높은 비중을 차지하며,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다양한 차 소비가 확산되고 있다. 반면, 홍차(28%)의 선호도는 인도네시아(64%)나 싱가포르(48%)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아, 태국 소비자들의 차 문화가 녹차·밀크티 중심으로 재편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태국은 녹차·밀크티, 인도네시아는 홍차… 아시아 3개국 차 소비 트렌드>
(단위: %)

* 주: 인도네시아: 성인 1,656명 조사 / 싱가포르: 성인 931명 조사 / 태국: 성인 1,511명
[자료: YouGov 설문조사 (2025년 5월 8~12일)]
태국 차 시장의 변화 흐름
1. 건강 중심 소비 확대
태국 차 시장에서 두드러지는 주요 트렌드 중 하나는 건강 중심 소비의 확산이다. 최근 소비자들은 단순히 갈증 해소를 위한 음료가 아닌, 건강과 웰빙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차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녹차, 허브티, 과일차 등 항산화 성분이 풍부하고 기능성을 갖춘 제품군의 인기가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 특히 면역력 강화, 체중 관리, 디톡스(Detox) 효과와 같은 부가 가치를 강조한 차 제품이 젊은 세대와 건강 의식이 높은 소비층에서 크게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태국 내에서도 유기농·프리미엄 차 제품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브랜드 The Matcha Tokyo가 태국 시장에 선보인 프리미엄 유기농 말차(Matcha) 메뉴는 대표적인 사례로, 현지 소비자들 사이에서 건강하고 고급스러운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는 선택지로 각광받고 있다. 이처럼 글로벌 브랜드뿐만 아니라 태국 로컬 기업들도 기능성과 프리미엄 가치를 결합한 제품 개발에 주력하면서, 건강 중심 소비 트렌드는 앞으로도 태국 차 시장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태국 내 The Matcha Tokyo 브랜드의 프리미엄 유기농 말차(Matcha) 메뉴>


[자료: The Matcha Tokyo]
2. 편의성 높인 간편 음용 차 제품의 성장
RTD(Ready-to-Drink) 형태의 간편 음용 차 제품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편의점과 슈퍼마켓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는 병·캔 제품이 인기를 얻고 있으며, 이동 중에도 간단히 즐길 수 있는 패키징 덕분에 특히 젊은 세대와 직장인에게 매력적으로 다가가고 있다. 이러한 흐름은 전통적인 티 카페 중심 소비를 넘어, 차 시장이 빠르게 판매되는 소비재 FMCG(Fast-Moving Consumer Goods) 영역으로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태국 편의점·마트 내 RTD(Ready-to-Drink) 차 음료 진열대>

[자료: Alamy – Bangkok, Thailand]
3. 디지털 전환과 멀티채널 전략 강화
태국 차 시장의 또 다른 핵심 트렌드는 디지털 전환과 유통 채널의 다변화이다. 최근 전자상거래 플랫폼의 성장으로 소비자들은 다양한 차 제품을 온라인에서 손쉽게 비교·구매할 수 있게 되었으며, 기업들은 이를 활용해 프리미엄·유기농 제품을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특히 Shopee, Lazada 등 주요 온라인몰에서 태국 대표 브랜드들이 활발히 활동하며, 소비자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고 있다. 아울러, 온라인 플랫폼의 AI 기반 소비자 분석과 맞춤형 추천 서비스는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고, 기업들이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는 핵심 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 같은 디지털 전환 흐름은 기존 유통 구조를 넘어선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태국 차 시장의 경쟁 구도를 한층 심화시키고 있다.
<태국 티 브랜드 ‘ChaTraMue’의 전자상거래 플랫폼 입점 현황(Shopee & Lazada)>


[자료: 기업 홈페이지]
시장 도전 과제
조사기관 6WResearch 에 따르면, 태국 차 시장은 높은 성장 잠재력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도전 과제에 직면해 있다. 무엇보다 원자재 가격의 변동은 생산비용을 불안정하게 만들어 기업들의 수익성에 직접적인 부담을 주고 있다. 기후 변화로 인한 불규칙한 강수량과 기온 변화는 양질의 찻잎 공급을 위협하고 있어 안정적인 생산 체계 구축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또한 다른 음료와의 경쟁 심화 역시 시장 확장의 걸림돌로 작용한다. 커피, 청량음료, 기능성 음료 등 다양한 대체재가 소비자들의 선택지를 넓히면서 차의 시장 점유율 확대를 제한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규제 요건의 강화도 중소규모 기업들에게는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태국 식약청(FDA)을 비롯한 관련 기관이 차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 관리 기준을 엄격히 적용하면서, 자본과 경험이 부족한 중소기업은 이에 대응하기 어렵다. 이와 같은 도전 과제들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공급망 관리, 차별화된 제품 경쟁력 강화, 그리고 규제 준수 역량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시사점
태국 차 시장은 전통적인 소비 기반 위에서 건강 · 웰빙 트렌드, 전자상거래 확대, 프리미엄화 추세가 맞물리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의 증가로 녹차, 허브티, 유기농 등 고급 제품군의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기업들이 차별화된 제품 전략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함을 보여준다.
태국 로컬 브랜드ChaTraMue 의 공격적인 매장 확장은 이러한 성장 잠재력을 잘 드러낸다. 현재 태국 내 225개, 해외 13개국 130개 매장을 운영 중인 ChaTraMue 는 2025년에만 국내 30개, 해외 10개 매장을 새로 열 계획이다. 최근 9월 10일 방콕 센트럴 파크 몰에 오픈한 신규 브랜드 “CTM (Captivating Tea Muse)” 1호점은 스페셜티 시장을 겨냥한 프리미엄 전략으로, 제품 다변화와 소비자 선택권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ChaTraMue 매장 운영을 담당하는 매니저 C씨는 KOTRA 방콕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다양한 브랜드 진출로 가격 경쟁이 치열해졌다”라며 “한 잔에 50바트 수준의 대중용 차부터 고가 프리미엄 차까지 폭넓은 시장이 형성되고 있다”라고 밝혔다. 매니저 C씨는 이어 “태국 경제가 부진하지만 음식과 음료 산업은 여전히 중요한 소비 산업으로 낙관적으로 보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센트럴파크 몰에 오픈한CTM (Captivating Tea Muse) 1호점 매장 전경>


[자료: Post Today]
이 같은 변화는 태국 로컬 브랜드가 국내 입지를 강화하는 동시에 글로벌 무대에서도 경쟁력을 넓히며, 건강 · 프리미엄 · 다양화라는 차 시장의 핵심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원자재 가격 변동, 기후 변화로 인한 공급 불안정, 커피·청량음료 등 대체 음료와의 경쟁은 여전히 시장의 위험 요인이다. 또한 태국FDA의 엄격한 품질 규제는 중소기업의 진입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어, 안정적 공급망 관리와 규제 대응 역량 확보가 향후 지속 성장을 위한 핵심 과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자료: 6W Research, 관세법령정보포털, 태국 관세청(Thai Customs), YouGov, Alamy, Post Today, The Matcha Tokyo, 현지 언론 및 각 기업 홈페이지 및 KOTRA 방콕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태국 차(Tea) 시장의 다변화: 녹차와 밀크티에서 편의성 높인 간편 음료까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미국 컴퓨터 모니터 시장동향
미국 2025-09-12
-
2
산둥성을 중심으로 알아보는 중국의 콜드체인 산업
중국 2025-09-15
-
3
스페셜티 시장으로 나아가는 라오스 커피 산업
라오스 2025-09-15
-
4
태국 펫케어 시장 트렌드: 중가 프리미엄화, 건강·웰빙, 온라인 유통 확대
태국 2025-09-15
-
5
싱가포르 HDB 홈카페(Home Café) 트렌드 확산, 소형가전·주방용품 수요 증가
싱가포르 2025-09-23
-
6
일본 전기차 배터리 산업, 공급망 내재화 위한 전략적 조정 국면 진입
일본 2025-09-22
-
1
2025년 태국 데이터 센터 산업 정보
태국 2025-05-30
-
2
2025년 태국 보석산업 정보
태국 2025-03-06
-
3
2024년 태국 금융산업 정보
태국 2024-05-10
-
4
2024 태국 물류산업 정보
태국 2024-04-11
-
5
2024 태국 건설산업 정보
태국 2024-04-09
-
6
2024년 태국 관광산업 정보
태국 2024-0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