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영국 의료기기 시장동향
  • 상품DB
  • 영국
  • 런던무역관 박선민
  • 2025-09-16
  • 출처 : KOTRA

2024년 기준 시장 규모 184억7000만 달러로 세계 5위

영국 내 인구 고령화 및 만성질환 증가로 중장기적 성장세 지속 전망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9018.90에 해당하는 제품에는 임신 진단기, 외과수술용 기기, 레이저 작동식 기기, 산부인과용 기기, 내시경류(위내시경, 복막경, 방광경 등), 인공신장기(투석기 포함), 경피전기신경자극기, 수의과용 기기, 피부과용 기기 등이 있으며, 이들의 부분품 및 부속품도 포함된다.

 

HS 코드

상품명

9018.90

내과용·외과용·치과용 또는 수의용의 기기, 기타의 의료용 기기


시장 동향

 

Statista에 따르면, 2024년 영국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184억7000만 달러로 미국, 중국, 독일, 일본에 이어 세계 5위 시장에 해당한다. 시장은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연평균 5.6% 성장해 2030년에는 258억300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주요 품목 가운데 심혈관 의료기기(Cardiology Devices)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2025년 기준 약 28억7000만 달러 규모로 추산된다.


<2016~2030년 영국 의료기기 시장규모>

(단위: US$ 십억)

 

* 주: 2025~2030년 수치는 예상치 및 전망치

[자료: Statista]


심혈관 의료기기가 큰 비중을 차지하는 데에는 영국 내 고령화와 만성질환 심화가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British Heart Foundation에서 20251월 발표한 「UK Factsheet」에 따르면, 영국 내 심혈관 및 순환기 질환 환자 수는 760만 명으로 집계되며, 2030년까지 860만 명, 2040년까지 96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이에 따라 심장 관련 카테터, 주사기 등 만성질환 관리용 의료기기 수요가 지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이슈

 

① AI 및 디지털 헬스케어 확산

 

최근 영국 의료 산업에서는 인공지능(AI), 로봇공학(Robotics), 사물인터넷(IoT) 등을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가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하고 있다특히 로봇수술진단기기 및 시스템 운영 등에 AI가 적극 활용되고 있으며암 치료환자 모니터링 등 다양한 의료 분야로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 Kheiron Medical Technologies는 유방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유방 촬영술(mammogram)을 정밀도로 분석하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으며, Behold.ai는 X선 판독 지원 기술을 개발하는 등 다양한 기업들이 활동 중이다.

 

영국 혁신청(Innovate UK)에서는 AI 활용을 포함한 의료산업 분야의 발전을 촉진하기 위해 7개의 규제 과학 및 혁신 우수센터(Centers of Excellence for Regulatory Science and Innovation, CERSIs)를 위한 620만 파운드(한화 약 116억8321만 원)를 발표했다해당 프로젝트는 영국 내 의료 혁신의 개발과 승인을 이끌어갈 수 있도록 도구프레임워크가이드라인 등을 마련해 디지털 헬스케어첨단 치료제정밀 의학 등의 분야에서의 핵심 과제를 해결하는 데 이바지할 전망이다.


 <영국의 규제 과학 및 혁신 우수센터>

프로젝트명

관련 기관/기업

목표

Digital Transformation of Medicines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스트래스클라이드 대학교 (University of Strathclyde)

신약 개발 과정에서의 디지털 도구 도입 가속화

The UK Regulatory Innovation Network for Advanced Therapies

세포 및 유전자 치료 촉진센터

(Cell and Gene Therapy Catapult)

첨단 치료제 의약품 규제 간소화

Regulatory Science Empowering Innovation in Transformative Digital Health and AI

런던 브루넬 대학교

(Brunel University of London)

안전하게 AI 기반 헬스케어

솔루션 잠재력 극대화

Centre of Excellence on In-silico Regulatory Science and Innovation

맨체스터 대학교

(The University of Manchester)

규제 절차에 컴퓨터 모델에서 얻은 증거를 통합

Clinical Evaluation and Assessment for Regulation of Diagnostic Tests

Psephos Biomedica

(영국 의료기기 규제 및 임상 컨설팅 기업)

환자에게 안전하게 진단 검사가 제공될 수 있도록 지원

Centre of Excellence for Regulatory Science and Innovation in AI and Digital Health Technologies

버밍엄 대학교

(University of Birmingham)

AI 및 디지털 헬스케어 기술 규제를 최적화해 안전하고 효과적인 혁신 보장

Centre for Excellence in Regulatory Science and Innovation in Pharmacogenomics

리버풀 대학교

(University of Liverpool)

약물유전체학 (Pharmacogenomics) 활용 가이드라인 개발 및 관련 분야 투자 유치

[자료영국 연구혁신청(Innovate UK)]


② 시판 후 안정성조사 의무화

 

2025년 6월 16일부터 의약품건강관리제품규제청(Medicines and Healthcare products Regulatory Agency, MHRA)은 시판 후 안정성조사(Post-Market Surveillance, PMS) 규정을 시행했다이에 따라 의료기기 제조업체는 제품의 안정성과 성능을 적극적으로 추적 및 보고해야 하며중대한 사고 발생 시 즉각적인 대응이 요구된다본 규정은 UKCA* 및 CE 인증**을 받은 모든 의료기기에 적용된다.

 * 주1: (UKCA) Brexit 이후 CE 인증마크를 대체하기 위해 만들어진 영국 품질인증마크로영국 시장에서 유통되는 제품에 부착 필수

** 주2: (CE) 안전건강환경 및 소비자 보호와 관련해 EU 이사회 지침의 요구 사항을 모두 만족한다는 의미의 통합 규격 인증 마크로유럽연합 및 유럽경제지역 국가에서 제품을 유통 판매하기 위해 부착 필요

 

주재국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2024년 기준 영국의 의료기기 수입 규모는 277670만 달러로, 전년의 27억1265만 달러 대비 약 2% 증가했다. 전체 시장 규모(1847000만 달러)에 비하면 약 15% 수준으로, 시장 내에서 수입품이 차지하는 점유율은 제한적인 편이다. 그러나 상위 5개국(미국, 아일랜드, 독일, 멕시코,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전체의 약 60%를 차지하면서 특정국 의존도가 높은 구조를 보인다.

 

미국은 전체 수입의 28.57%(79352만 달러)를 차지해 단일 최대 공급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아일랜드는 2023년 이후 빠른 증가세를 보이며 9.9%(27493만 달러)까지 점유율이 확대됐다. 독일(7.9%), 멕시코(7.6%), 중국(6.6%)도 주요 수입국으로 집계됐다. 한편, 한국산 의료기기 수입액은 2024년 기준 1549만 달러로 전체의 0.6%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국 의료기기(HS Code 901890 기준) 수입 동향>

(단위: US$ , %)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비율

('24 기준)

증감률

('24/'23)

2022

2023

2024

 

전 세계

2,660,974

2,712,653

2,776,700

100

2.4

1

미국

740,396

813,689

793,528

28.6

-2.5

2

아일랜드

137,307

241,363

274,934

9.9

13.9

3

독일

205,593

222,122

219,704

7.9

-1.1

4

멕시코

160,927

198,437

210,408

7.6

6.0

5

중국

174,997

175,914

182,460

6.6

3.7

6

일본

135,017

165,601

129,702

4.7

-21.7

7

프랑스

65,533

64,319

65,555

2.4

1.9

8

이탈리아

61,982

65,801

65,127

2.3

-1.0

9

말레이시아

30,729

43,535

57,868

2.1

32.9

10

스위스

52,752

49,457

53,756

1.9

7.6

24

대한민국

17,651

23,000

15,495

0.6

-32.6

[자료: GTA, 2025.9.12.]

 

<영국의 대한국 의료기기 수입현황(HS Code 901890 기준)>

(단위: US$ , %)

HS Code

품목명

수입액

비율

('24 기준)

증감률

('24/'23)

2022

2023

2024

901890

그 밖의 의료기기

17,651

23,000

15,495

100

-32.6

90189084

기타

14,465

11,384

13,241

85.44

16.3

90189060

마취 장치 및 기기

644

1,035

899

5.80

-13.1

90189020

내시경

1,884

9,734

573

3.69

-94.1

90189040

열 투과성 장치

254

293

369

2.37

26.0

90189050

수혈 및 주입 장치

9

418

287

1.85

-31.4

90189010

혈압 측정 기기 및 장치

28

8

69

0.44

783.3

90189075

신경자극장치

368

99

58

0.37

-41.7

90189030

신장투석장비

-

28

-

-

-

[자료: GTA, 2025.9.12.]

 

경쟁 동향

 

영국 의료기기 시장은 다국적 기업 중심의 경쟁 구도가 형성돼 있다. 존슨앤존슨(Johnson & Johnson) MedTech가 높은 시장 점유율을 확보하고 있으며, 영국 기업으로는 콘바텍(ConvaTec Group)과 유로플라츠(Europlaz) 등이 있다.

 

<영국 내 주요 의료기기 기업>

회사명

본사

집중 분야

특징

Johnson & Johnson

MedTech

뉴브런즈윅, 미국

(NewBrunswick, the US)

정형외과용, 수술 장비, 심혈관 기기, 진단 및 치료용 카테터 등

- Johnson&Johnson의 자회사로 비만 수술, 인공 관절, 두개악안면, 정형외과 외상 등과 관련된 제품 및 솔루션에 주력

Medtronic PLC

더블린, 아일랜드

(Dublin, Ireland)

심장박동 관리 기기, AI 기반 암 진단 기기, 당뇨 관리 기기 등

- 미국-아일랜드 의료기기 회사로, 약 150개국에 제품과 서비스 제공

- 로봇 보조 수술 (Robot Assisted Surgery) 시스템 및 솔루션 사업 확장

Siemens Healthineers AG

에를랑겐, 독일

(Erlanen, Germany)

초음파 장치(Ultrasound Systems), 첨단 영상 장비, X-ray 튜브 등

- 영국의 의료기술 주도 기업으로 70개국 이상의 국가에 제품 공급

- 약 2만3000개의 의료기술 IP 및 1만4000개 이상의 특허 보유

Abbott Laboratories

시카고, 미국

(Chicago, the US)

심혈관 관련 의료기기, 카테터, 당뇨 관리, 진단기기, 신경조절술에 필요한 기기 등

- 심혈관 치료 분야 업계 최고 수준의 파이프라인과 종합적인 제품 포트폴리오 보유

ConvaTec Group plc

런던, 영국

(London, the UK)

주입 장치, 상처 치료, 억제 및 중환자 치료(Continence care), 스토마 케어(Stoma care)

- 영국을 포함한 약 90개국에 제품과 서비스 제공

- 만성 질환 관리 솔루션에 주력

Europlaz

사우스민스터, 영국

(Southminster, the UK)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품을 사용한 소형 또는 중형 의료기기 등

- 의료 및 생명 과학 분야의 부품이나 기기 디자인, 개발, 생산 등을 지원

[자료: 각 기업 웹사이트 및 KOTRA 런던무역관 종합]


관세율 및 인증


한-영 FTA에 따라 HS 코드 9018.90 품목의 영국 수입 관세율은 0%가 적용되며, 2025년 9월 기준 해당 품목에 대한 반덤핑, 상계관세, 세이프가드 조치는 없다.


영국 내 의료기기 판매를 위해서는 의약품건강관리제품규제청(MHRA)에 등록이 필수적이다. 또한, 영국 이외의 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는 제조업체의 경우, 영국 시장에 출시하려는 모든 기기에 대한 특정 업무(등록 등)를 수행할 수 있는 영국 책임자(UK Responsible Person, RP)를 지정해야 한다.


영국 시장에서 유통되는 제품은 UKCA 인증 취득이 필수다. CE 인증 제품은 인증서 만료일 또는 2028년 6월 30일(체외 진단기기는 2030년 6월 30일)까지 한시적으로 유통할 수 있다. UKCA 인증 관련 절차 및 방법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주: (자료 링크) https://www.gov.uk/guidance/medical-devices-conformity-assessment-and-the-ukca-mark

 

유통 구조

 

영국은 NHS(National Healthcare Service)가 전체 진료의 약 87%를 차지하는 국가 의료 모델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들이 의료기기 시장의 최대 구매력을 보유하고 있다.

 

NHS는 상품과 서비스를 구매할 때 계약 금액, 제품·서비스 유형, 계약 기간 등에 따라 다양한 조달 방식을 선택한다. NHS에 직접 공급하려는 기업은 Contracts FinderFind a Tender*를 통해 조달 기회를 확인할 수 있으며, 모든 입찰 정보는 NHS의 전자 조달 시스템(Atamis)**에도 공개된다. 다만, 등록된 회원만 입찰 공고를 열람하고 참여할 수 있으므로 공급을 희망하는 업체는 Atamis에 등록해야 한다.

 * 주1: (링크) Contracts Finder: https://www.gov.uk/contracts-finder 

         (링크) Find a Tender: https://www.gov.uk/find-tender

** 주2: Atamis: NHS 대부분의 조직이 사용하는 통합 전자 조달 시스템으로, 조달 계획, 입찰, 계약, 공급업체 관리, 지속 가능성 평가 수행, 공고된 입찰 정보 열람 및 사용자 가이드 제공, 관련 비즈니스 기회가 게시되면 알림 제공 등의 기능 제공

         (링크) https://atamis-1928.my.site.com/s/Welcome

 

① 소액 구매 (£1(약 1884만 원) 미만)

 

소액 구매는 약관 링크가 포함된 간단한 구매 주문서(Purchase Order)가 발행되며, NHS는 계약 체결 의무가 없는 상태에서 견적을 요청할 수 있다. 적용 조건은 제품·서비스·공사(work) 유형에 따라 다르다.

 

② 표준 계약(Standard Contracts)

 

표준 계약은 다음 세 가지 방식 중 하나로 진행된다.

 

(1) 견적 요청(Invitation to Quote) 발주 기관이 미리 선정한 일부 업체에 직접 견적을 요청하고, 제출된 가격과 조건을 비교해 계약자를 선정하는 방식이다.

(2) 정식 공개경쟁 입찰(Full Competitive Tender Exercise) 전 세계 모든 관심 있는 업체가 참여할 수 있는 공개 입찰 방식이다.

(3) 단일 공급업체 입찰(Single Supplier Tender) 매우 예외적인 상황에서 특정 사유가 있을 때만 허용되며, 한 업체와만 직접 계약을 체결하는 방식이다.

 

③ 공동 공급 계약(Collaborative Supply Agreements)


정부가 대표가 돼 체결하는 공동 조달 협정(Collaborative Agreements)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경우도 있다. 영국 조달청(Crown Commercial Service, CCS)에서 공통된 단일 계약 조건을 협상해 두면, 타 정부 부처, NHS, 지방정부 등 공공기관이 같은 조건으로 실제 주문 계약(하위 계약)을 체결하는 형식이다. NHS England는 자체적으로 모든 계약을 새로 협상하는 대신 CCS가 정부 차원에서 협상해 둔 협업 계약을 활용해 계약을 체결한다.

 

④ 프레임워크 협정(Framework agreements)

 

프레임워크 협정은 일정 기간 특정 공급업체와 조건, 약관, 가격 등을 미리 합의해 두고, 필요시 주문을 진행하는 방식이다. 공급기업은 예상 수량과 가격 등 조건을 제시해 입찰에 참여하며, 선정된 업체들은 ‘승인된 공급망 리스트(list of approved suppliers)’에 포함된다. 수요기관은 이후 필요시 이 리스트를 활용해 공급자를 지정하거나, 리스트 내에서 소규모 경쟁 입찰(mini-competition)을 진행할 수 있다.


이 외에도 Steroplast Healthcare Limited, Williams Medical Supplies 등 NHS나 개인 병원에 제품을 납품하는 유통사에 제품을 판매하는 방법도 있다. 영국 내 주요 의료기기 유통사는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다.


<영국 주요 의료기기 유통사>

회사명

개요

집중 분야

링크

Steroplast Healthcare Limited

- 영국 병원 및 응급 서비스 기관 납품

주사 및 주입 용품, 수혈 및 주입용 카테터 등

https://www.steroplast.co.uk/

Vygon Ltd

- 혈관 액세스(access) 및 주입 제품 등의 의료기기 제조사이자 유통사

과거 Kimberly-Clark 사의 위루관(feeding tube) 제품군 유통

카테터, 주입, 외과 소모품

https://vygon.co.uk/

Aquilant Ltd

- 유럽, 미국등 다양한 의료기기 제조업체제품 유통

- Healthcare 21 Group 자회사 태웅메디컬 제품 유통

외과 내시경 수술 소모품

https://healthcare21.eu/

Williams Medical Supplies

- 영국 대규모 의료용품 공급업체로 병원, 의원, 요양 시설 등 광범위한 고객 보유

마취 및 주입장비, 소모품

https://www.wms.co.uk/

GBUK Group

- NHS 공급망 상위 20대 공급업체

주사기 및 바늘, 수혈 및 주입용 카테터

https://gbukgroup.com/

[자료: 각 기업 웹사이트 및 KOTRA 런던무역관 종합]

 

시사점 


영국의 의료기기 시장은 자국 생산 기반이 견고해 전체 시장 규모 대비 수입 비중은 크지 않으나, 수입 물량의 상당 부분이 미국, 아일랜드 등 일부 국가에 집중돼 있어 공급망 안정성 측면에서 취약성이 존재할 수 있다. 더불어 영국 정부도 의료 제품 공급망의 회복력(resilience) 강화를 주요 과제로 삼고 있으며, 다수 공급업체 확보 및 국내외 생산 거점 다변화와 같은 조치를 강조하고 있다. 2023년 한국산 의료기기 수입 규모가 일시적으로 확대된 사례는 국내 기업이 규제 요건 충족과 공급망 협력에 성공할 경우 시장 진입 기회를 확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다만, 영국 시장은 NHS 중심의 공공 조달 구조로 인해 진입 장벽이 상대적으로 높다. 따라서 현지 유통사 및 대형 딜러와의 파트너십 구축, NHS 조달 절차 및 프레임워크에 대한 체계적 대응, UK RP(Responsible Person) 지정 및 필수 인증(UKCA, CE ) 확보 등이 핵심 전략으로 요구된다. 특히 NHS 입찰에서는 단가 경쟁력 외에도 제품 안정성, 시판 후 안정성조사(PMS) 체계, 지속 가능성 요건이 중요한 가치 평가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준비가 뒷받침돼야 한다.

 

아울러 영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AI 및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는 NHS의 도입 의지도 높아 성장 잠재력이 큰 영역이다. 따라서 기술 차별성을 갖춘 우리 기업은 NHS 공공 조달 절차 이해를 기반으로 해당 분야를 전략적으로 공략한다면 영국 시장 진입 가능성을 한층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Statista, GTA, 각 기업 웹사이트, 영국 연구혁신청(Innovate UK), KOTRA 런던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영국 의료기기 시장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