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UAE 의료기기 시장동향
  • 상품DB
  • 아랍에미리트
  • 두바이무역관 박미진
  • 2025-09-15
  • 출처 : KOTRA

시장 성장세 계속, 2029년 16억 달러 전망

네덜란드, 미국, 독일 강세 속 수입 의존도 여전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HS 코드

의료기기

901890


시장동향

 

2025 UAE 의료기기 시장은 13억5820만 달러로 추산되며연평균 4.7% 성장해 2029년 16억1960만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유가 안정으로 인한 국가 재정 확대, 관광 산업이 주도하는 비석유부문의 호조뿐만 아니라 정부차원의 헬스케어 인프라 투자 확대, 정책 지원, 개인의 의료비 지출 증가 등이 호재로 작용하고 있다. 아울러 디지털 헬스 및 인공지능(AI) 솔루션 투자 증가, 의료제품 역내 생산 확대 등이 중장기 성장의 동력이 될 전망이다.

 

한편 국제 유가 하락, 장기화되는 역내 분쟁은 주요 하방 리스크로 지목된다. 다만 UAE는 이란과의 관계 개선, 홍해 위기에서의 중립적 입장 견지로 비교적 안정적인 환경을 유지하고 있으며, 정치적 안정성과 정책 연속성 확보는 이러한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다.

 

<UAE 의료기기 시장 규모 현황과 전망>

(단위: US$ 백만)


2024e

2025f

2026f

2027f

2028f

2029f

총계

1,283.6

1,358.2

1,428.2

1,500.7

1,558.9

1,619.6

주: e는 추산치, f는 전망치

[자료: Fitch Solutions]

 

2025년 UAE 의료기기 시장을 제품 카테고리별로 살펴보면 진단영상기기가 3억2270만 달러 상당으로 가장 큰 비중(23.8%)을 차지했다. 이어 의료 소모품 (2억6520만 달러, 19.5%), 환자 보조용품 (1억1870만 달러, 8.7%), 정형·보철기기 (1억1650만 달러, 8.6%), 치과 기자재 (9730만 달러, 7.2%)가 주요 카테고리에 이름을 올렸다.

  

<UAE 의료기기 카테고리별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

구분

2024e

2025f

2026f

2027f

2028f

2029f

진단영상기기

305.4

322.7

338.9

355.1

372.4

391.3

의료 소모품

253.7

265.2

277.8

290.7

304.2

318.3

환자 보조용품

110.4

118.7

126.6

131.5

136.6

141.5

정형·보철기기

110.7

116.5

120.7

124.8

129.2

132.7

치과 기자재

93.6

97.3

101.2

105.3

109.7

114.4

기타

405.5

434.9

463.1

493.2

506.2

521.3

총계

1,283.6

1,358.2

1,428.2

1,500.7

1,558.9

1,619.6

* 주: e는 추산치, f는 전망치

[자료: Fitch Solutions]

 

UAE 의료기기 시장이 2029년까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진단영상기기, 의료 소모품, 환자 보조용품, 정형·보철기기, 환자 보조용품 등 주요 카테고리 모두 연평균 3~5%대의 고른 성장을 기록할 전망이다.

 

진단영상기기는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카테고리로 손꼽힌다. 고가 장비 수요 확대 및 AI 기술 확산에 따른 장비 고도화가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시장은 2029년까지 연평균 5.1% 성장해 3억9130만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의료 소모품 시장은 연평균 4.6% 성장해 2029년에는 3억1830만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단기적으로 GDP 성장이 수요 확대를 견인하며, 장기적으로는 만성질환 증가와 정부의 보건 인프라 확충 등이 시장 확대를 뒷받침할 전망이다.

 

환자 보조기기 시장은 연평균 4.3% 성장해 2029년 1억415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헬스 솔루션과 정부의 보건의료 투자 확대가 주요 성장 요인이다.

 

정형·보철기기 시장은 연평균 3.7% 성장해 2029년 1억3270만 달러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정형외과 수술을 위한 로봇 도입에 적극적인 정책 기조가 긍정적 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치과 기자재 시장은 연평균 4.1% 성장해 2029년에는 1억1440만 달러 규모에 도달할 전망이다. 충치 및 치주질환 증가, 심미·레이저 치과 수요 확대와 더불어 의료관광 성장, 치과 분야 기술혁신이 시장 확대를 이끌 것으로 보인다.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UAE의 2024년 의료기기 수입액은 4억4532만 달러로 전년의 4억374만 달러 대비 10.3% 증가했다. 최대 수입국은 네덜란드로 2024년 기준 약 7908만 달러를 수입했으며, 전체 수입액의 17.8%에 달했다. 미국은 근소한 차이(약 7572만 달러)로 2위에, 이어 독일이 약 6663만 달러로 3위에 올랐다.


2024년 UAE의 대한 수입액은 2097만 달러로 UAE 전체 수입의 4.7%의 비중을 차지했다.

 

<UAE 의료기기 對 세계 수입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명

수입액

증감률

('24/'23)

비중

('24 기준)

2022

2023

2024

총계

346,275

403,748

445,324

10.3

-

1

네덜란드

50,266

65,381

79,083

21.0

17.8

2

미국

70,412

70,937

75,722

6.8

17.0

3

독일

48,401

66,791

66,638

-0.2

15.0

4

중국

31,751

30,545

38,959

27.6

8.7

5

파키스탄

21,801

23,036

23,818

3.4

5.3

6

벨기에

22,061

13,633

21,665

58.9

4.9

7

대한민국

18,526

20,601

20,971

1.8

4.7

8

이탈리아

12,266

16,169

12,855

-20.5

2.9

9

영국

5,538

11,285

11,923

5.7

2.7

10

일본

8,031

8,894

10,589

19.1

2.4

 * 주: HS Code 901890 기준, UAE 차원에서 최신 통계를 발표하지 않는 바 UAE로 수출한 국가의 수출액을 바탕으로 수입액 산정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9월]

                                   

경쟁 동향

 

UAE 의료기기 시장은 대부분의 품목에 대한 수요를 수입에 의존하는 구조며, 특히 진단영상기기, 정형·보철기기, 인공 기관 등 고성능 제품에 대한 글로벌 기업 선호도가 높은 편이다. 반면, 환자 보조용품이나 의료 소모품의 경우 가격 경쟁력이 높은 중국산 제품이 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업계 관계자들은 선진국에서 교육받은 의료 인력이 많아 글로벌 브랜드 충성도가 높다고 분석하며, 특히 필립스, 지멘스, GE 헬스케어 등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UAE 대표 의료기기 브랜드 개요>

브랜드명

제조국

소개

네덜란드

· 필립스 헬스케어(Philips Healthcare)는 중동 지역 본부를 두바이에 두고 사우디아라비아, 레바논, 파키스탄 외 15개 시장을 관할

· UAE에서는 일반 초음파 영상진단기, 심혈관 초음파, 산부인과용 초음파 모두 대형 병원 그룹 위주로 납품 중

· 알 하빕 메디컬 그룹(Al Habib Medical Group), 브이피에스 헬스케어(VPS Healthcare) 등 현지 대표 헬스케어 프로바이더들과 긴밀한 협력을 하며 시장 지배력 확대 중

미국

· 디지털 솔루션 분야의 글로벌 선두 주자인 지이 헬스케어(GE Healthcare)는 영상 진단, 초음파기기, 라이프 케어 솔루션 등 폭넓은 포트폴리오를 바탕으로 UAE에서 높은 신뢰도를 확보함

· 아메리칸 병원(American Hospital), 알카시미 병원(Al Qassimi Hospital), 가르가시 병원(Gargash Hospital), 알타다위 헬스케어 그룹(Al Tadawi Healthcare Group)등 역내 대표 병원들과 협업 중

독일

· 1999년 UAE에 사무소를 설립하고 UAE와 인근 걸프 지역을 관할함

· MRI, CT, X-Ray 및 초음파 기기를 포함하는 영상 진단기기 등 다양한 분야의 포트폴리오를 운영 중

· 아스터 디엠 헬스케어(Aster DM Healthcare), 파크리 대학 병원(Fakeeh University Hospital)과 같은 민간부문 헬스케어 프로바이더뿐 아니라 아부다비 병원관리청(Abu Dhabi Health Services Co, SEHA)과 같은 공공부문과의 협력 진행 중

[자료: 각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

  

유통구조

 

UAE에서 의료기기를 유통하는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연방 보건예방부(MoHAP, Ministry of Health and Prevention) 관할 의료기기 취급면허(Medical Warehouse License)를 보유한 현지 대리점(디스트리뷰터)을 선임하는 것이다. 지정된 대리점은 해외 제조업체를 대신해 제품에 대한 보건예방부 승인을 취득한 후 역내 병·의원 등 최종 수요처에 납품한다.

 

<UAE 의료분야 주요 대리점>

로고

기업명

웹사이트

소개


메트로 메드

(Metromed)

www.metromed.me

· 1990년에 설립된 대표 헬스케어, 의료기기 분야 유통 기업


파라마운트 메디컬

이큅먼트 트레이딩

(Paramount Medical Eq. Trading)

https://paramountuae.com

· 1995년 설립, 선도적인 의료 장비 마케팅 및 유통 회사


지르콘 메디컬 이큅먼트

(Zircon Medical Equipment)

www.zircon.ae

· 2013년 설립, 치과 및 의료 장비 분야 주요 유통사


두바이 메디컬 이큅먼트

(Dubai Medical Equipment)

www.dme-medical.com

· 2005년 설립된 치과 장비 공급 전문 기업


원 헬스

(One Health)

https://onehealth.ae

· Pure Health 그룹 산하 의료 및 진단 장비 유통 기업

[자료: KOTRA 두바이무역관 정리]

 

다수의 브랜드와 다양한 제품 카테고리의 유통 권한을 보유한 대리점은 신규 병원 설립 시 턴키 방식(일괄 수주 계약)으로 대규모 납품을 수행하기도 한다. 따라서 대리점의 역량이 현지 시장 진출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 요소라 할 수 있다. 다만 대리점 계약은 사실상 독점에 가까워 향후 계약 해지가 매우 어렵기 때문에 사전에 해당 대리점의 영업력과 사업 수행 능력을 면밀히 검토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글로벌 기업의 경우 현지 법인설립을 통한 직접 진출을 진행하기도 하나, 현지 사업체 등록과 의료기기 취급면허 취득을 위한 초기 진출 비용과 시간 소요가 많은 바 대리점을 통한 현지 유통이 중소 기업들에는 좀 더 보편적인 방안이다.

 

<UAE 유통구조 도식화>

[자료 : KOTRA 두바이무역관 정리]

 

관세 및 인증

 

① 관세

 

UAE 연방 관세청이 HS Code 901890에 부과하는 관세는 5%다.

 

② 인증

 

UAE에 의료기기를 수출하려는 해외 제조업체는 연방 보건예방부(MoHAP)가 발급하는 의료기기 취급면허를 보유한 현지 대리점을 지정하고, 해당 대리점을 통해 제품 수입 승인을 받아야 한다. 지정된 대리점은 제조업체를 대신해 제조업체(Manufacturer) 등록을 진행해 제품의 등급(Class)에 맞는 승인을 취득하는 역할을 맡는다.

 

최근 이러한 체계에 큰 변화가 있었다. UAE 정부는 2023년 9월, 독립 규제기관인 에미리트 의약품청(Emirates Drug Establishment)을 신설해 의료기기 관련 관할 권한 이전을 발표했다. 이에 기존 연방 보건예방부(MOHAP) 산하 의약품 등록 및 관리 부서(Registration and Drug Control Department)가 담당하던 제품 수입 승인절차는 에미리트 의약품청으로 이관될 예정이다. 단, 2025년 9월 기준 보건예방부의 제품등록 링크는 활성화돼 있는 상황이다.

 

에미리트 의약품청은 의료기기뿐만 아니라 의약품, 혈액 유래 제품, 유전자 변형 생물(GMO), 줄기세포, 의약 화장품, 동물용 의약품, 농업용 제품까지 관할할 예정으로 알려져 있다.

 

시사점

 

UAE는 연방 및 토후국 정부 차원에서 의료·헬스케어 산업을 최우선 과제로 삼고 있으며, 이는 위 더 UAE 2031(We the UAE 2031)* 비전을 통해 구체화하고 있다. 아울러 주요 민간 헬스케어 프로바이더, 의료기관들도 공격적인 확장을 이어가고 있어 시장 기회는 확대되고 있다.

* UAE의 10개년(2022~2031) 국가 발전 전략으로 사회·경제·외교 전반을 포괄하는 중장기 로드맵. 주요 목표 중 하나는 2031년까지 UAE를 세계 상위 10위권의 의료 서비스 수준 국가로 도약시키는 것임.

 

한편, 글로벌 기업의 선점과 선진국 의료 기술에 대한 선호가 높은 시장으로 신진 기업에는 진입장벽이 존재하는 시장이기도 하다. FDA, CE 인증과 실증 데이터 확보가 필수적이며 현지 대리점 선임과 제품 인증 절차를 정확히 이해해 시행착오를 최소화해야 한다. 특히 현지 경험이 풍부한 대리점과의 협력을 통해 점진적으로 시장을 확대해 나가는 전략이 효과적이다. UAE 진출을 희망하는 우리 기업들은 전시회 참가를 통한 네트워킹과 최신 동향 파악을 병행하며 현지화 전략을 구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UAE 의료 관련 전시회>

전시회명

아랍헬스(Arab Health)

* 2026년부터 세계 헬스케어 전시회(World Health Expo Dubai)로 명칭 변경

전시 주제

의료기기, 의료소비재, 관련 솔루션과 시스템, 서비스 등

개최 장소

두바이 전시센터(Dubai Exhibition Centre)

개최 규모

180여 개국 3800개 업체 참가

주최

인포마 마켓(Informa Markets)

웹사이트

https://www.arabhealthonline.com/en

개최 일자

2026년 2월 9일~12일

 

전시회명

UAE 세계 치과 콘퍼런스 및 아랍지역 치과 전시회 AEEDC

(UAE International Dental Conference and Arab Dental Exhibition)

전시 주제

치과용 의료기자재(기계류, 관련 소모품 및 기구, 약품 등)

개최 장소

두바이 월드 트레이드 센터(Dubai World Trade Centre)

개최 규모

177개국 3900개 업체 참가

주최

INDEX Conferences & Exhibitions

웹사이트

https://aeedc.com/

개최 일자

2026년 1월 19일~21일

[자료: 각 전시회 공식 홈페이지]

 


자료: Fitch Solutions, Ministry of Health and Prevention, 현지언론, KOTRA 두바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UAE 의료기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