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오만 의약품 시장동향
  • 상품DB
  • 오만
  • 무스카트무역관 이슬아
  • 2025-09-15
  • 출처 : KOTRA

수입 의존 속 진입 장벽 높은 오만 의약품 시장, GCC 연계를 통한 전략적 진출 필요성 부각

현지화 강화 정책에 따른 현지업체와의 중장기 협력 모델 모색

상품명 및 HS 코드

 

HS 코드 3004.10~90은 의약품 중 혼합한 것인지에 상관없이 치료용이나 예방용의 것으로서 일정한 투여량으로 한 것(피부 투여의 형식을 취한 것을 포함한다)과 소매용 모양이나 포장을 한 것으로 한정하며, 3002호ㆍ제3005호ㆍ제3006호의 물품은 제외한다.

 

HS 코드 3004 아래 3004.10, 3004.20, 3004.30, 3004.50, 3004.90 등이 의약품에 포함되며, 본문에서는 오만 내 가장 수입 규모가 큰 3004.90의 통계를 다룬다. HS 코드별 지난 5년간의 수입 통계는 아래와 같다.

 

<2020~2024HS 코드 3004.10~90의 수입 현황>

(단위: US$ )

HS 코드

2020

2021

2022

2023

2024

300410

5,865

4,932

6,281

7,406

10,600

300420

16,564

13,862

15,292

15,338

15,637

300430

44,218

51,516

51,518

50,424

63,516

300450

11,817

19,695

21,490

20,574

24,276

300490

301,490

269,093

292,581

341,072

361,907

[단위: 오만 경찰청(Royal Oman Police)]

 

2025년부터 오만은 12자리 HS 코드를 사용하며 2025년부터 3004.90에 해당하는 제품의 오만 HS 코드는 아래와 같다.

 

<HS 코드 300490과 그 하위 분류>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HS 코드

의료 솔루션

(Medical Solution)

인체용 의료 솔루션

(Medical Solution for Human Use)

진단 또는 예방 의학용 의료 솔루션

(Medical solutions for diagnostic or preventive medicine)

300490.11.00.01

기타 인체용 의료 솔루션

(Other medicinal solutions for human use)

300490.11.99.99 

수의학용 의료 솔루션

(Medical Solution for Veterinary Use)

300490.12.00.00 

기타

(Other)

인체용

(For Human Use)

기타 진단 또는 예방 의학용

(Other for diagnostic or preventive medicine)

300490.91.00.01

인체 상처/화상용 소독제와 세정제

(Disinfectants and cleaners for human body wounds/burns)

300490.91.00.02

기타(Other)

300490.91.99.99

수의학용(For Veterinary Use)

300490.92.00.00

[자료: 오만 경찰청(Royal Oman Police)]

 

시장 동향

 

오만 의약품 시장은 정부 주도의 공공의료 시스템과 민간 의료기관의 확대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인구 증가, 만성질환 유병률 증가, 보건의료 인프라 확대, 국민의 생활환경과 의료환경 개선에 따른 기대 수명 증가에 의한 인구 고령화 등이 오만 의약품 시장의 주요 동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오만 정부는 국가 경제 다각화 정책인 Vision 2040을 통해 보건의료 분야의 질적 향상에 중점을 두면서 관련 예산 편성 및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오만 Vision 2040은 질병의 예방을 촉진하고, 비전염성 질병의 부담을 줄이는 지속 가능한 보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을 최우선 순위로 삼고 있다. 오만은 당뇨병·고혈압, 심부전 조기 검진 프로그램, 금연 전략, 신체 활동 및 건강한 식습관 프로그램 등과 같은 국가 차원의 캠페인뿐만 아니라 가당 음료 및 담배에 특별세를 부과하는 등의 신규 세제를 도입해 이러한 질병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 왔다. 또한, 오만 보건부는 오만 국민의 현황에 부합하는 건강 전략 설계와 시행을 위해 비전염성 질병 관련 데이터를 체계적이고 정확하게 수집하기 위한 신규 국가 조사를 2025년부터 시행하고 있다.

 

비전염성 질병(Non Communicable Diseases, NCDs)은 오만 공중보건이 직면한 가장 큰 도전 과제 중 하나다. 활동량이 적은 생활방식, 식습관에 따른 과체중·비만, 친족간의 결혼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높은 유전병 발병률 등이 주된 원인인 비전염성 질병 사망은 오만 전체 사망 원인의 80%를 차지한다. 이로 인해 연간 발생하는 약 10억 오만 리알(26억 달러)은 자국민 무상 공공의료 서비스를 지원하는 오만에 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주고 있다. 오만 보건부의 발표에 따르면, 매년 6500건 이상의 당뇨병이 새로 발병하고, 2000건 이상의 암이 새로이 진단된다. 인구 세 명 중 한 명이 고혈압을 앓고 있으며, 인구의 66%가 과체중이거나 비만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통계는 인구의 건강 기대 수명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 부담이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이에 따라 예방, 조기 발견, 효과적인 치료를 위한 정부 차원의 노력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오만은 1980년대 초부터 응급상황에 대처하고 전염병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수 의약품과 의료용품을 비축해 보건 안보를 강화하기 시작한 최초의 걸프 지역 국가 중 하나다. 만성질환 관련 의약품의 현지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오만 정부는 제약 산업의 국산화 추진과 의약품 안보 확보를 위해 의약품 제조에 대한 투자를 장려했고, 현지화(In-Country Value) 방안을 모색해 왔다. 이를 통해 오만 정부는 현재 약 90%에 달하는 수입 의약품에 대한 의존도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오만 보건부는 향후 10년간 의약품 수요의 30%를 국내 생산으로 충당할 수 있는 방안, 국가의 필수 의약품 및 의료용품 비축량을 늘리는 것과 더불어 긴급 상황이나 글로벌 공급망 중단 시 의약품을 공급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2022, 오만 내 의약품 시장의 독점과 다른 국가에 비해 높은 가격에 대한 국민의 우려가 제기됐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오만 보건부는 의약품 소매 가격은 보건부가 지정한 메카니즘을 통해 제약업체와 직접 협상해 결정하고, 현지 에이전트와는 가격 협상을 진행하지 않겠다고 발표했다. 또한, 의약품의 가격은 걸프 가격 위원회(GCC Pricing Committee)에 의해 검토 및 승인되며, 승인에는 GCC 국가와 유사한 시장을 가진 30개 이상 국가의 판매 가격과 비교하는 절차가 포함된다. 한때 오만의 의약품 가격은 걸프협력회의(GCC) 국가 중 가장 높은 편에 속했으나, GCC의 가격 통일 시스템이 시행됨에 따라 유통가격이 일부 하락하고 있는 추세다. GCC 전역에 걸쳐 가격 통일화가 진행되며 의약품 가격 인하는 장기적으로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가격 인하 압박이 증가하면서, 상대적으로 가격이 낮은 인도산 복제약(제네릭, Generic)의 시장 점유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영국, 독일, 스위스 등에서 제조한 특허 의약품 수입은 점진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오만 보건부는 오만 내 유통되는 모든 의약품에 대해 가격 통제를 시행하고 있어 승인 없이 제품 가격을 인상하거나 인하하는 것이 금지돼 있다. 오만 의약품의 가격은 원산지 시장의 공장 출고가, 도매가, 소매가, 그리고 (해당 시) 제안된 수출 가격을 기준으로 결정된다. 2025년 기준 가격 측정을 위한 환율 기준표는 아래와 같다.

 

<오만 보건부 회람 2024/2025, 약가 통제 정책 환율 개정 안내>

(단위: 오만 리알)

통화

통화 코드

적용 환율

미국 달러

USD

0.385

유로

EUR

0.3994375

파운드스털링

GBP

0.482944

호주 달러

AUD

0.2384305

캐나다 달러

CAD

0.2683114

덴마크 크로네

DKK

0.0534693

홍콩 달러

HKD

0.0495636

인도 루피

INR

0.004494

일본 엔

JPY

0.0024497

요르단 디나르

JOD

0.543939

노르웨이 크로네

NOK

0.0338634

파키스탄 루피

PKR

0.001383

싱가포르 달러

SGD

0.2826103

스웨덴 크로네

SEK

0.0348167

스위스 프랑

CHF

0.4246167

바레인 디나르

BHD

1.0212202

쿠웨이트 디나르

KWD

1.2499188

카타르 리얄

QAR

0.1056386

사우디 리얄

SAR

0.1024972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AED

0.1048475

이집트 파운드

LE

0.0075798

* OMR 1 = KRW 3616 (2025.9.5.)

[자료: 오만 보건부]

 

주재국 수입 동향

 

대부분의 의약품, 특히 암과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 치료 의약품은 수입 의존도가 높다. 오만 내 유통되는 의약품은 주로 GCC 국가인 UAE, 카타르, 사우디를 통해 수입되며, 2024년 기준 해당 3개국에서 수입한 금액은 전체 HS 코드 300490 수입의 63%를 차지하고 있다. GCC 지역을 통한 수입 비중이 높은 이유는 존슨앤존슨, 로슈, 아스트라제네카, MSD, 사노피 등 일부 제약회사가 두바이 등 타 GCC 국가에 지역사무실을 두고 중동 지역 유통을 진행하고 있기 때문이다.

 

요르단, UAE, 인도에서의 의약품 수입 대부분은 복제약(Generic Drug)이며, 이러한 수입 복제약은 오만 현지에서 제조한 복제약 제품보다 저렴하다. 오만 정부는 자국민 대부분에게 무상 의료 시스템을 통해 국영 병원에서 무료 치료와 처방을 제공하고 있기에 복제약 사용을 재정 부담 경감 차원에서 비교적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또한, 오만 소비자들은 가격 민감도가 높아 상대적으로 저렴한 의약품을 찾는 경향이 있어 앞으로도 복제약 시장의 성장이 예상된다.

 

<최근 3개년 오만 HS 코드 300490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2

2023

2024

비중

1

UAE

81,648

122,572

132,621

36.6%

2

카타르

60,132

40,695

74,654

20.6%

3

인도

16,121

20,621

22,831

6.3%

4

사우디

25,321

22,511

20,853

5.8%

5

벨기에

11,106

19,358

16,875

4.7%

6

스위스

4,579

36,517

15,764

4.4%

7

튀르키예

11,239

5,715

12,719

3.5%

8

요르단

4,723

5,473

10,694

3.0%

9

프랑스

15,062

5,298

8,575

2.4%

10

네덜란드

16,843

11,061

6,161

1.7%

51

대한민국

2

14

19

0.005%

총계

292,581

341,072

361,907

100.0%

*순위는 2024년 기준

[자료: 오만 경찰청(Royal Oman Police)]

 

쟁동향

 

이전 Oman Pharmaceutical Products(2001년 설립)National Pharmaceutical Industries(2001년 설립) 두 회사가 오만의 현지 제약 생산 공장이었으나, 최근 Salalah 지역의 Philex Pharmaceuticals(2023), Menagen Pharmaceuticals(2024년 6), Dhofar Pharma(2024년 9등이 주요 생산업체로 추가됐다


20252월 오만 보건부는 의약품 및 의료용품의 국내 생산을 촉진하기 위해 Philex Pharmaceuticals, Menagen Pharmaceuticals, Opal Bio Pharma, Dhofar Pharma, Izz Pharma, Health Supplies Factory 등 현지 제약 및 의료 회사 6곳과 구매계약을 체결했다. 또한, 제약 제조 회사에 5년간 세금 면제, 원자재 및 기계류에 대한 관세 면제, 공공 입찰에서 10%의 가격 우대 등의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현지 의약품 생산을 장려하고 있으나, 한동안은 수입시장 의존도가 유지될 전망이다. 현지 제조 회사 외 노바티스, 아스트라제네카,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 사노피, 화이자 등 해외 주요 제약회사가 직간접적으로 오만에 진출해 있다.

 

제약 관련 오만에서 가장 큰 성장이 기대되는 국가는 인도다. 오만 상공투자촉진부는 20225월 개최된 인도-오만 공동위원회 이후 미국, 영국, 유럽 연합의 규제 기관에 등록된 인도 제약 제품 승인의 신속 처리(Fast Track)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미국 식품의약국(US FDA,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영국 의약품 및 보건의료 제품 규제청(UKMHRA, United Kingdom Medicines and Healthcare products Regulatory Agency), 유럽 의약품청(EMA)에 이미 등록된 인도 제약 제품의 등록 승인 절차가 앞으로 간소화될 가능성이 높다.

 

<오만 주요 제약 생산회사>

 

회사명

웹사이트

비고

1

Oman Pharmaceutical Products

https://www.omanpharma.com/

정제: 21억 개 이상 생산 가능

액제: 1950만 병 이상 생산 가능

캡슐제: 6억 캡슐 이상 생산 가능

반고형제: 2600만 개 이상 생산 가능

미국, 유럽을 포함한 45개국 이상에 수출

2

National Pharmaceutical Industries

https://npioman.om/

정제: 15억 개 이상 생산 가능

봉지약(Sachet): 1억5000만 개 이상 생산 가능

산제: 400만 병 이상 생산 가능

액제: 3000만 병 이상 생산 가능

캡슐제: 1억5000만 캡슐 이상 생산 가능

3

Philex Pharmaceuticals

https://www.philexpharma.com/

20231단계 운영, 100종 이상의 제약 제품 생산 계획이 있으며 2단계에서는 연간 10억 개의 정제와 10억 개의 캡슐제 생산 예정

4

Menagen Pharmaceuticals

https://menagentx.com/ (준비 중)

중동 최초 특수 의약품 및 희귀 질환 치료제 생산 공장

5

Dhofar Pharma

https://dhofarpharma.com/

정맥 주사액과 신장 투석 용액 생산, 각각 연 1500, 230만 생산 가능

6

Opal Bio Pharma

https://opalbiopharma.com/

오만 최초의 백신 제조 회사

7

Izz Pharma

준비 중

정맥 주사 제품 생산 예정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유통구조


오만의 의약품 유통은 크게 정부 조달을 통한 공공부문 유통과 수입업자-도매상-약국/병원으로 이어지는 민간 유통으로 나뉜다. 공공부문 조달은 보건부가 주관하며, 배분 시스템을 통해 정부 병원 및 클리닉으로 유통된다. 민간부문은 현지 수입상 또는 유통업체가 직접 수입 및 판매하는 방식으로 수입업체/대리인(에이전트)도매상/소매상약국, 민간 병원 등으로 유통된다. 파라세타몰 진통제와 근육통 연고, 트로키제(Throat Lozenge)를 제외한 대다수의 일반의약품(OTC)은 약국과 같은 전문 의약품 판매점에서만 판매할 수 있다.

 

오만 보건부 산하의 보건용품 총국(DGMS, Directorate General of Medical Supplies)은 오만 재정법, 정부 물자 목록, 입찰법, 장관 결정 등의 규정에 따른 보건부 소속 의료기관의 의약품·의료용품 수령, 보관 및 공급을 담당하고 있다. 보건부 소속 병원 또는 의료기관은 일부의 예외 상황을 제외하고, 의료용품의 직접 구매가 허용되지 않는다. 연간 입찰은 보통 10~11개월이 소요되며, 보완 입찰(Supplementary Tender)은 통상 6~7개월이 소요된다.

 

<보건부 연간 입찰 타임라인>


[자료: 오만 보건부, Managing Supplies]

 

오만 보건부는 오만 국방부(MOD, Ministry of Defence), 경찰청(ROP, Royal Oman Police), 술탄 카부스 대학병원(SQUH, Sultan Qaboos University Hospital), 왕실관리기관(Diwan) 등의 의약품 요구사항을 보건부 및 GCC 공동입찰에 반영해 오만 내 모든 정부 기관 구매 제품의 사양과 품질을 통일하고 있다. 오만은 1998년부터 복제약의 구매를 허용하고 있다.

 

입찰가는 GCC 공동 입찰가와 비교돼야 한다. 동일 품목에 대해 두 개의 다른 공급업체에서 유사한 가격이 제시됐을 경우, GCC 입찰 경험이 있는 업체 또는 이전에 선정됐던 제품이 우선권을 얻는다. 가장 낮은 입찰가를 제시하더라도 GCC 또는 오만 내 등록된 이력이 없거나 고급 제조 기술이 필요한 의약품을 일반 제조사에서 제조하는 경우, 제품 품질 관련 부정적인 보고서가 접수된 경우, 배송 일정에 대한 반복적인 미준수 발생 경우 등에 대해서는 가장 낮은 입찰가를 제시해도 제외될 수 있다. 또한, 오만 내 제조된 의약품은 10%의 가격 우선권이 부여된다.

 

민간 부문 조달의 경우 의약품 전문 현지업체가 제품의 수입, 등록, 유통/판매 등을 담당하는 구조다. 오만 보건부에 의약품을 등록한 현지 에이전트는 20253월 기준 47개 업체로, Muscat Pharmacy & Stores가 최대 유통 기업이다. 그 외 Ibn Sina Pharmacy, Taiba Pharmacy, Mazoon Pharmacy, Al Hashar Pharmacy 등이 주요 유통업체로 꼽힌다.

 

오만 보건부의 통계에 따르면, 2023년 기준 민간 약국의 수는 1100곳으로, 2010년 400곳에 비교했을 때 빠르게 늘어나는 추세다. 오만 보건부 장관은 장관 결정을 통해 201776일부터 의약품의 소매 가격은 기술위원회(Technical Committee)가 승인한 수입 제품의 CIF(Cost, Insurance, and Freight) 가격을 기반으로 계산되며, 유통업체 이윤 19%, 소매 약국 이윤 26%를 더한 총 45%의 이윤을 적용할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는 이전 55%에서 10% 감소한 비율이다.

 

관세율


HS코드 3004.90 및 그 하위코드는 영세율이 적용된다.

 

인증

 

국내외 제조 여부와 관계없이 오만 내 의약품은 유통되기 전에 오만 보건부에 등록 과정을 거쳐야 한다. 의약품의 최종 등록 승인은 해당 의약품의 치료적 중요성과 보건부가 정한 기준에 따라 결정된다. 등록에는 평균 6개월에서 12개월이 소요되지만, 승인 후 1년 이내에 제품이 수입되지 않으면 등록이 취소되고 해당 절차를 다시 반복해야 한다. 제품은 오만 등록 전 원산지 시장에서 최소 2년간 판매된 이력이 필요하다. 의약품 등록은 현지업체만 진행할 수 있어 통상 현지에 법인을 설립한 외국 기업 또는 현지 대리인(에이전트)이나 유통업체를 통해 진행된다.

 

의약품 등록 전 오만 보건부의 제약업체 등록이 필요하며 Application Form (A) For Registration Of Pharmaceutical Manufacturer/Subsidiary에 따른 필요 기재 사항은 아래와 같다.

 

<오만 보건부 제약업체 등록 서류>

현지 대리인(에이전트) 작성/제출 필요 부분

연번

내용

1

등록비 영수증

2

현지 대리인의 주소, 연락처 정보

3

제약업체가 발행한 적법 대리인 확인서

4

오만 상공투자촉진부에서 발행한 독점대리인 증명서

제약업체 작성/제출 필요 부분

1

제약업체의 기업명과 설립일

2

제약업체의 제조공장 및 본사 주소와 연락처

3

원산국에서 의약품 제조업체로 등록됐음을 증명하는 공증된 등록증 

(제조업 허가번호와 최초 허가일자 포함)

4

제조업체가 최신 의약품 제조·품질관리기준(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s)을 충족하고 있으며, 제조 시설이 정기적인 점검을 받고 있음을 제조국 보건당국이 확인한 공증된 증명서

5

수출 제품이 원산국 내 판매 제품과 동일한 성분 및 규격임을 제조업체가 보증하는 서약서

6

제약 부분 자본 자산 명세서

7

부서(연구, 제조, 품질관리, 포장, 기타 등)별 직원 수와 학력

8

제조설비 및 기기 목록

9

계열 지사 목록 및 각 지사의 활동 내용 명세서

10

사와  모회사의 전적인 책임 부담 진술서

11

회사 제조 제품 목록(제품명, 일반명, 등록 시기판매 국가 포함)

12

기타 국가에서의 등록 현황

- 회사가 등록된 국가의 공증 목록

- 선진 약물 규제 시스템을 보유한 3개국 이상의 등록증 공증 사본(제조판매증명서 (CPP, Certificate of Pharmaceutical Product) 포함)

- (해당 시) GCC에 등록된 회사 및 제품 등록증 사본

13

연구개발(R&D) 부서 현황

- 최근 10년 이내에 특허 등록된 제품 목록 (제품명, 일반명, 화학명, 제형, 함량, 치료 분야, 특허번호, 등록일자, 특허 등록 국가 포함)

- 제품 또는 원료물질(분자)에 대한 특허증 사본

- 회사의 연구개발 실적

[자료: 오만 보건부]

 

현지 의약품 등록은 보통 현지 유통업체, 대리인이 담당하게 되며, 등록을 위해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서류는 아래와 같다.

 

<의약품 등록에 필요한 서류 목록>


[자료: 오만 보건부]

 

시사점

 

오만은 정부 주도의 공공의료 지출 확대, 민간 의료기관 증가, 만성질환 유병률 상승 등으로 의약품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시장의 지속적 성장이 예상된다. 그러나 의약품 등록, 현지 에이전트 계약, 수입 인증 등 진입 장벽이 높은 시장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사전 시장조사 및 신뢰할 수 있는 현지 파트너 발굴이 매우 중요하다. 특히 전문의약품은 일반 소비자 대상 홍보가 금지돼 있으며, 일반의약품도 약국 내 판매로 제한되는 등 홍보 및 유통 규제가 엄격하므로, 현지 대리인의 유통망 의존도가 높은 시장임을 인지해야 한다.

 

오만 정부는 장기적으로 의약품 자급률 제고 및 의약품 안보 강화를 추진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수입 의존도가 약 90%로 외국산 의약품 수요가 압도적이다. 특히 인도산 복제약이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저가 시장을 선점하고 있고, 오만 정부의 의약품 가격 통제 정책으로 제조업체가 자유롭게 가격을 설정하기 어렵다는 점은 진출 시 유의해야 할 요소다.

 

의약품 등록 절차는 GMP 인증, 제품별 CPP 및 글로벌 등록 이력 등 다양한 기술·행정 요건을 요구하며, 일반적으로 수개월 이상 소요될 수 있다. GCC 국가에서 이미 등록 및 판매 이력이 있는 제품일수록 심사 기간이 단축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GCC 주요국을 통한 선등록·선진출 후 오만 진출을 병행 추진하는 전략이 보다 현실적일 수 있다.

 

한편, 오만 보건부는 중장기적으로 현지 제조 역량을 강화하고자 현지생산 확대를 유도하고 있어, 현지 유통사와의 협력, 의약품 원료 수출, 현지 위탁 생산 또는 공동 투자 형태의 진출 방식도 중장기 전략으로 검토할 만하다.

 


자료: 오만보건부, 오만경찰청, 현지언론, BMI Pharmaceuticals Report, 각 제약회사 홈페이지, KOTRA 무스카트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오만 의약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