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남아공 색조 화장품 시장동향
- 상품DB
- 남아프리카공화국
- 요하네스버그무역관 임소윤
- 2025-09-16
- 출처 : KOTRA
-
남아공 색조 화장품 시장 성장 지속
작은 사치(Lipstick Effect), 멀티기능 제품, 클린 뷰티 및 남성용 색조 시장의 성장
온·오프라인 채널 적극 활용, 프리미엄 상품 위주로 Heavy Hitter 소비층 공략
상품명 및 HS코드
HS 코드
상품명
330410
색조 화장품
*립스틱, 립밤, 립틴트 등 일반적인 컬러 립 메이크업 제품 총칭
시장동향
남아공의 색조 화장품 시장은 경제적 압박 속에서도 품질과 가성비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제품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건강, 지속 가능성, 기능성을 중시함에 따라 자연 성분, 비건, 멀티 기능 제품에 대한 선호가 높아지고 있다. 남성 색조 제품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유통 측면에서는 여전히 오프라인 비중이 높지만 온라인 채널이 빠르게 성장 중이다.
Data Bridge Market 보고서에 의하면 남아공 색조 화장품 시장은 2024년 약 15억4000만 달러 규모로 평가되며, 2024년부터 2032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7.6%를 기록할 것으로 추정된다. 유통 채널별로는 이커머스 부분이 2024년 약 6억626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며 최대 유통 채널로 확인됐으며 2025년부터 2032년까지 연평균 9.2%의 성장세가 예상된다. 살롱 부분은 2024년 약 6억436만 달러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연평균 9.4%로 가장 빠른 성장세가 예상되는 채널로 분석된다.
남아공 색조 화장품 시장의 트렌드 및 수요 증가 요인을 살펴보면 네 가지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다. 우선 색조 화장품은 소비자들에게 작은 사치(Lipstick Effect)로 인식되며 경기 불확실성과 물가 압박 속에서도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인해 꾸준한 수요가 유지되고 있다. 스킨케어 기능과 색조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제품과 같은 멀티기능 제품의 인기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비건, 클린 뷰티 수요는 젊은 소비자층 중심으로 천연·친환경 제품 선호가 확산됨에 따라 증가했다. 메이크업에 대한 인식 변화로 남성용 색조 시장도 동시에 성장세를 보인다.
<남아공 색조 화장품 (전체) 시장 성장 추이(2024년-2032년)>

[자료: Data Bridge market Research: South Africa Colour Cosmetics Market]
수입 동향
남아공은 다양한 국가로부터 색조 화장품을 수입하고 있다. 2024년 기준, 아프리카 전체 립 메이크업 제품 수입량의 44%를 남아공이 차지했으며 이는 약 1.8톤에 달한다.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전체 수입액은 전년 대비 9.91% 증가했으며, 국가별 현황을 보면 수입액 1위 중국은 28.31%, 미국 39.55%, 이탈리아 79.66%, 벨기에 42.96%, 한국은 40.13% 증가했다. 중국은 낮은 원가와 대량 생산 능력을 기반으로 중·저가 제품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 제품은 색상 개발, 지속력, 발색, 기능성 측면의 기술 투자로 트렌드를 주도하면서 고급 브랜드부터 메스티지(Masstige) 브랜드까지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다. 이탈리아 제품은 "Made in Italy" 가 주는 이미지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명품, 럭셔리, 세련됨의 상징으로 여겨져 프리미엄 라인에서 두각을 나타냈으며, 국내 브랜드들은 한국 드라마, K-pop 등의 콘텐츠가 전 세계로 퍼지면서 아프리카에도 그 영향이 미치게 돼 수요가 늘었다.
<남아공 색조 화장품 (HS 코드 330410) 수입 현황>
(단위: US$, %)
순위
국가
2022년
2023년
2024년
전년대비 성장률
전체
14,341,925
18,052,193
19,842,002
9.91
1
중국
2,586,683
3,360,441
4,311,712
28.31
2
미국
2,116,164
2,051,422
2,862,764
39.55
3
이탈리아
1,022,888
1,518,128
2,727,412
79.66
4
프랑스
1,930,135
2,973,020
2,691,339
-9.47
5
폴란드
1,960,201
2,459,676
2,343,873
-4.71
6
독일
1,253,182
1,607,509
1,369,334
-14.82
7
대만
1,153,561
1,160,784
812,527
-30.00
8
캐나다
535,756
796,748
681,259
-14.50
9
벨기에
272,565
412,997
590,432
42.96
10
한국
157,965
388,642
544,611
40.13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9.17]
경쟁 동향
남아공 색조 화장품 시장은 글로벌 브랜드와 현지 브랜드가 비슷한 수준의 점유율을 확보하며 시장을 양분하고 있다. 주요 글로벌 기업들 Unilever, Procter & Gamble, L’Oréal, Henkel, Estée Lauder 등은 브랜드 포트폴리오, 마케팅 역량, 유통망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강력한 시장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 Estée Lauder Cos South Africa (pty) Ltd. 는 색조 화장품 카테고리에서 지속적인 리더십을 발휘해 가격 민감도가 높은 소비자층을 겨냥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현지 브랜드들은 시어버터, 사포우 오일, 마룰라 등 전통 아프리카 성분을 활용해 틈새 시장을 공략한다. 글로벌 기업 또한 이러한 흐름을 반영해 현지 문화와 원료를 활용한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2024년 남아공 화장품 및 퍼스널케어 제품 시장 점유율>

[자료: Moder Intelligence]
유통구조
남아공 색조 화장품은 크게 약국/드럭스토어 (Pharmacy/Drugstore), 전문 뷰티·백화점 (Prestige/Specialty), 이커머스 (E-Commerce), 살롱/전문 유통 (Professional/Salon), 가치형·비정규 유통 (Value/Informal)의 다섯 축을 통해 유통된다. 이 중 약국체인인 Clicks와 Dis-Chem은 시장 진입과 매출 확대의 허브 역할을 수행한다. 이커머스와 전문 뷰티 리테일 (ARC, Edgars Beauty)은 프리미엄 제품과 트렌드 확산을 주도한다. 가치형·비정규 유통(스파자, 독립 뷰티숍 등)은 저가·대용량 제품을 중심으로 수요를 흡수하며 브랜드 공식 유통과 병행되는 양상을 보인다.
관세 및 인증
HS 코드 3304.10은 하위 코드 구분과 관계없이 모두 20%의 관세가 부과되며, 여기에 15%의 부가가치세 (VAT)가 추가된다.
남아공에 화장품을 수출하는 경우 Foodstuffs, Cosmetics and Disinfectants Act와 SANS(South African National Standard) 98 규격(화장품 성분 라벨링(Ingredient Labelling of Cosmetic Products)) 표준에 따른 법적 라벨링 요건이 적용된다. 각 제품에는 국제 화장품 성분명 (INC)을 포함한 성분 목록을 영어로 기재해야 하며 소비자가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명확하게 표시해야 한다. 유해성분 관련 경고 표시나 무파라벤 (paraben-free), 비건(Vegan) 등 특정 클레임을 표시할 경우, SANS 98 기준에 부합하는 증빙자료(예: 성분 검사 보고서 등)을 제출해야 한다.
시사점
남아공 색조 화장품 시장은 2032년까지 연평균 7.6%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남성·Z세대, 클린뷰티 소비층 확대와 한류 영향으로 한국 기업의 진출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인도와 중국 중심의 저가 수입 비중이 높아 가격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만큼, 경기 불황이나 물가 상승에도 소비 패턴을 크게 줄이지 않는 상위 소득층 (일명 “Heavy Hitter")을 겨냥한 전략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프리미엄 포뮬러, 현지 맞춤형 Shades(제품 색상 종류), 클린 인증 등을 통한 차별화 전략이 필요하다.
한국 기업은 Clicks, Dis-chem 등 매스 채널 입점을 통한 대중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Takealot, Superbalists 등 온라인몰 및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제품 홍보로 젊은층 공략을 시도해 볼 수 있다. 아울러 전문 뷰티, 백화점형 유통망을 활용해 프리미엄 포지셔닝을 강화하고 쿠션, 립 등 K-뷰티 색조 제품 색상 다양성을 강조함으로써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다.
자료: Euromonitor, World Integrated Trade Solutions, Data Bridge Market, South Africa Revenue Service, Global Trade Atlas, Modor Intelligence, China Briefing, KOTRA 요하네스버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남아공 색조 화장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입술용 화장품 시장동향
중국 2025-09-19
-
2
급변하는 에티오피아 화장품 시장, K-뷰티 관심 증가
에티오피아 2025-09-15
-
3
미국 기초화장품 시장동향
미국 2025-09-15
-
4
운동 열풍 속 홍콩 스포츠용품 시장 트렌드
홍콩 2025-09-19
-
5
미국 컴퓨터 모니터 시장동향
미국 2025-09-12
-
6
태국 차(Tea) 시장의 다변화: 녹차와 밀크티에서 편의성 높인 간편 음료까지
태국 2025-09-16
-
1
2025년 남아공 ICT 산업 정보
남아프리카공화국 2025-08-06
-
2
2025년 남아공 농업 정보
남아프리카공화국 2025-07-22
-
3
2025년 남아공 인프라 산업 정보
남아프리카공화국 2025-07-07
-
4
2025년 남아공 광업 정보
남아프리카공화국 2025-03-27
-
5
2025년 남아공 방위산업 정보
남아프리카공화국 2025-03-27
-
6
2024년 남아공 수소 산업 정보
남아프리카공화국 2024-12-26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