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미국 기초화장품 시장동향
  • 상품DB
  • 미국
  • 애틀랜타무역관 이수진
  • 2025-09-15
  • 출처 : KOTRA

세계 시장점유율 1위의 미국시장

주요 트렌드는 혁신 기술, 지속가능성 및 클린뷰티, 소셜미디어의 영향력 증대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HS Code

기초화장품

3304.99


동향


미국 기초화장품 시장은 2024년 연 매출 249억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0.6% 성장했다. 같은 해 전 세계 화장품 시장에서 북미는 34%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글로벌 시장을 주도했으며, 이 중 기초화장품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다. 이에 따라 미국 기초화장품 시장의 주요 트렌드를 살펴보고자 한다.


1. 혁신 기술


다양한 피부 타입 및 톤에 맞춤 제품에 대한 개발이 강화되고 있다. 특히, AI의 발전에 따라서 기초화장품 시장 역시 맞춤형 서비스가 이용가능해졌고, 소비자들은 개인적인 니즈에 따라 제품을 추천받고, 사용하려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세계적인 브랜드 로레알은 모디페이스(ModiFace)와 같은 기술기업과 협력하여 AI와 증강현실(AR)기술을 접목하여 소비자들이 개인 맞춤형 스킨케어 추천을 받을 수 있다. 또한, 50세 이상의 성인인구 및 30대 여성들 역시, 노화 징후가 나타나기 전에 미리 안티에이징 제품을 사용하는 예방 중심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과학적 기술 기반 안티에이징 제품에 대한 지출이 증가하고 있다.


2. 지속가능 및 클린뷰티


특히, 브랜드 구매 결정 요인이 단순한 기능성에서 지속가능성으로 확대되는 추세이다. 친환경 원료, 윤리적 공급망, 재활용 및 생분해성 포장재를 강조하는 브랜드를 선호하는 심리가 강화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서 주요 화장품 제조업체브랜드는 성분을 명확하게 공개하고, 유해 가능성이 있는 화학성분을 제외한 제품을 출시 및 마켓팅하고 있다. 특히, 클린뷰티란, 건강친화적 성분 및 윤리적 제조방식을 결합한 단어로 미국 스킨케어 시장의 주요한 트렌드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따라서, 미국 소비자들에게 각광받고있는 주요 성분으로는 히알루로닉에이시드, 나이아신마이드, 스쿠알란, 호호바오일, 녹차추출물 등이 있다.


3. 소셜미디어의 영향력 증대


소셜미디어(인스타그램, 틱톡 등)의 영향력을 통해 소비자들은 새로운 제품과 정보를 빠르게 접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기초화장품 회사들의 마케팅 방식을 크게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인플루언서와 협업은 브랜드 이미지 및 신뢰도 향상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며 인플루언서의 진정성 있는 추천은 제품 매진과 브랜드 충성도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HS Code 3304.99 기준 2024년 미국의 수입액은 약 52억7200만 달러이며, 2020년에서 2025 사이 수입점유율은 21.9%에서 36.1%로 상승했다. 그 중 대한민국은 수입점유율 1위 국가로 2024년 전체 수입액 중 25.4%을 차지했다. 특히, 미국 내 한국 화장품은 한국문화에 대한 세계적인 인기와 함께 높은 품질과 가성비로 호평받으며 전년대비 69%가 증가하는 큰 인기를 끌고 있다. K-뷰티(한국의 스킨케어, 메이크업 화장품 전반을 아우른 용어)는 미국 내에서 서양 제품대비 매력적인 가격 및 어성초, 달팽이 점액 등 서양에서는 흔치 않은 성분을 활용한 다양한 혁신 제품과 생산공정을 활용하여 미국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고있다.


<HS Code 3304.99 미국 주요 수입 동향>

(단위:US$백만, %)

순위

국가

2022 수입액

2023 수입액

2024 수입액

점유율

('24)

증감률('24/'23)

1

한국

557.8

791.7

1,338.2

25.4

69.0

2

프랑스

813.2

888.8

960.6

18.2

8.1

3

캐나다

694

809.6

819.1

15.5

1.2

4

이탈리아

308.8

334.6

353.5

6.7

5.7

5

중국 

222.9

289.1

297.5

5.6

2.9

6

영국

227.3

237.3

234.9

4.5

-1.0

7

멕시코

157.8

183.5

185.8

3.5

1.2

8

스웨덴

234.5

148.9

145.8

2.8

-2.1

9

일본

152

118

134.8

2.6

14.3

10

독일

90

78.2

109

2.1

39.4

전 세계 총합

4,166.2

4,525.6

5,272.4


[자료: GTA, 2025.9.10.]


경쟁 동향


미국 기초 화장품 시장의 주요 기업은 에스티로더(Estee Lauder), 로레알(L'Oréal), 프록터앤갬블(Procter & Gamble), 유니레버(Unilever) 등의 대형 기업이 주도하고 있으며, 이들은 강력한 브랜드 평판, 높은 소비자 충성도, 규모의 경제에 의한 가격경쟁력까지 갖추고 있는 상황이다. 특히, 중국 및 멕시코수입 제품들은 저가형 제품에 포지셔닝 되어 있으며, 프랑스 및 이탈리아 등 유럽제품들은 하이엔드전략을 추진하는 중이다. 한국기업들은 혁신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유통구조


미국의 기초화장품 시장은 전통적으로 오프라인에 의한 소비가 주를 이뤘다. 하지만, 소셜미디어와 전자상거래의 성장에 따라서 오프라인 판매 채널은 통한 매출은 감소하고 있으며, 온라인 쇼핑선호도는 증가하고 있다. 특히, 2030년에는 온라인 채널을 통한 판매량이 오프라인 판매량을 뛰어넘을 것으로 예상된다. 그럼에도, 오프라인 판매는 여전히 인기가 있으며, 주요 오프라인 판매점은 Sephora(23.5%), Ultra Beauty, Inc (17.9%) 및 Bath & Body Works(7.8%) 등이 있다. 히, 옴니채널 판매전략(오프라인 매장, 온라인 쇼핑몰, 모바일 앱, 소셜 미디어 등 모든 판매 채널을 통합하여 소비자에게 일관된 경험을 제공하는 전략)을 통해 오프라인 매장에서는 제품 체험을 제공하고,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제품 리뷰를 활용하는 방식이 각광받고 있다. 세포라 역시 Shipt와 파트너십을 통해 미국 전역에 당일 배송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들의 편리한 쇼핑경험을 제공하며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있다.

 

관세율


미국 조화 관세표 및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의하면, HS Code 3304.99에 대한 수입에 대해서 관세는 부과되지 않는다. 하지만,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정책 하 모든 한국산 화장품에 대하여 15%의 관세가 부과된 바 있어, 참고가 필요하다.

 

규제 및 인증


2022년부터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Modernization of Cosmetics Regulation Act)에 따라서 미국 내 유통되는 화장품에 대한 규제가 새롭게 제정되었다.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에 따라서, 미국에 화장품을 수출할 때, 1) 모든 화장품 제품(1년마다 갱신) 2) 미국 내 제조 또는 가공되는 화장품 제조시설(2년마다 갱신) 3) 브랜드 소유자 및 책임자(Responsible Person)를 FDA에 등록해야 한다. 또한, 필수 라벨링규정(Fair Packaging and Labeling Act)을 준수하여 제품 용기 및 외부 포장에 책임자(RP)의 연락처와 함께 알러지 성분 표기를 포함해야 한다. 화장품 규제 현대화법에서는 특정 원재료에 대한 라벨링 규정, 소규모 사업자(Small Business)에 대한 면제 등 세부 내용 및 가이드라인을 포함하고있어, 수출 전 FDA 관련 규정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주: Cosmetics | FDA

 

시사점


미국 화장품시장에서 한국 제품은 혁신적인 기술 및 가성비를 강점으로 2024년 수입제품 점유율 1위를 차지하였다.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으로 한국산 기초화장품에도 15% 관세가 부과될 경우 가격 경쟁력은 다소 약화될 수 있지만, 최근 '케이팝 데몬 헌터스'의 돌풍으로 K-컬처에 대한 소비자들의 높아진 관심과 미국 소비자들의 혁신기술 선호 경향은 국내 기업들의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최근 한국기업이 글로벌 셀럽과 협업해 아마존에서 성과를 거둔 사례처럼 기술력과 마케팅을 결합한 전략 대응이 요구된다.


 

자료: Precedence Research, Global Trade Atlas,Statista, Ibis World, BBC, Southwest journal, Glow beauty, HTSUS, FDA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기초화장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