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캐나다 항공우주 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캐나다
- 토론토무역관 김재인
- 2025-08-29
- 출처 : KOTRA
-
2024년 캐나다 항공우주 산업, GDP 342억 달러 달성, 전년 대비 17.9% 성장
미국 의존도 감소를 위한 공급망 다변화 기조, MRO 시장 증가는 기회 요인
캐나다의 항공우주 산업은 자동차 산업과 함께 제조업의 핵심 축으로, 항공기, 헬리콥터 엔진, 착륙 장치 및 관련 부품의 개발과 생산에 강점을 보인다. 게다가 최근에는 캐나다 국방 예산 증가와 자주 안보 강화 움직임이 본격화해 캐나다 항공우주 산업이 더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산업 특성
캐나다 혁신·과학·산업부(Innovation, Science and Economic Development Canada, ISED)의 발표 자료에 따르면, 항공우주 산업은 2024년 캐나다 국내총생산(GDP)에 약 342억 캐나다 달러를 기여했다. 또한 22만5천 개의 일자리를 창출해 막대한 경제적 파급효과를 보였다. 이는 전년 대비 GDP는 17.9%이며 일자리는 3.2% 증가한 수치다. 더불어 평균 임금은 캐나다 제조업 평균보다 약 25% 높아 고부가가치 일자리를 제공하는 대표 산업으로 손꼽혔다.
연구개발 부문에서 항공우주 산업은 12억 달러 이상을 투자해 제조업 분야 1위를 차지했으며, 전체 제조업 평균 대비 2.8배 높은 집약도로 첨단 기술 개발을 선도했다. 세계 시장에서는 민간 비행 시뮬레이터, 항공 엔진, 항공기 부문에서 글로벌 상위 5위권 안에 들며 경쟁력을 갖췄다. 이와 더불어 방위 항공우주 분야 역시 성장세를 이어 가며 글로벌 항공우주 분야 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차지했다.
<2024년 캐나다 항공우주 산업 GDP 기여>

[자료: ISED]
수출동향
HS 코드 88류 기준으로 2024년 캐나다의 항공기·우주선 및 부품 수출액은 약 181억3743만 캐나다 달러에 달했다. 시장 점유율 상위 4개 기업 중 3개가 미국 기업일 정도로 미국 의존도가 높으며 대미 수출 비중은 전체의 60.3%에 이른다. 이는 캐나다 항공우주 산업이 미국과 높은 수준의 통합성을 갖추고 있음을 의미하며, 국경을 공유하고 USMCA와 같은 무역협정의 혜택을 누리고 있음을 상기시킨다. 다만 "현재 미국 관세 등의 불확실성은 양국 교역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라고 캐나다 항공우주산업협회(AIAC, Aerospace Industries Association of Canada) 마이크 뮐러 CEO는 지적한 바 있다.
한편 한국은 2024년 기준 약 1억2843만 캐나다 달러를 수출해 전년 대비 22.4% 증가했으나 점유율은 0.7%로 21위에 머물렀다.
<캐나다 항공우주 부품 수출동향>
(단위: CA$천, %)
*주: 88류-항공기, 우주선 및 그 부품
순위
국가
수출액
비중
23/24 증감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체
13,209,128
15,885,521
18,137,434
100.0
100.0
100.0
14.2
1
미국
7,259,764
10,233,507
10,933,454
55.0
64.4
60.3
22.4
2
영국
538,259
624,247
764,042
4.1
3.9
4.2
94.6
3
이탈리아
64,051
377,410
734,413
0.5
2.4
4.0
-21.0
4
프랑스
754,768
927,600
732,427
5.7
5.8
4.0
417.0
5
아랍에미리트
276,332
93,948
485,699
2.1
0.6
2.7
-7.8
6
호주
122,601
365,376
336,968
0.9
2.3
1.9
-11.2
7
독일
271,957
333,288
295,902
2.1
2.1
1.6
79.3
8
포르투갈
115,724
138,022
247,483
0.9
0.9
1.6
122.5
9
일본
71,211
98,893
220,061
0.5
0.6
1.2
154.6
20
한국
14,286
50,453
128,437
0.1
0.3
0.7
22.4
[자료: 캐나다 통계청]
수입동향
2024년 HS 코드 88 기준 캐나다의 수입 규모는 122억8943만 캐나다 달러로 전년 대비 1% 소폭 증가했다. 주요 수입국 또한 미국으로 50억410만 캐나다 달러(점유율 41%)를 기록했다. 캐나다에 기반을 둔 미국계 글로벌 기업들은 본사로부터 부품과 자재를 들여와 현지에서 생산 후 완제품을 다시 수출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것은 미국 생산 의존도가 높음을 보인다. 또한 프랑스계 기업인 Airbus 와 Safran역시 캐나다 내 제조 시설을 운영한다. 이처럼 항공우주 산업은 독립적인 캐나다 소유 기업이 진입·운영하기에 높은 장벽이 존재한다.
한편, 24년도 대한국 수입은 2559만 캐나다 달러로 21위를 차지했으며 전년 대비 223.7%의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캐나다 항공우주 부품 수입동향>
(단위: CA$천, %)
*주: 88류(항공기, 우주선 및 그 부품)
순위
국가
수출액
비중
23/24 증감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체
10,411,499
12,167,686
12,289,433
100.0
100.0
100.0
1.0
1
미국
6,400,963
6,022,479
5,041,057
61.5
49.5
41.0
-16.3
2
프랑스
733,385
1,126,610
2,001,596
7.0
9.3
16.3
77.7
3
영국
713,918
846,240
958,196
6.9
7.0
7.8
13.2
4
멕시코
613,394
703,127
790,366
5.9
5.8
6.4
12.4
5
브라질
255,288
1,004,372
727,620
2.5
8.3
5.9
-27.6
6
중국
448,291
451,198
687,555
4.3
3.7
5.6
52.4
7
캐나다(재수입)
317,358
651,708
619,537
3.0
5.4
5.0
-4.9
8
스페인
13,966
76,105
233,651
0.1
0.6
1.9
207.0
9
독일
172,714
462,316
177,049
1.7
3.8
1.4
-61.7
21
한국
11,986
7,907
25,596
0.1
0.1
0.2
223.7
[자료: 캐나다 통계청]
항공우주 산업 주요 정책
캐나다의 국가 항공우주·국방 전략 프레임워크(The National Aerospace and Defense Strategic Framework)는 2005년에 시작된 20년 장기 전략으로 2025년까지 캐나다의 항공우주 및 방위 산업을 글로벌 리더로 자리매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프레임워크를 통해 항공우주 기업들은 투자 확보, 기술 연구개발 및 상용화 및 전략적 조달 등 다양한 지원을 받았다. 대표적인 사례로, Pratt & Whitney 는 넷 제로(Net-Zero)를 위한 하이브리드 엔진 개발 프로젝트에 정부의 전략혁신기금(SIF) 1139만 캐나다 달러를 지원받기도 했다.
2021년 발표된 항공우주 지역 회복 이니셔티브(ARRI, Aerospace Regional Recovery Initiative)에서는 3년간 2억5000만 캐나다 달러를 투자하여 항공우주 분야의 중소·중견 기업, 비영리 기관 등에 지속가능 기술 개발, 생산성 향상, 기술 상업화 등을 지원했다. ARRI를 통해 2022년까지 캐나다 전체에서 24건의 프로젝트가 지원받았다. 온타리오주 경제 개발청(FedDev Ontario)은 ARRI를 통해 2024년까지 온타리오주에서만 10개의 프로젝트가 지원을 받았다고 발표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와 맥귄티 국방부 장관은 2025년 국방 예산을 90억 캐나다 달러 추가 증액하고 국방비 비율을 GDP의 2%로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전년도(‘24) 국방비는 약 410억 캐나다 달러로 GDP의 1.4%에 해당했다. CIBC의 벤자민 탈 경제학자는 이번 증액 목표가 달성될 2029년까지 640억 캐나다 달러 이상의 경제적 효과를 거두고 방위 산업 확대를 통한 일자리 창출도 기대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국방비 증액은 미국 의존도를 줄이며 캐나다의 주권과 자주적 안보 역량 강화를 목표로 한다.
산업 클러스터 및 주요 기업
캐나다 퀘벡주는 시애틀(미국), 툴루즈(프랑스)와 함께 세계 3대 항공우주 클러스터 중 하나로 꼽힌다. 특히 몬트리올을 중심으로 Bombardier, Pratt & Whitney (Raytheon Technologies에 인수합병)등 주요 항공우주 기업들이 밀집해 산업 클러스터를 형성한다. 또한 Air Canada, Air Transat 등 주요 항공사 본사와 함께 국제항공운송협회(IATA, The International Air Transport Association), 국제비지니스항공위원회(IBAC, International Business Aviation Council),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International Civil Aviation Organization) 등 국제 항공우주 산업을 대표하는 기관들도 몬트리올에 본부를 두고 있다. 특히 퀘벡주는 글로벌 항공우주 산업의 중심지로 꼽힌다. 게다가 맥길 대학교와 폴리테크니크 몬트리올 등 주요 대학 및 연구기관에서 항공우주 공학에 특화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숙련된 전문 인력을 지속적으로 양성하며 공급한다.
온타리오주는 우수한 교육 기관에서 항공우주 공학 및 기술을 전문적으로 교육받은 숙련된 인력을 기반으로 항공우주 제조 분야에서 해외 기업 유치가 가장 활발한 지역이다. 토론토 대학의 항공우주 연구소(University of Toronto Institute for Aerospace Studies), 라이어슨 항공우주 설계 및 혁신 연구소(Ryerson Institute for Aerospace Design and Innovation)가 혁신과 협력을 주도한다.
<2024 캐나다 주요 항공우주 클러스터>

[자료: ISED]
항공우주 산업은 크게 제조와 유지보수·수리·운영(MRO)으로 나뉜다. 항공사들은 신규 항공기 구매 또는 노후 항공기 교체를 추진해 공압 장치와 착륙 장치 등 교체 부품 수요가 증가한다. 이에 따라 제조업체들은 수요 충족을 위해 생산량을 확대하고 MRO 서비스를 강화하는 산업 구조 변화를 모색한다. 캐나다 내 MRO 서비스 산업은 2024년 34억6120만 달러였으며 연평균 6.2% 성장해 2030년에는 50억3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한다.
<캐나다 항공우주 산업 근로자 비중>
(단위: %)
캐나다
생산
MRO
전체
62
38
퀘벡
61
20
온타리오
23
35
서부 및 북부
12
39
아틀랜틱
4
6
[자료: ISED]
캐나다 내 활동하는 글로벌 기업으로는 캐나다의 Bombardier, CAE, Magellan Aerospace, MDA, 미국의 Bell Textron, The Boeing Company, Raytheon Technologies, 프랑스의 Airbus, Safran, Thales 가 대표적이다. 그중에서도 캐나다 시장 점유율은 Bombardier (24.8%) Raytheon Technologies (9.4%), Bell Textron (3.7%), The Boeing Company(3.6%), 나머지 기업들이 58.6%이다. Bombardier 가 캐나다 항공우주 산업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한다.
<항공우주 주요 항공우주 기업 현황>
기업명
소재지
분야
Bombardier
몬트리올, 퀘벡주
- 민간·상업·특수 항공기 제조
- MRO 서비스
Raytheon Technologies
우드브릿지, 온타리오주
- 민간·군용 항공기 및 제트 엔진
(Pratt & Whitney Canada)
- 전자 장비, 항법 및 기내 시스템
- 방위 및 미사일 시스템
Bell Textron
미라벨, 퀘벡주
- 헬리콥터 생산, 기체 설계, 제품 개발, 비행 시험 및 인증 서비스
The Boeing Company
위니펙, 매니토바주
- 상업, 군사, 우주 항공기 제조
[자료: IBIS World, 각 기업 홈페이지]
<캐나다 항공우주산업 공급망 구성>

[자료: KOTRA 토론토무역관]
최신 기술 및 주요 이슈
Pratt & Whitney의 하이브리드 엔진 개발과 더불어 관련 제조업체들은 금속 부품 일부를 3D 프린팅을 도입해 고강도 폴리머 부품으로 대체하며 기체 무게를 감소, 연료 효율성을 높이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볼트와 같은 금속 파스너(fastener)를 가벼운 점착제로 대체하고 있는 추세이다. 실제로 캐나다 점착제 시장 규모는 2022년 10억2000만 달러를 기록했으며 2028년까지 연평균 4.8% 성장해 13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캐나다 공군은 미국에 비해 규모는 작지만 전투 상황을 대비해 스텔스 기술, 신규 조준 시스템, 레이더 등을 지속적으로 개발 중이다. 더불어 유인 방위 항공기를 대체할 무인항공기(UAV)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캐나다 조달청(Public and Service Procurement Canada) 관계자에 따르면 캐나다 국방부에서 무인 방위 항공기 도입 사례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토론토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밝혔다.
캐나다 항공우주 산업 SWOT 분석
Strengths
Weaknesses
- 세계 상위 5위 수준의 항공기, 헬리콥터, 소형 엔진, 비행 시뮬레이터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
- 몬트리올 중심으로 Bombardier, Pratt & Whitney 등 글로벌 기업과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구성된 산업 클러스터
- 캐나다 제조업 내 연구개발 투자 1위 산업으로 지속 가능성, 경량 소재 등 개발 활발
- 높은 대미 의존도
- 캐나다 소유 기업 부족
- 부품 및 자재 수입 위주로 구성된 취약한 공급망(핵심 부품은 미국, 유럽 의존)
- 민간 항공사·방위 부문 항공기 노후, 자체 능력보다는 높은 수입 의존도
Opportunities
Threats
- 미국 의존도 탈피, 수출입 다변화 모색
- 넷 제로 엔진, 하이브리드, 경량 소재 개발에 따른 친환경 항공기 수요 증가
- MRO 시장 성장
- 소형 위성, 우주 로보틱스, 인공지능 기반 데이터 처리 등 우주 산업 신성장
- 미국 관세 등 무역 불확실성
- 고임금, 높은 연구개발 비용으로 저가 경쟁국 대비 불리
- 발사체 개발, 상업용 발사 인프라 구축 지연 시 경쟁력 격차 확대
유망 분야
캐나다 외교부는 항공 산업에서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진 분야로 지속 가능한 항공 기술과 에너지 전환을 제시해 하이브리드 및 전기 추진 시스템, 경량 소재, 자율·무인 항공 시스템 등을 주요 영역으로 꼽았다. 반면에 우주 산업에서는 소형 위성 기술, 우주 로보틱스, 우주 기반 시스템을 위한 인공지능과 데이터 분석을 핵심 성장 분야로 강조했다.
항공정비 분야는 노후 항공기 증가에 따라 MRO 서비스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동시에 지속가능성·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차세대 항공기 개발이 활발히 진행돼 캐나다 항공산업의 성장세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연방정부의 2050년 넷 제로 목표에 발맞춰 주요 기업들이 전기추진 기반의 친환경 항공기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하이브리드 및 전기 항공기의 핵심 기술, 엔진·배터리, 부품 개발 분야가 유망 산업으로 주목받는다.
이와 함께 현지 시장에 대한 이해와 네트워크 구축 또한 중요하다. 캐나다는 보수적 성향이 강해 기존 공급업체와의 신뢰를 중시하므로 단기적인 접근보다는 현지 에이전트나 파트너사와 협력하며 점진적으로 시장에 진입하는 전략이 효과적이다. 또한 전시회 참가를 통해 항공우주 제조업체와 직접 접점을 넓히고 B2B 상담을 통해 기술력을 소개하는 방식이 시장 진출에 도움이 될 수 있다.
<항공우주 관련 전시회>
행사명
Aeromart Montreal

홈페이지
장소
Palais des Congrès de Montréal, Montréal, QC,Canada
개최 주기
격년
개최 시기
2025.3.25.~2025.3.27.
전시품목
항공 우주 관련 소재 및 구조 부품, 자동화 및 제조 기술, 정밀기기 및 테스트 장비, ERP 및 생산 관리 솔루션 등
개요
- 퀘벡 주 몬트리올에서 개최되는 캐나다항공우주산업 분야 최대 비즈니스 교류 전문 행사로써, Bombardier, Airbus, Bell Textron, TheBoeing Company등 대부분의 항공기 및 헬리콥터OEM 기업들이 참가
- 항공우주산업 주요 부품업체들도 대거 참가하며 1:1 비즈니스 상담 진행
[자료: 전시회 홈페이지]
자료: 캐나다 연방정부, 캐나다 통계청, 캐나다 외교부, 캐나다 혁신·과학·산업부, IBIS World, KOTRA 토론토 무역관 자료 통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캐나다 항공우주 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카자흐스탄 우라늄 시장 동향 및 원전 건설 논의 현황
카자흐스탄 2025-08-29
-
2
2025년 이탈리아 조선산업 정보
이탈리아 2025-09-02
-
3
미국 비행기 시장동향
미국 2025-08-28
-
4
불안한 공급망 속, 호주 희토류가 글로벌 판을 흔드나?
호주 2025-08-29
-
5
2025년 체코 방위산업 정보
체코 2025-08-28
-
6
크로아티아 기초화장품 시장동향
크로아티아 2025-08-29
-
1
2024년 캐나다 육류 가공 산업 정보
캐나다 2024-12-17
-
2
2024년 캐나다 에너지 산업 정보
캐나다 2024-12-10
-
3
2024년 캐나다 대두 산업
캐나다 2024-11-21
-
4
2021년 캐나다 건설 산업 정보
캐나다 2021-12-23
-
5
2021년 캐나다 신재생 에너지 산업 정보
캐나다 2021-12-23
-
6
2021년 캐나다 에너지 산업 정보
캐나다 2021-12-22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