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눈 건강 생활화, 중국의 눈 건강 산업 트렌드
- 트렌드
- 중국
- 칭다오무역관
- 2025-09-01
- 출처 : KOTRA
-
디지털기기 사용 확대에 따른 눈 건강 관심 고조
건강식품부터 광학제품, 의료기기 및 디지털 서비스까지 다변화 추세
시장 진출 위해 인증규제 사전 확인 필요
디지털기기 사용 확대에 따른 눈 건강 관심 고조
모바일 인터넷 비즈니스 서비스 제공업체인 ‘QuestMobile’의 2025년 6월 데이터에 따르면, 중국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는 12억6700만 명에 달해, 전년 동기 대비 2.5% 증가했다. 또한, 1인당 일일 평균 사용 시간도 전년 동기 대비 7.8% 증가한 7.97시간으로 집계됐다.
<중국의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 수 및 1인당 일일 평균 사용 시간>
(단위: 억 명, %, 시간)
모바일 인터넷 사용자 수
1인당 일일 평균 사용시간


[자료: QuestMobile, KOTRA 칭다오무역관 정리]
이로 인해 디지털 눈 피로 증후군(Digital Eye Strain, DES)이 급증하고 있다. 중국 안과의사협회의 조사에 따르면, 성인의 80% 이상이 눈 피로, 건조함 등의 증상을 경험하고 있으며, 30대 이상 직장인과 10대 청소년이 가장 많이 겪고 있다. 또한,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国家卫生健康委员会)’의 발표에 따르면, 근시 인구는 약 7억 명에 달하며, 청소년층 근시율은 51.9%에 이른다. 특히 20세 이하 환자는 올해 1억 870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예측돼 사회적으로 이슈가 되고 있다.
눈 피로는 단순한 불편함을 넘어 생산성 저하, 의료비 증가, 공공 서비스 비용 상승 등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며 경제적 손실로 이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국 정부는 2021년에 '2021~2025 국민 눈 건강 규획(全国眼健康规划 2021-2025年)'을 발표해, ▲안과 의료 서비스 체계의 고품질 발전, ▲청소년 등 눈병 예방 치료 강화, ▲눈 건강 서비스 지원 플랫폼 구축 등을 추진 중이다.
눈 건강 시장, 지속 확대∙다변화 추세
컨설팅 회사인 ‘터우바오 연구원(头豹研究院)’의 데이터에 따르면, 눈 피로 해소 건강식품 시장 규모는 2018년 121억2500만 위안(약 2조3600억 원)에서 2023년 166억5000만 위안(약 3조2400억 원)으로 연평균 6.6% 성장했다. 또한, 2024년 177억5000만 위안(약 3조4500억 원)에서 2028년 224억100만 위안(약 4조7500억 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눈 피로 해소 건강식품 시장 규모>
[자료: 터우바오 연구원, KOTRA 칭다오무역관 정리]
또한, 자산∙투자관리 온라인 플랫폼인 ‘쉐추(雪球)’의 자료에 따르면, 2025년 중국의 안과 의료 서비스 시장 규모는 2024년 대비 13.9% 성장한 1594억 위안(약 31조)으로 예측되며, 시장 성장의 주요 요소로 고령화와 청소년 근시 문제를 꼽았다.
눈 건강 시장이 기존에는 안과 치료 및 눈 피로 해소 건강식품을 중심으로 형성됐다면, 최근에는 눈 건강 유지를 위한 ▲안경 및 광학 제품, ▲눈 건강 의료기기, ▲디지털 서비스 분야로 시장이 확대되고 있다. 현재 눈 건강 시장은 단순 기능 제공을 넘어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종합 솔루션’으로 변모하고 있다.
눈 건강 시장 트렌드: 의(衣, wear), 식(食, eat), 주(注, care)
* 전통적인 의식주(衣食住)에서 ‘주(住)’를 ‘주의하다’라는 뜻으로 사용
1. 의(衣, wear): 광학 제품 및 눈 건강 의료기기
최근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을 탑재한 안경과 콘택트 렌즈가 시장에 빠르게 자리잡고 있다. 블루라이트 차단 스마트 안경은 AI 센서를 활용해 사용자의 눈 깜빡임 속도와 동공 크기를 감지하고 분석해 블루라이트 차단율을 30~90%로 자동 조절한다. 눈 피로 감소 효과를 40% 이상 향상시켜 젊은 직장인과 학생들에게 반응이 좋다. 2025년도 8월 기준, 중국 브랜드 'VGO'의 블루라이트 차단 기능 안경의 징둥 온라인 플랫폼 누적 판매량은 30만 개를 돌파했다.
또한, VR 기반 눈 트레이닝 기기와 안구 건조증 치료기기 등 가정용 의료기기도 주목받고 있다. 소비자들은 타오바오(淘宝), 징둥(京东) 등 온라인 플랫폼에서 해당 제품을 쉽게 구입해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중국의 정보기술기업인 '쯔제탸오둥(字节跳动)' 사의 ‘비전 트레이너 VR’이 있다. 이 기기는 3D 가상 공간에서 다양한 시각 운동 프로그램을 제공해, 사용자 눈 초점 조절 능력과 눈동자 움직임을 훈련한다. 특히 근시나 눈 피로가 있는 사용자를 위해 맞춤형 트레이닝 코스를 설계할 수 있으며, 1일 15분 사용으로 8주 후 눈 초점 조절 속도가 평균 30% 향상되는 효과를 보이기도 했다.
광둥웨화의료기기(广东粤华医疗器械) 사의 안구 건조증 치료기기인 ‘웨화WH-2000’은 초음파 기술 기반으로 눈물샘을 자극해 1회 사용으로 6시간 동안 안구 건조를 완화하는 효과를 보여 인기를 얻고 있다. 2025년도 8월 기준 해당 제품의 타오바오, 징둥 등 온라인 플랫폼에서의 누적 판매량은 3만 개 정도다.
<관련 제품 이미지>
블루라이트 차단 스마트 안경
VR 기반 눈 트레이닝 기기

[자료: 징둥]
2. 식(食, eat): 눈 건강 기능식품
루테인, 지아잔틴, 블루베리 추출물 등 눈 건강에 필요한 영양소를 함유한 제품이 대표적이다. 특히 영양소를 복합적으로 결합한 제품이 인기를 끌고 있으며, 2024년 새로 출시된 제품 중 루테인과 오메가 3를 결합한 제품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 25~35세 젊은층이 주도적인 소비층이며, 특히 직장에서 즉시 섭취할 수 있는 포터블 타입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중국 식이 영양 보충제업계의 리더 브랜드인 '탕천베이젠(汤臣倍健)'의 ‘블루베리 루테인 소프트 캡슐(越橘叶黄素软胶囊)’은 유럽산 블루베리 추출물(안토시아닌 25% 함유)을 주원료로 사용하며, 1개월 분량 가격이 30 달러로 가성비가 좋아 젊은 직장인층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중국 대형 의약 회사인 '런허(仁和)'의 ‘블루베리 루테인 압축 캔디(蓝莓叶黄素酯压片糖果)’는 캔디 형태로 간편히 섭취할 수 있으며, 블루베리 추출물과 루테인을 함유해 학생층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관련 제품 이미지>
탕천베이젠 블루베리 루테인 소프트 캡슐
런허 블루베리 루테인 압축 캔디

[자료: 징둥]
3. 주(注, care): 눈 건강 모니터링 솔루션
AI 기반 눈 건강 모니터링 기술은 주로 스마트폰 카메라를 이용해 눈꺼풀 운동과 동공 반응을 분석해 피로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상용화되고 있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기술 개발과 판매를 위주로 하는 '선전시 후옌바오'(深圳市护眼宝科技)가 개발한 ‘후옌바오(护眼宝)’ 앱은 4000만 명 이상이 다운로드한 인기 애플리케이션으로 스마트폰 사용자의 블루라이트 노출을 줄여 시력을 보호하고, 눈 건강 회복을 돕는다. 또한, 눈 건강 문제를 빠르게 발견하고 관련 전문 지식을 제공한다.
'옌멍(眼萌)'은 WeChat으로 알려진 소셜플랫폼 기업인 '텐센트(腾讯)'에서 개발한 시력보호 관리 애플리케이션이다. 이 애플리케이션은 후옌바오(护眼宝)의 직접적인 경쟁사이자 시장의 주요 플레이어 중 하나로 꼽힌다. 핵심 기능은 후옌바오와 매우 유사해, AI 피로도 감시(카메라를 통한 안구 및 눈 깜빡임 빈도 분석), 블루라이트 필터링, 사용 시간 관리, 적정 거리 유지 알림 등을 제공한다. 어린이와 학생 사용자층을 중심으로 큰 인기를 얻어, 1000만 다운로드에 달하는 방대한 사용자 기반을 보유하고 있다.
<관련 제품 이미지>
후옌바오 애플리케이션
옌멍 애플리케이션

[자료: 당이왕(当易网)]
中 눈 건강 시장 진출기회 크지만, 인증규제 등 철저한 사전확인 필요
중국의 눈 건강 시장은 단순히 눈 건강 유지 및 질환 예방을 위한 제품 중심이 아닌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종합 솔루션’의 성격으로 진화하고 있다. 우리 기업은 ICT 기술력과 K-뷰티 감성, 의료 신뢰도를 기반으로 중국의 눈 건강 시장 진출을 고려해 볼 수 있으며, 상기 요소들을 종합한 통합형 플랫폼 전략을 통해 기존 제품과 차별화할 수 있다.
15년 이상 수입 의료기기를 취급한 S 사의 W 총괄 경영진은 KOTRA 칭다오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한국기업의 중국 시장 진출 성공을 위해 NMPA(국가약품감독관리국) 규제 환경 사전 분석, ISO 품질 관리 시스템 준수를 통한 안전성 확보, 현지 소비자 니즈 기반 마케팅 전략 수립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는 중국 시장 진출 시에 규제 환경에 대한 철저한 조사와 전문 컨설팅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인증 과정을 원활히 진행해야 하며, 제품의 품질 및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현지 소비자 수요에 부합하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성공적인 시장 진출의 핵심 요소라고 재차 강조했다.
제품군별 사전 확인이 필요한 인증 규제 및 참고 사항은 아래와 같다.
1. 건강기능식품
중국에서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엄격한 규제를 적용하고 있다. 먼저 ‘건강기능식품 등록증(保健食品注册证)’을 받아야 하며, 이를 위해 중국 국가식품약품감독관리국(NMPA)에서 요구하는 안전성과 기능성 평가를 통과해야 한다. 제품에 함유된 루테인, 지아잔틴 등의 영양소는 중국에서 허가된 원료 목록에 포함돼 있어야 하며, 성분 함량도 규정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또한, 라벨에는 중국어로 기능성 설명, 사용 방법, 유통기한 등을 명확히 표시해야 하며, 허가된 기능 이외의 효과를 광고하면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다. 중국 현지의 식품 연구소와 협력해 적합성 평가를 신속히 진행하는 것이 좋으며, 원료 공급망을 투명하게 관리해 품질을 보증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안경 및 광학 제품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 등의 광학 제품은 중국품질인증센터(CQC)로부터 ‘중국 강제 인증(CCC 인증)’을 받아야 한다. 이 인증은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을 검증하는 것으로, 전기적 안전성, 재료 안전성 등을 평가한다. 스마트 안경과 같이 전자 기능이 포함된 제품은 추가로 ‘무선통신 관련 인증(SRRC 인증)’을 받아야 한다.
또한, 제품 라벨에는 중국어로 제품 명칭, 규격, 제조사 정보, CCC 인증 마크 등을 표시해야 한다. 중국의 광학 제품 표준(GB 표준)을 충족해야 하며, 특히 블루라이트 차단율 등의 성능 지표는 정확히 측정되고 검증돼야 한다. 중국 현지의 유통 채널과 협력해 제품을 홍보하고, 소비자의 사용습관에 맞는 디자인을 개발하는 것이 유리하다.
3. 의료기기, 건강 관리 기기 및 디지털 서비스
VR 기반 눈 트레이닝 기기 등의 의료기기는 NMPA의 의료기기 등록을 받아야 한다. 등록 과정은 제품의 위험도에 따라 분류돼 진행되며, 일반적으로 안전성과 효능을 입증하는 임상시험 데이터가 필요하다.
건강 관리 기기 중 일부는 의료기기로 분류되지 않을 수 있으나, 중국 계량 과학 연구원으로부터 ‘전자 정보제품 오염통제 인증(RoHS 인증)’을 받아야 한다. 제품 설명서는 중국어로 작성돼야 하며, 사용 방법과 주의 사항을 명확히 설명해야 한다. 중국의 의료기기 규제가 빈번히 변경되므로, 최신 정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야 한다. 현지 의료기기 유통기업과 파트너십을 맺어 시장 진출을 지원받고, 제품 애프터서비스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AI 기반 눈 건강 진단 앱 등의 디지털 서비스는 성, 자치구, 직할시, 통신관리국으로부터 ‘인터넷정보서비스허가증(ICP 허가증)’을 받아야 한다. 또한, 개인정보 수집과 관련해 중국의 ‘개인정보보호법(个人信息保护法)’을 준수해야 하며, 사용자 데이터는 중국 경내에 저장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앱의 기능 설명과 사용 약관은 중국어로 제공돼야 하며, 광고 내용은 중국 법률을 준수해야 한다. 데이터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대책을 강화해 법적 위험을 피해야 한다. 중국 현지의 기술 파트너와 협력해 서비스를 지역화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적극 반영해 제품을 개선하는 것이 좋다.
자료: 중국구가보건위생위,중국 안과의사협회, QuestMobile, 터우바오(头豹)컨설팅 회사, NMPA홈페이지, 중국해관, 징둥 플랫폼, 쉐추(雪球)플랫폼, 당이왕(当易网), KOTRA 칭다오무역관 자료 정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눈 건강 생활화, 중국의 눈 건강 산업 트렌드)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5 홍콩 식품전시회, K-푸드와 할랄·실버푸드·건강식 인기 상승
홍콩 2025-09-01
-
2
스웨덴 로봇산업, 국가의 성장동력으로 작동하다
스웨덴 2025-08-01
-
3
에콰도르 콘택트렌즈 시장동향
에콰도르 2025-08-26
-
4
2025년 영국 의료 산업 정보
영국 2025-08-27
-
5
다시 뜨거워진 K-콘텐츠, 팬덤 경제 넘어 산업 생태계로 확장
미국 2025-08-28
-
6
2025 인도 신발산업 정보
인도 2025-09-16
-
1
2025 중국 치과산업 정보
중국 2025-09-10
-
2
2025년 중국 실버산업 정보
중국 2025-07-22
-
3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4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5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6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