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도네시아 라텍스(합성 고무) 시장동향
  • 상품DB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무역관 이인배
  • 2025-08-08
  • 출처 : KOTRA

인도네시아 합성 고무 수입국 중 한국은 가장 큰 비중을 차지

최근 인도네시아 내 하이브리드, 전기차 판매 증가에 따른 타이어 수요로 고성능 합성 고무 수요 확대 전망

상품명 및 HSCODE


HS Code 400220은 단량체 1, 3부타디엔으로부터 제조되는 다용도 합성 고무로서 고탄성 및 저온에서의 유연성 등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핵심 소재다.

 

시장동향 및 규모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합성 고무 시장은 2023년에서 2028년까지 연평균 4.5% 증가할 것으로 기대된다. 생산가치 기준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세 번째로 큰 시장이며, 절대적인 생산가치 기준으로 일곱 번째로 큰 시장이다. 합성 고무에 대한 수요는 B2B가 86.6%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합성 고무 시장은 현지 기업의 비중이 59%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인도네시아 합성 고무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연도

2020

2021

2022

2023

2024

시장규모

4,440.5

5,721.8

6,118.5

6,086.3

5,963.9

 [자료: 유로모니터(Euromonitor)] 

 

인도네시아자동차산업협회(GAIKINDO)에 따르면, 2024년 인도네시아의 하이브리드 차량 판매는 5만6812대로 전년 대비 4.86% 증가했으며 전기차량 판매는 4만2889대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151.53% 성장률을 보이고 있어 친환경 차량 추세에 따른 고성능 합성 고무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에 인도네시아의 견고한 산업인 신발 산업과 건설 산업부분의 컨베이어 벨트, 호스 등 다양한 고무제품뿐만 아니라 타이어 시장의 고급화에 따른 고성능 합성 고무 등 인도네시아의 합성 고무는 꾸준한 수요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수입동향 및 국가별 수입규모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자료에 따르면, HS Code 400220에 해당하는 제품의 수입은 최근 한 해를 제외하곤 꾸준한 수요를 보이고 있다. 2021년에는 약 2억1120만달러, 2022년 약 2억2970만 달러였으나 2023년에는 1억7771만 달러까지 감소해 시장이 위축됐다. 그러나 2024년에는 2억2002만 달러를 기록해 반등을 통한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변동성은 글로벌 경제 변화에 민감한 시장 특성을 보여주지만, 동시에 견고한 내재 수요가 회복을 뒷받침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세계 수입량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국가는 한국으로, 2024년 기준으로 전체 수입량의 약 60%를 차지한다. 그다음으로는 일본에서 18.2%를 수입하고 있으며, 뒤이어 중국(6.6%), 대만(5.85%), 미국(1.73%), 프랑스(1.32%), 싱가포르(1.3%) 에서 수입되고 있다. 최근 미국 제품의 수입은 2023년 140만 달러에서 2024년 380만 달러로 최근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한편 싱가포르, UAE 제품의 수입은 전년 대비 각각 -29.6%, -25.4%로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한국산 제품은 부동의 시장 1위이며 100만 달러 규모로 유지되고 있다.

 

<인도네시아 합성 고무(HS Code 400220) 수입현황>

(단위: US$ 천)

연도

수입액

증감률

2021

211,207

+62.8%

2022

229,705

+8.8%

2023

177,719

-22.6%

2024

220,021

23.8%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2021~2024년 합성 고무(HS Code 400220) 수입규모>

(단위: US$ 천, %)

국가/지역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021

2022

2023

2024

2024

23/24


전 세계

211,207

229,705

177,719

220,021

100.0

23.8

1

한국

132,242

150,797

102,232

131,172

59.6

28.3

2

일본

20,677

18,349

27,701

40,066

18.2

44.6

3

중국

10,318

21,193

16,228

14,515

6.6

-10.6

4

대만

6,794

9,751

12,327

12,876

5.9

4.5

5

미국

1,468

1,466

1,455

3,800

1.7

161.1

6

프랑스

5,544

5,596

2,875

2,913

1.3

1.3

7

싱가포르

7,594

4,572

4,065

2,858

1.3

-29.7

8

사우디

2,893

3,298

1,436

2,257

1.0

57.1

9

태국

1,187

1,975

2,063

2,246

1.0

8.9

10

UAE

4,648

1,785

2,383

1,778

0.8

-25.4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유통구조


HS Code 400220에 해당하는 합성 고무 제품은 산업용 원자재로서 무역부의 규정(No.22/M-DAG/PER/3/2016)에 의해 관리되고 있다. 이 규정의 핵심 원칙은 외국기업이 인도네시아 내에서 제품을 수입하고 유통하기 위해선 일반적으로 현지에 등록된 법인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점이다. 즉, 외국기업은 현지에 직접 판매할 수 없으며 현지 에이전트 및 유통업체와 같은 수입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업체를 통해 판매할 수 있다.


이에 현지 수입업체는 기본적으로 NIB(Nomor Induk Berusaha, 사업자등록번호) 뿐만 아니라 수입 라이센스 역할을 하는 API(Angka Pengenal Impor, 수입업체 식별번호)를 보유해야 한다.


API의 경우 현지 사업의 성격에 따라, 단순 무역 및 유통 목적의 수입사라면 API-U, 자체 생산 공정에 필요한 원자재 및 자본재를 수입하는 제조사라면 API-P를 보유해야 한다. 이러한 규제 구조는 외국기업이 인도네시아 합성 고무 시장 진출 전략 수립시에 반드시 고려해야 되는 중요 요소다.


<합성 고무 (HS Code 400220) 유통구조>

[자료: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합성 고무(HS Code 400220) 유통사 리스트>

로고

제품군

소개

PT Sarana Luas Maju Kimia

합성 고무

1994년에 설립한 합성 고무 및 화학 원자재 유통업체로서 타이어 제조사, 자동차 부품 업체사 등을 대상으로 납품함

PT Bridgestone Tire Indonesia

 

자동차 타이어

세계적인 타이어 제조업체로서 인도네시아 브카시, 카라왕에 제조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며 승용차, 중장비 등 다양한 타입의 타이어를 생산 및 공급함

PT

Titian Abadi Lestari

합성 고무

고무, 플라스틱 등 다양한 산업 분야의 화학 원재료 납품을 전문으로 함

[: 각 사 홈페이지,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경쟁동향


회사명

로고

웹사이트

소개

PT Chandra Asri Pacific Tbk

https://chandra-asri.com

인도네시아의 가장 큰 석유 화학 기업으로 합성고무를 포함해 다양한 산업에 필요한 원자재를 생산함

PT Synthetic Rubber Indonesia

-

 

PT Chandra Asri Pacifitc Tbk 사와 

프랑스 타이어 제조사 Michelin간의

합작 투자 회사로서 연간 12만 톤의

생산능력을 갖춤


리튬 촉매를 사용한 합성고무 제품

(SSBR, Solution Stryene Butadiene

Rubber)과 네오디뮴 촉매 부타디엔

고무 제품(NdBR, Neodymium-

catalyst Butadiene Rubber)을 생산함

PT Gajah

Tunggal Tbk

https://www.gt-tires.com/

동남아 최대 통합 타이어 생산업체로서 자전거 타이어로 시작해 승용차, 오토바이 등 타이어 전 제품군을 제조하며 타이어 외에도 합성고무, 튜브 등 관련 제품 또한 제조함

[자료: 각 사 홈페이지,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관세율 및 인증


HS Code 400220에 해당하는 합성 고무 제품은 인도네시아 국가 표준(SNI, Standar National Indonesia)에 대상은 아니다. 하지만 합성 고무를 적용한 완제품(승용차, 오토바이용 타이어, 등)은 SNI 대상이다. 이에 현지 제조사들은 고품질의 원자재 확보에 매우 민감해 품질 보증 자료를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


<관세율>

 HS Code

제품명

관세율

VAT

MFN

AKFTA

IKCEPA

400220

Butadiene Rubber(BR)

5%

0%

0%

12%

[자료: 인도네시아 재무부]


시사점


인도네시아 합성 고무는 한국으로부터 가장 많이 수입하는 제품 하나로서 타이어, 신발, 호스 합성 고무를 적용한 완제품의 지속적인 수요에 따라 앞으로도 꾸준한 성장세가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현지 진출을 위해선 에이전트 및 유통업체와의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을 통해 시장 진출을 접근해야 하며 신발, 호스 산업용품과 같은 일반 품질의 합성 고무 수요뿐만 아니라 전기차, 프리미엄 차량 시장을 겨냥한 타이어 제조업체의 고성능 합성 고무 수요에 대응해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한다면 지속적인 진출 기회를 구축할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인도네시아 재무부, 유로모니터, 각 사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네시아 라텍스(합성 고무)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