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싱가포르 기초 및 색조 화장품 시장 동향
  • 상품DB
  • 싱가포르
  • 싱가포르무역관 Tiffany Lim
  • 2025-08-11
  • 출처 : KOTRA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싱가포르의 화장품 시장 속 우리나라의 기회요인

싱가포르 화장품 시장은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빠르게 회복세를 보이며, 다양한 글로벌 브랜드들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립 메이크업(입술화장용 제품류, HS 코드 330410)과 기타 기초 화장품(HS 코드 330499)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인 성장세를 나타내며, 한국산 제품의 입지도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기사에서는 싱가포르 화장품 시장의 주요 동향과 함께 HS 330410 및 330499 코드 기준 한국산 기초 및 색조 화장품의 수출입 현황, 주요 경쟁 브랜드와 유통 구조, 인증 및 관세 제도 등을 중심으로 시장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시장동향


Statista에 따르면, 2024년 싱가포르 화장품 시장 매출은 1억9841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0년 코로나19로 인한 전국 봉쇄 조치의 여파로 침체됐던 시장은 2022년을 기점으로 팬데믹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화장품 시장 매출은 2025년 2억441만 달러, 2030년까지 2억2795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아래의 Statista 화장품 시장 매출 통계자료는 HS 코드 330410과 330499뿐만 아니라 기초, 색조화장품 외에도 스킨케어, 퍼스널케어, 향수, 뷰티테크 등을 포함한 보다 넓은 범위를 포괄하고 있다. 따라서 해당 시장 규모 수치는 소비자 지출을 기반으로 한 전체 화장품 산업의 지표임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싱가포르 화장품 매출 추이>

(단위: US$ 백만)

[자료: Statista]


2024년 전체 매출 중 베이스 메이크업 제품이 33%를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중을 기록했고, 아이 메이크업이 28%, 립 메이크업이 18%, 내추럴 화장품이 10%를 차지했다.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매끄러운 피부 표현을 중시함에 따라 페이스 메이크업 제품이 가장 높은 매출을 기록했다. 한편, 립 메이크업은 다양한 제품군이 대중 및 프리미엄 시장에서 주목을 받으며 가장 높은 매출 증가율을 보였다.


아이 메이크업 역시 트렌드 변화와 다양한 지역 뷰티 스타일의 유입으로 제품군이 확대되면서 두 번째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자연스러움을 강조하는 K-뷰티와 J-뷰티 트렌드가 확산되면서, 눈가와 눈썹을 은은하게 강조하는 섬세한 아이 메이크업에 대한 수요가 증가했고, 애교살 쉐이딩이나 하이라이터처럼 부드럽고 어려 보이는 눈매를 연출하는 제품들이 인기를 끌며 시장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싱가포르 뷰티 시장은 다문화 사회라는 특성에 따라 다양한 미(美)의 기준과 뷰티 루틴이 공존하며, 각기 다른 피부 톤과 타입에 맞춘 제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친환경 제품과 윤리적 원료 조달을 중시하는 클린 뷰티 제품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는 추세다. 이는 소비자들이 제품의 원료 출처와 성분에 대한 투명성을 더욱 요구하게 된 것으로, 환경 보호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나타난 시장의 중요한 변화로 해석된다.

 

수입동향 및 규모


HS 코드 330499 기준 싱가포르의 수입국 순위에서 한국은 프랑스, 일본, 미국에 이어 4위를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은 2024년 기준 수입액이 전년 대비 14.8% 증가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반면, 프랑스(-10.9%), 일본(-23.0%), 미국(-19.8%) 등 상위 3개국은 모두 전년 대비 수입 감소세를 기록했다. HS 330499 전체 수입 규모는 2023년 대비 2024년에도 감소 추세를 이어가고 있다.


<HS 330499 싱가포르 對 전 세계 상위 10개 수입 국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2

2023

2024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

 

전 세계

2,677,619

2,448,237

2,196,856

-10.3

1

프랑스

1,101,486

1,043,807

930,504

-10.9

2

일본

717,306

515,402

397,000

-23.0

3

미국

262,936

272,039

218,056

-19.8

4

한국

165,228

183,551

210,701

14.8

5

스위스

42,777

46,171

60,792

31.7

6

중국

41,868

36,400

45,341

24.6

7

영국

49,853

64,653

44,021

-31.9

8

말레이시아

33,661

45,442

40,902

-10.0

9

이탈리아

43,054

33,438

32,171

-3.8

10

벨기에

18,111

27,838

31,763

14.1

[자료: S&P Global, 2025.08.05 기준]

 

HS 코드 330410에 해당하는 한국산 제품의 싱가포르 수입액은 2023년 1883만8000달러에서 2024년 3159만2000달러로 67.7% 증가했다. 이러한 급증은 한국산 립 제품이 서구권 브랜드 대비 가격 경쟁력을 갖추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예를 들어, Sephora에서 판매되는 서구권 브랜드 립스틱 가격은 20 싱가포르 달러(약 2만1550원)에서 최대 170 싱가포르 달러(약 18만3180원)까지 형성돼 있는 반면, 한국 브랜드 립스틱은 주로 10 싱가포르 달러(약 1만775원)에서 40(약 4만3101원) 사이의 가격대를 유지하고 있다.


<HS 330410 싱가포르 對 전 세계 상위 10개 수입 국가>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2

2023

2024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

전 세계

216,991

296,786

270,375

-8.9

1

프랑스

151,077

206,339

180,539

-12.5

2

한국

14,920

18,838

31,592

67.7

3

이탈리아

7,891

17,443

13,916

-20.2

4

미국

9,735

12,504

12,206

-2.4

5

벨기에

5,283

8,641

8,542

-1.1

6

캐나다

9,576

11,140

8,359

-25.0

7

일본

9,466

10,252

6,812

-33.6

8

중국

5,286

5,446

4,170

-23.4

9

독일

1,061

2,727

1,251

-54.1

10

영국

265

137

645

370.4

 [자료: S&P Global, 2025.08.05 기준]


싱가포르의 화장품 수입은 2022년 이후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생활비 상승과 글로벌 경기 불확실성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가격 민감도가 높아지고, 혁신적이고 경쟁력 있는 가격대의 신제품을 요구하는 소비 트렌드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은 프랑스와 일본에 이어 싱가포르 화장품 수입국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전체 수입 규모가 감소함에 따라 대부분 국가에서 수입이 줄어 들었으나, 한국, 스위스와 중국의 수입액은 증가했다. 이러한 불리한 경제 여건에도 불구하고, 한국산 화장품 수입은 2022년 1억8000만 달러에서 2024년 2억4000만 달러로 증가하며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다.


<싱가포르 對 전세계 수입 상위 10개국>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2

2023

2024

전년 동기 대비 증감률

-

전 세계

2,894,610

2,745,023

2,467,231

-10.1

1

프랑스

1,252,564

1,250,145

1,111,042

-11.1

2

일본

726,773

525,654

403,812

-23.2

3

한국

180,147

202,389

242,293

19.7

4

미국

272,671

284,543

230,262

-19.1

5

스위스

42,900

46,177

60,812

31.7

6

중국

47,154

41,846

49,511

18.3

7

이탈리아

50,945

50,880

46,088

-9.4

8

영국

50,118

64,790

44,666

-31.1

9

말레이시아

34,026

45,867

41,309

-9.9

10

벨기에

23,394

36,479

40,305

10.5

[자료: S&P Global, 2025.08.05 기준]

 

경쟁동향


Statista의 ‘2023 싱가포르 뷰티 소비자 보고서’에 따르면, 이니스프리, 에뛰드, 3CE, 라네즈 등 4개의 한국 브랜드가 2023년 싱가포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메이크업 브랜드 Top 10에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싱가포르 시장 내 가장 오랜 진출 역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라네즈는 2003년, 에뛰드는 2012년, 이니스프리는 2013년에 진출해 대형 오프라인 매장을 중심으로 시장 존재감을 확대해 왔다. 현재 에뛰드는 오프라인 매장을 철수하고 온라인 전용 판매 채널로 운영되고 있다. 이후 수많은 신규 브랜드들이 싱가포르 시장에 진입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들 한국 브랜드는 오랜 기간 쌓아온 폭넓은 고객층을 바탕으로 2024년 현재까지도 강한 영향력을 유지하고 있다.


<2023 싱가포르 메이크업 브랜드 사용 순위>

(단위: %)

[자료: Statista]


위의 <2023 싱가포르 메이크업 브랜드 사용 순위> 표는 싱가포르 소비자들이 특정 브랜드의 메이크업 제품을 얼마나 사용하고 있는지를 기준으로 브랜드별 사용 현황을 나타낸 것이다. 이는 제품 유형과 관계없이 브랜드 차원에서 소비자들이 실제로 사용하는 빈도와 선호도를 보여준다.


서구권 프리미엄 브랜드들이 다양한 쉐이드와 고가 전략을 통해 고급 시장을 공략하는 반면, 한국 브랜드들은 고품질 대비 합리적인 가격대와 혁신적인 제형(쿠션 파운데이션, 블러링 립 틴트 등)을 강점으로 내세우며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자층을 효과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이러한 가격 포지셔닝 전략은 소비자들의 가격 민감도가 높아진 최근 시장 환경에서도 유리하게 작용하고 있다.


다만, 서구 브랜드들이 다양한 피부 톤에 맞춘 쉐이드 구성에서 여전히 강점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 브랜드들은 이를 보완하기 위한 제품군 확대와 현지화 전략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 브랜드들의 민첩한 트렌드 대응력과 혁신 제품 개발 능력은 시장 내 차별화 요소로 작용하며, 향후 지속적인 성장 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싱가포르 내 HS390499 기초화장품 예시 및 가격 비교>

(단위: 싱가포르 달러)

제품 [국가]

제품 이미지

용량 / 가격 / 쉐이드 수

입생로랑 (Yves Saint Laurent)

뚜쉬 에끌라 메쉬 쿠션 파운데이션 [프랑스]

Touche Eclat Mesh Cushion Foundation B10

$122, 12g, 쉐이드 2개

끌레드뽀 보떼 (Clé de Peau Beauté)

래디언트 쿠션 듀이 파운데이션 [일본]

Radiant Cushion Dewy Foundation B20

$105, 15g 쉐이드 7개

라네즈 (Laneige)

네오 쿠션 매트 SPF 46+ PA++ [한국]

 

Laneige NEO Cushion Matte SPF 46+ PA++ 15g*2 Long-lasting Foundation Cushion with Refill

$71, 30g(15g*2), 쉐이드 7개

정샘물 (JUNGSAEMMOOL)

에센셜 스킨 누더 쿠션 [한국]

Essential Skin Nuder Cushion (incl. refill)

$52, 28g(14g*2), 쉐이드 8개

* SGD 1 = KRW 1079

[자료: Sephora 및 각 제품 홈페이지]


수입 물량 증가 데이터에 따르면, 한국산 립 제품은 높은 품질과 서구권 제품 대비 경쟁력 있는 가격을 바탕으로 싱가포르 시장 내 인기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싱가포르 내 HS390410 색조화장품 예시 및 가격 비교>

(단위: 싱가포르 달러)

제품 [국가]

제품 이미지

용량 / 가격 / 컬러 수

디올 (Dior)

어딕트 노 트랜스퍼 립 틴트 [프랑스]

Addict No-Transfer Lip Tint

$62, 5ml, 10 컬러

맥 (Mac Cosmetics)

락트 키스 잉크 24HR 립컬러 [캐나다]

M·A·C Locked Kiss Ink™ 24HR Lipcolour Bodacious - Deep Tone Beige

$50, 4g, 25 컬러

3CE

블러 워터 틴트 [한국]

https://down-sg.img.susercontent.com/file/sg-11134207-7rdww-mckdjl0eqxf7f1

$22.90, 4.6g, 17 컬러

비바이 바닐라

글로우 베일 틴트 [한국]

$27.90, 3.8g, 3 컬러

* SGD 1 = KRW 1079

[자료: Sephora, Shopee, iShop Changi]


유통구조


싱가포르는 소매 유통의 디지털화가 빠르게 진행돼 전체 유통 채널 중 온라인 비중이 27%에 달하고 있다. 개별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 외에도 소비자들은 Shopee, Lazada, TikTok Shop과 같은 이커머스 플랫폼을 통해 화장품을 구매하는 경향을 보인다.


<싱가포르 내 인기 이커머스 플랫폼>

이커머스 플랫폼

회사 개요

Shopee

∘ 2015년 설립,

∘ 다중채널 Cross-platform운영

∘ 2017년 10월 뉴욕거래소(NYSE) 상장

∘ SEA그룹 소속 플랫폼

Lazada

∘ 2012년 설립

∘ 2014년 9월 뉴욕거래소(NYSE)상장

∘ Alibaba 소속 이커머스 플랫폼

Tiktok Shop

∘ 2016년 중국
∘ 바이트댄스(ByteDance)에 의해 설립된 소셜 미디어 플랫폼

∘ ‘Douyin’으로 최초 출시

∘ 2017년 글로벌 겨냥 ‘TikTok’으로 재출시

[자료: 각 플랫폼 공식 홈페이지]


지난 1년간 싱가포르에서는 TikTok Shop 등의 라이브커머스 시장이 급성장하며 이커머스 판도의 핵심 축으로 자리 잡았다. Statista에 따르면, 라이브커머스를 포함한 싱가포르의 소셜커머스 시장 규모는 2024년 기준 5억6000만 달러를 초과한 것으로 추정된다. 분석사이트 Stream Charts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기준 TikTok Live 시청 시간은 80억 시간을 돌파하며 전체 플랫폼 시청 시간의 약 27%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TikTok Shop Singapore의 라이브커머스 거래액(GMV)은 2025년 4월 기준 전년 같은 기간 대비 85% 증가했다. 토리든과 같은 한국 스킨케어 제품이 TikTok 라이브를 통해 판매되고 있으며, 마뗑김, SPAO 등 의류 브랜드들도 싱가포르 인플루언서를 통한 라이브 방송에서 제품을 선보이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2024년 싱가포르 색조화장품 주요 유통 채널은 여전히 오프라인(73%)이 주를 이루고 있다. 소비자들은 제품을 직접 테스트하고 체험한 후 구매를 결정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오프라인 유통 채널 중 브랜드 직영 매장이 3%를 차지하고 있으며, 종합소매점과 헬스앤뷰티 전문점이 각각 28.8%, 41.2%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싱가포르 내 주요 헬스앤뷰티 전문점으로는 Watsons, Guardian, Sephora, Sa Sa 등이 있으며, Euromonitor에 따르면, 이들 전문점은 2024년 색조화장품 유통채널 비중에서 가장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관세율 & 인증


싱가포르에서는 HS 코드 330410 및 330499에 해당하는 제품이 모두 화장품류로 분류되며, 한-싱가포르 자유무역협정(KSFTA) 및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AKFTA)에 따라 협정상 원산지 기준을 충족하는 한국산 제품은 관세가 면제된다.


다만, 싱가포르는 모든 수입품에 대해 Goods and Services Tax(GST)를 부과하고 있으며, 이는 화장품과 의류를 포함한 모든 수입 상품에 적용된다. 2024년 1월 1일부터 GST 세율은 기존 8%에서 9%로 인상됐으며, GST는 CIF(상품 가격, 보험료, 운송료 포함) 기준으로 부과된다. 이에 따라 과세 금액은 제품 가격뿐만 아니라 운송비와 보험료 등을 모두 포함한 금액을 기준으로 산정된다.


싱가포르로 화장품을 수입하기 위해서는 2008년부터 시행된 아세안 화장품 지침(ASEAN Cosmetic Directive, ACD)을 준수해야 한다. 이 지침은 유럽연합(EU)의 화장품 규제와 유사한 기준과 안전성 원칙을 채택하고 있다.


ACD에는 화장품에 사용할 수 없는 금지 성분 목록과 함께, 사용이 허용된 색소, 방부제, 자외선 차단제(자외선 필터) 목록이 명시돼 있다. 또한 제품 라벨링 요건 및 안전성 평가에 대한 지침도 포함돼 있어, 소비자 보호를 위한 기준을 충족해야 한다.

제품이 ACD 및 싱가포르 현지 라벨링 요건을 충족할 경우, 수입자 즉 바이어는 CorpPass를 통해 CRIS(Client Registration and Identification Service) 계정을 등록해야 한다. 이후 PRISM 플랫폼에 접속해 화장품 제품 사전 통지(Cosmetic Product Notification)를 제출해야 하며, 해당 통지는 매년 갱신해야 한다.


규제 요건 준수 외에도 우수제조관리기준(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s)은 제품 품질과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싱가포르에서는 GMP 인증이 필수 요건은 아니지만, 제조업체는 ISO 22716과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ASEAN 화장품 GMP 가이드라인에 따라 GMP 원칙을 준수해야 한다.


많은 제조업체들은 공신력 있는 인증기관으로부터 GMP 인증을 취득함으로써 기업 신뢰도를 높이고, 제품 리콜 등의 리스크를 최소화하며, 해외 시장 진출 시 유리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다. GMP 인증은 바이어 및 규제 당국으로부터 신뢰를 얻는 수단일 뿐만 아니라, 제조 기준을 중시하는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중요한 차별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시사점


싱가포르 화장품 시장은 코로나19 이후 빠른 회복세를 보이며, K-뷰티 브랜드에 여전히 높은 성장 가능성을 제공하는 전략적 시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싱가포르는 동남아 시장 진출을 위한 중요 관문인 동시에 다양한 인종과 문화가 공존하는 사회인 만큼 폭넓은 피부 톤과 뷰티 기준을 충족할 수 있는 제품에 대한 수요가 있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들은 단순히 ‘K-뷰티’라는 브랜드 이미지를 넘어, 현지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과 가치관을 반영한 맞춤형 제품 전략이 필수적이다.


또한, 소비자들의 친환경·윤리적 소비 트렌드 확산으로 인해 제품 성분의 투명성, 지속 가능한 원료 사용, 친환경 포장재 활용 등이 브랜드 신뢰도 및 구매 결정에 핵심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는 원료 및 생산 공정에서 강점을 가진 한국 기업들에 새로운 차별화 포인트로 활용될 수 있다.


유통 채널 측면에서는 오프라인 매장을 통한 체험형 소비가 여전히 시장의 주를 이루고 있지만, 온라인 소비가 빠르게 확대되며 유통 다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TikTok 라이브커머스를 통한 실시간 판매와 콘텐츠 기반 마케팅은 브랜드 인지도 제고와 매출 증대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주요 전략으로 부상하고 있다. 기존 오프라인 인프라를 보유한 브랜드들은 온라인·라이브커머스와의 연계 전략을 통해 더욱 폭넓은 소비자층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다.


기존 주요 수출국들의 점유율이 하락하는 가운데, 한국 화장품 수출만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현상은 K-뷰티 브랜드의 품질 경쟁력과 시장 적응력이 여전히 유효함을 시사한다. 앞으로 한국 기업들은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동남아 시장 확대를 위한 브랜드 포지셔닝과 차별화된 제품 전략을 더욱 정교하게 설계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아시아 뷰티 시장 내 주도권을 강화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자료: 유로모니터, 싱가포르 보건과학청, 싱가포르 세관, The Straits Times, S&P Global Trade Atlas, Statista, Sephora, Shopee, iShopChangi, Lazada, TikTok 및 KOTRA 싱가포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싱가포르 기초 및 색조 화장품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