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타르 공공 분야의 디지털 전환 트렌드
- 트렌드
- 카타르
- 도하무역관 Reem Mohamed
- 2025-08-28
- 출처 : KOTRA
-
카타르의 글로벌 파트너십과 현지 혁신 생태계가 이끄는 스마트 전환
현지 생태계 육성을 통한 카타르의 스마트 도시 전환 가속화
개요
<카타르 디지털 산업 핵심 분야>
분야
내용
스마트시티 및 인프라
무셰립 다운타운 도하 (Musheireb Downtown Doha), 루사일 시티 (Lusail City)
공공서비스
e-Government 시스템(Hukoomi), AI 관광 동반자 (AI Tourists Companion), AI 노동 계약서 동반자 (AI Labour Contract Companion) 등
헬스케어
하마드 의료재단(HMC)의 디지털 진료 시스템 및 AI 기반 분석 서비스
유틸리티
수전력청(Kahramaa)의 스마트 계량기 사업 및 AI 운영 플랫폼
[자료: KOTRA 도하 무역관 자체 조사]
카타르는 스마트하고 지속가능한 도시 환경 조성을 국가 전략으로 설정하고 있으며, 교통, 공공시설, 행정서비스, 보건의료 등 시민 생활 전반에 걸쳐 스마트 시스템을 도입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전환 전략은 대규모 인프라 투자와 현지 생태계 개발, 그리고 글로벌 기업과의 협력을 기반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최근 들어 해외 기술 기업과의 파트너십이 빠르게 증가하면서 유망한 시스템 공급업체의 시장 진입 가능성도 함께 높아지고 있다.
또한, 현지 인재 양성과 민간 부문의 확장성 제고를 위한 지원도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카타르는 GCC 및 북아프리카 지역 최초로 구글 클라우드 리전을 유치했고, 마이크로소프트 데이터센터도 중동 지역 최초로 설치됐다. 이와 더불어 주요 글로벌 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사물인터넷(IoT) 등 디지털화 핵심 기술에 대한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도 활발히 운영되고 있다.
카타르의 도시 디지털화는 '디지털 아젠다 2030(Digital Agenda 2030)' 전략을 바탕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스마트 도시 환경 조성을 통해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공공서비스 질적 향상, 행정 및 운영 비효율성 감축, 경제 성장 촉진 등을 주요 목표로 두고 있다. 이러한 목표 달성을 위해 정부의 디지털 전환, 전자정부(e-Government) 서비스 제공, 스마트시티 구축, 보조기술(Assistive Technology) 도입 등이 핵심 과제로 추진되고 있다. 이와 함께 인공지능(AI)을 활용한 디지털화 역시 카타르의 경제 다각화 전략의 일환으로 추진 중이며, 독립된 산업군으로서 또는 기존 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지원하는 방식으로 발전하고 있다.
<카타르 디지털 경쟁력 주요 글로벌 순위 현황 (2024–2025)>


[자료: Ookla, Saïd Business School,EGDI]
2024년 카타르는 글로벌 디지털 지표에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 모바일 인터넷 속도 분야에서 Ookla의 Speedtest Global Index 기준 세 차례 세계 1위를 기록하며 뛰어난 인프라를 입증했으며, 옥스퍼드대 사이드 비즈니스스쿨(Saïd Business School)이 발표한 네트워크 준비지수(Network Readiness Index)에서는 전 세계 38위를 차지하며 중동‧북아프리카(MENA) 지역 상위 3개국에 포함됐다. 특히 신기술 투자 촉진 정책(8위), 지속적 디지털 투자(17위), 디지털 기술 채택률(19위) 등 주요 항목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했다. 또한, 유엔 전자정부 발전지수(EGDI)에서도 디지털 행정 역량의 빠른 성장세를 인정받아 '매우 높은 수준(Very High EGDI Group)' 국가군으로 진입하는 등, 디지털 전환 국가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하고 있다.
주요 기관
<카타르 주요 디지털 전환 기관 및 현황>
정보통신기술부(MCIT)
국가 디지털화 전략 및 관련 이니셔티브, 파트너십을 총괄하는 중앙 정부 기관으로, 2013년에 설립되었다. 이전에는 정보통신기술최고위원회(ictQATAR)가 ICT 정책과 제도 관리를 담당했다.
2021년, MCIT는 인공지능(AI)의 산업별 통합과 경제 성장 기여를 목적으로 「국가 인공지능 위원회(National Artificial Intelligence Committee)」를 출범했다. 해당 위원회는 각 부처 및 공공기관의 전문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AI 관련 지침 수립, 프로그램 감독, 스타트업 지원 정책 등을 추진하고 있다. 이를 통해 국내외 협업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카타르 현지에서 활용 가능한 AI 기반 시스템의 개발과 적용을 활성화하고 있다. 이 위원회의 설립은 AI 기술의 경제적 파급력과 현지 역량 강화를 위한 핵심 수단으로서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카타르 정부는 2019년 국가 AI 전략(National AI Strategy)을 발표하였으며, 이를 보다 포괄적으로 확장한 '디지털 아젠다 2030(Digital Agenda 2030)'을 2023년에 공식화하여 중장기적인 디지털 전환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TASMU 스마트 카타르 프로그램
TASMU는 스마트 솔루션을 통해 카타르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하는 국가 주도 디지털화 프로그램이다. 본 사업은 MCIT 산하에 있으며, 카타르의 주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있다. 해당 프로그램은 카타르 정부가 설립한 이후 민영화되어 현재는 카타르 국부펀드(Qatar Investment Authority) 산하에 있는 말로마티아(Malomatia)사가 운영 중이다.
말로마티아는 카타르 내 디지털 전환 프로젝트를 담당하는 대표적인 시스템 통합업체로, 공공 인프라 디지털화, AI 시스템 구축, 데이터 분석 플랫폼 개발 등 다수의 정부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다.
디지털 생태계 기업 집적지
Qatar Science Technology Park(QSTP)는 기술 스타트업과 글로벌 기업의 협력을 촉진하는 혁신 허브로, 연구개발(R&D) 및 상업화 지원 인프라를 제공한다. Microsoft, Cisco, Siemens, Shell, UISEE 등 글로벌 기업을 비롯해 다양한 현지 스타트업이 입주해 있으며, 개방형 혁신 플랫폼을 기반으로 신기술 실증 및 공동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Qatar Financial Center(QFC)는 핀테크 및 금융 서비스 특화 기업을 위한 규제 샌드박스 및 비즈니스 클러스터로, QSTP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금융업에 특화되어 있다. ‘QFC 테크 서클(Tech Circle)’, ‘디지털 자산 랩(Digital Assets Lab)’ 등 혁신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금융 기술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Qatar Free Zone(QFZ)은 외국인 투자 유치와 해외기업의 중동 진출 거점화를 목적으로 조성된 비즈니스 특구다. Google은 이곳에 클라우드 서비스 센터 오브 엑설런스(Center of Excellence)를 설립하였고, 중국의 클라우드 컴퓨팅 및 소프트웨어 기업 Kingdee도 중동시장 확장 전략의 일환으로 QFZ에 지역본부를 개소하였다.
[자료: KOTRA 도하 무역관 자체 조사]
주요 이니셔티브
<카타르 공공기관 주요 디지털 이니셔티브>
카타르 관광청(Qatar Tourism)
관광객 편의를 위한 AI 기반 솔루션 도입
노동부(Ministry of Labor)
AI 계약관리 시스템 개발
지방자치부(Ministry of Municipality)
스마트 폐기물 관리 및 도시 운영 시스템 개발
수전력청 (Kahramaa)
스마트 계량기 및 전력·수자원 관리 디지털화
우레두 통신사 (Ooredoo)
5G 기반 통신 인프라 및 AI 활용 통신 솔루션 개발
[자료: KOTRA 도하 무역관 자체 조사]
카타르는 정부 주도로 다양한 디지털 전환 이니셔티브 및 인공지능(AI) 기반 도구들을 도입하며 도시 디지털화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이러한 이니셔티브는 전자정부(e-Government) 서비스 확대, 공공서비스 효율성 제고, 스마트시티 구현 등을 핵심 목표로 하며, AI 기술을 활용한 고도화가 두드러진다.
특히, 정보통신기술부(MCIT)는 정부 기관의 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해 다양한 AI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2025년 3월 AI 전문기업인 Scale AI와의 협력을 통해 공공서비스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카타르의 디지털화 이니셔티브는 단일 프로그램에 국한되지 않고, TASMU 액셀러레이터, 디지털 인큐베이션 센터(Digital Incubator Center) 등 여러 스타트업 육성 프로그램과도 연계 추진되고 있다. 예를 들어, 2025년 3월에는 MCIT와 Microsoft가 스타트업 지원 강화를 위한 공동 파트너십을 체결해, TASMU 및 디지털 인큐베이션 센터 내 기업들에게 클라우드 기반 AI 도구와 멘토링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이니셔티브의 대부분은 MCIT 주도로 진행되지만, 일부는 다른 정부 부처 및 공공기관 주도로 추진되고 있다.
<카타르 주요 공공 기관 디지털 이니셔티브 목록>
연번
이니셔티브 명
개요 및 주요 기능
1
Hukoomi
카타르 전자정부(e-Government) 포털 및 모바일 앱. 다양한 정부 서비스 신청 및 행정서류 제출 가능. 개인 및 기업 대상 공공서비스 정보 제공.
2
GovAi
인공지능(AI)의 국가적 활용 확대 및 도입 가속화를 위한 플랫폼형 이니셔티브.
3
Digital Factory Initiative
AI, 블록체인 등 첨단기술을 활용해 공공 디지털 서비스와 사용자 경험 개선, 행정 효율성 증대를 목표로 함
4
Tasdeeq
창업자 및 기업인의 사업자 등록 절차를 간소화하는 온라인 포털
5
Fanar
아랍어 기반 대규모 언어모델(LLM) 개발 프로젝트
6
AI Tourist Companion
카타르 관광청 개발 관광객 지원 앱. 여정 전반(사전-현장-사후)을 AI 기반으로 안내함.
7
AI Labour Contract Companion
노동부가 GovAI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개발한 고도화된 계약 관리 솔루션
(Contract Compliance 시스템).
8
LBAIH
하마드 의료재단(HMC) 개발 모바일 앱. 진료 예약 및 검사 결과 조회 등이 가능한 통합 의료서비스 제공.
9
Qatar Digital Academy (QDA)
정부 공무원 및 디지털 인재를 위한 역량 강화 교육 프로그램. 연간 130개 ICT 과정 운영.
10
Smart City Development
지속가능 첨단 ICT 기반 도시 구현 프로젝트.
대표 지역: Msheireb Downtown Doha, Lusail City.
11
Microsoft Datacenter Region
MCIT와 협력하여 구축. MS Azure 기반 IoT, AI 등 고도화된 클라우드 워크로드 지원.
12
Google Could Region
MCIT 및 카타르 자유구역(QFZ)과 협력하여 개소. 기업 대상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13
TASMU Accelerator
디지털 시스템을 개발하는 스타트업 대상 지원 프로그램. 자금, 멘토링, 사무공간 등 제공.
14
TASMU Platform
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한 데이터 융합 및 분석 도구 제공. 데이터랩 운영.
15
Digital Incubation Center
MCIT 주관 스타트업 성장 및 상용화를 위한 육성 프로그램. TASMU와 연계 운영 중
16
Smart Metering
Kahramaa 주도 전력‧수도 분야 디지털 전환 사업. 전국 계량기 스마트화, 실시간 모니터링 가능.
17
Tarsheed Smart EV App
Kahramaa에서 개발한 전기차 충전소 위치 확인 및 사용 현황 모니터링 앱
18
Bu Hamad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화(손말) 번역 앱
19
Lazarillo
시각 및 청각 장애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앱
[자료: KOTRA 도하 무역관 자체 조사]
이처럼 각 부처 및 공공기관들이 소관 분야별로 디지털화 이니셔티브를 전개하고 있으며, 다수의 프로젝트는 민간 기업 및 스타트업과의 협업을 통해 실현되고 있다. 이는 카타르 정부가 단순한 디지털 인프라 구축을 넘어서, 생태계 중심의 혁신 모델로 전환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1) 스마트시티 개발
카타르는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통해 도시 공간을 혁신하고,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기술 기반 솔루션을 확대하고 있다. 스마트시티는 스마트 그리드, 지역 냉방 시스템(district cooling), 고도화된 ICT 인프라를 적용하며, AI 및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도시 전반을 실시간으로 분석 및 운영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고 있다. 대표적인 사례로, 카타르에는 세계 최초로 완공된 스마트‧지속가능 도시인 무셰립 다운타운 도하(Msheireb Downtown Doha)가 있으며, 루사일 시티(Lusail City)도 지속적인 기술 적용을 통해 통합형 스마트시티로의 전환이 진행 중이다. 2024년 10월, 루사일시의 개발사인 루사일 부동산 개발회사(LREDC)는 싱가포르의 ST Engineering사와 계약을 체결해 AI, 머신러닝, 데이터 분석 기반의 스마트시티 통합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는 프로젝트를 본격화했다. 한편, 자치행정부(Ministry of Municipality)는 2024년부터 2030년까지의 디지털 전략에 따라 스마트 폐기물 관리 시스템, 차량 운영 및 추적 시스템, 작업 분배 자동화 시스템, 중앙 운영 지휘 플랫폼 등과 같은 도시 운영 디지털 솔루션 도입을 발표했다.
2) 전자정부(e-Government) 서비스
공공서비스의 접근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전자정부 서비스가 운영되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플랫폼은 후쿠미(Hukoomi)다. 후쿠미는 2008년에 처음 개설됐으며, 2015년부터는 모바일 앱 형태로도 제공되고 있다. 후쿠미를 통해 대부분의 정부 서비스 요청 및 행정 서류 제출이 가능하며, 기업과 개인 모두 활용할 수 있다. 창업자 및 기업인을 위한 간편 사업자 등록포털 타스티크(Tasdeeq), 하마드 의료재단(HMC)의 진료 예약 및 검사 결과 확인 의료 서비스 앱 LBAIH, 카타르 관광청(Qatar Tourism)이 제안한 AI 기반 관광 어시스턴트 AI Toursit Companion이 대표적인 예시다.
3) 디지털 전환 지원 플랫폼 및 프로그램
<제 10회 MCIT 주관 Idea Camp>
[자료: 카타르 정보통신부 (MCIT)]
TASMU 플랫폼은 데이터 마켓플레이스 및 데이터랩(Data Lab) 등을 통해 기업의 데이터 기반 디지털 전환을 촉진하고 있으며, TASMU 액셀러레이터는 디지털 솔루션을 보유한 스타트업에게 자금, 멘토링, 사무공간 등을 제공하여 사업화를 지원하고 있다. 또한, 카타르 디지털 아카데미(Qatar Digital Academy)는 정부 공무원과 디지털 전문 인력의 역량 강화를 위해 AI, 데이터 분석 등 ICT 기반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총 130개의 ICT 과정과 76개의 비ICT 과정이 제공되었고, 연간 1000명 이상이 참여하여 250명 이상이 국제 자격을 취득했다. 이외에도 디지털 인큐베이션 센터(Digital Incubation Center)는 스타트업의 초기 성장과 기술 상용화를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TASMU와 연계돼 실질적인 성과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4) 유틸리티 분야 디지털화
<카타르 수전력청 Kahramma 스마트 미터 프로젝트>
[자료: 현지 주간 일간지(The Peninula)]
카타르 전력 및 수도 분야의 유일한 송배전망 운영기관인 수전력청 카하라마(Kahramaa, Qatar General Electricity and Water Corporation)는 디지털 기술을 통해 운영 효율성을 제고하는 동시에, 지속가능성 및 탄소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2025년 완료된 스마트 계량기(Smart Metering) 프로젝트는 전국 단위로 기존 전력 및 수도 계량기를 스마트 계량기로 교체해, 소비자가 실시간으로 에너지 및 물 사용량을 모니터링하고 온라인으로 각종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카하라마의 디지털 전환을 상징하는 핵심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전력 계량기는 2021년부터 2025년까지 전량(100%) 교체 완료됐으며, 수도 계량기는 2025년 기준 50% 완료된 상태로 2027년까지 100% 교체를 목표로 하고 있다. 해당 시스템은 Siemens가 소프트웨어 통합 및 배포를 담당했고, 특히 태양광 발전 시스템 설치 가구의 잉여 전력 거래를 지원함으로써 2024년 도입된 카하라마의 BeSolar 이니셔티브와도 유기적으로 연계된다. 아울러 2023년에는 Microsoft 및 KPMG와의 협업을 통해 AI 기반의 통합 운영 플랫폼인 Kahramaa AI Platform을 출범해, 클라우드 컴퓨팅과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운영 효율성 제고 및 예측 분석 역량 강화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5) 접근성 기술(Assistive Technology)
카타르 정부는 디지털 포용(Digital Inclusion)을 국가 디지털 전략의 주요 과제로 삼고, 장애인 및 교통약자를 포함한 모든 사회 구성원이 ICT 서비스를 동등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카타르 전자 접근성 정책(Qatar e-Accessibility Policy) 하에 점자 키패드 탑재 ATM, 자동문 센서, 고대비 (high-contrast) 디지털 인터페이스, 후쿠미(Hukoomi) 포털 내 디지털 접근성 기술이 공공서비스에 적용되고 있다. 또한, 카타르 재단(Qatar Foundation)은 ‘Ability Friendly’ 이니셔티브를 통해 30여 개 주요 공공시설에 디지털 접근성 기술을 도입했으며, MADA(Assistive Technology Center Qatar)는 국내 접근성 기술 도입 및 보급을 선도하는 핵심 기관으로 활동 중이다.
<카타르 디지털 전환 분야 국제 및 민관 파트너십 현황>
연도
글로벌 파트너
카타르 파트너
협력 분야
2014
IBM & SAP
QAPCO
ERP 시스템 개발 및 도입
2017
IBM
Sidra
데이터 연산 및 저장 인프라 구축
2022
Microsoft
MCIT
데이터센터 구축 및 클라우드 서비스
2023
Microsoft & KPMG
Kahramaa
AI 기반 운영 플랫폼 구축
2023
Google
MCIT
클라우드 서비스
2023
Accenture
MCIT
디지털 팩토리 이니셔티브
2023
IBM
QNB
디지털 뱅킹 프로젝트
2024
St Engineering
Qatari Diar
스마트시티 운영체계 구축
2024
NOKIA
Ooredoo
5G 프라이빗 네트워크 개발 및 배포
2024
Vitafluence.ai
Sidra
AI 기반 헬스케어 및 학술 연구 혁신
2024
AMD
Meeza
컴퓨팅 플랫폼 성능 개선 프로젝트
2025
Huawei & CISCO
The Communications Regulatory Authority(CRA)
디지털 역량강화 프로그램
2025
Schneider Electric
Invest Qatar
스마트 인프라 구축
2025
Microsoft
MCIT
디지털 혁신 지원 프로그램
2025
Huawei
Qatar Digital Academy(part of MICT)
공무원 디지털 교육 프로그램
2025
Scale AI
MCIT
공공서비스 및 교육 AI 솔루션 개발
2025
Kingdee
QIA, QFZ
클라우드 서비스 및 중동 진출
2025
Ericsson
Ooredoo
5G 네트워크 확장 및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 공급
2025
IBM
Ministry of Interior(MOI)
디지털 전환 협약 (MOU) 체결
2025
Nvidia
Ooredoo
고성능 컴퓨팅 및 AI 클라우드 서비스 구축
2021~
Siemens
Kahramaa
스마트 계량기 시스템 구축
[자료: KOTRA 도하 무역관 자체 조사]
카타르는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과 디지털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국내외 다양한 파트너십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특히 2025년 Web Summit Qatar를 계기로 글로벌 기술 기업들과의 협력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주요 협력 분야는 디지털 인프라 개발, 스타트업 및 인재 육성, 시스템 공급 및 구축 등이며, 통신, 금융, 헬스케어, 접근성 기술 등 다양한 산업에 걸쳐 파트너십이 확대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마이크로소프트는 GovAI 프로그램의 핵심 파트너로서, 2025년에는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컴퓨팅 도구를 활용한 스타트업 지원 협약도 체결했다. 화웨이는 카타르 디지털 아카데미와 협력해 정부 공무원을 대상으로 디지털 교육 과정을 제공하고 있으며, 자사의 Huawei Talent Platform을 통해 유연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2025년 같은 해 슈나이더 일렉트릭은 투자청과 스마트 인프라 확대 및 현지 자동화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협약을 체결했으며, 오오레두는 에릭슨과 함께 5G 네트워크 개발을 포함한 디지털 통신 인프라 고도화 프로젝트를 공동 추진하고 있다. 이처럼 카타르 정부와 글로벌 기업 간의 전략적 협력은 디지털 전환의 핵심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한국 기업을 포함한 외국 기업에도 진출 및 협업 기회를 확대하는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다.
현지 전문가 코멘트
카타르 현지 주요 시스템 통합(System Integrator) 기업과의 인터뷰에 따르면, 디지털 전환이 활발히 진행 중인 만큼 지금이야말로 관련 기술 기업이 카타르 시장 진출을 고려하기에 적기라고 평가된다. 정부 중심의 디지털화 프로젝트가 본격화되며,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협력 파트너십이 형성되고 있는 시점이기 때문이다.
현재 가장 주목받는 분야는 공공서비스 효율화와 관련된 전자정부(e-Government) 시스템, 그리고 다양한 산업에 적용 가능한 인공지능(AI) 및 데이터 분석 도구이다. 특히 핀테크(FinTech) 및 금융서비스, 에듀테크(EduTech), 헬스케어 분야에서 수요가 두드러진다. 카타르 내 주요 병원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의료 유통 및 시스템 기업들은 AI 기반 진단기기 및 실시간 건강 모니터링 기기(CGM, 연속 심전도 측정기 등)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뷰티 클리닉 및 미용 서비스 분야에서는 피부·두피 분석기 등 AI를 활용한 고객 맞춤형 분석 및 추천 기능이 탑재된 장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은 사용자 편의성과 서비스 차별화를 추구하는 카타르 내 고급 서비스 시장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어 한국 기업에게도 유망한 진출 기회로 평가된다.
이와 더불어, 카타르는 2022년 FIFA 월드컵을 계기로 IoT 기반 스마트 스타디움을 활용한 군중 관리 솔루션을 성공적으로 운영한 바 있으며, 향후에도 다양한 지역 및 국제 스포츠 행사를 지속적으로 유치할 계획이어서, 군중 흐름 제어와 안전 관리를 위한 스마트 솔루션 수요 또한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사점
카타르는 최근 AI, 스마트시티, 전자정부 등 디지털 전환 전반에 걸쳐 정부 주도의 전략적 투자를 확대하고 있으며, 글로벌 기업들과의 파트너십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화는 공공서비스의 효율성을 제고함은 물론, 경제 다각화 및 민간 부문 성장이라는 국가 전략과도 밀접히 연계돼 있다. 특히 TASMU 및 GovAI와 같은 주요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디지털 솔루션을 보유한 스타트업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강화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 기반 서비스, AI 분석 도구,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창출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기술 기반 솔루션 기업의 진출 여건은 긍정적이다. 실제로 카타르 현지의 주요 시스템 통합업체들은 지금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정부 중심의 파트너십이 형성되고 있는 시기라는 점에서 한국 기업들에게 기회가 크다고 평가하고 있다. 특히 공공 및 금융·보건·교육 부문에서 AI 및 데이터 분석 도입 수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진단 및 모니터링 기능을 갖춘 헬스케어 제품, AI 기반 맞춤형 미용 분석 솔루션 등은 사용자 편의성과 서비스 차별화를 중시하는 카타르의 고급 소비시장 수요와도 잘 맞아떨어진다.
이와 함께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기술 도입을 넘어 생태계 전반의 혁신을 지향하는 카타르 정부의 방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Microsoft, Huawei, Nvidia, Cisco 등 주요 글로벌 기업들은 2025년 카타르에서 디지털 혁신과 역량 강화, 스마트 인프라 구축을 위한 협력을 본격화하고 있으며, 이들 프로젝트는 대부분 MCIT(통신정보기술부), Invest Qatar, Ooredoo 등 정부 주도 기관과 긴밀히 연계돼 있다.
따라서 기술력과 현지화 전략을 겸비한 한국 기업의 선제적 진출은 중장기적으로 실질적인 성과 창출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현지 시스템 통합업체 및 정부기관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간접 진출 방식은 리스크를 낮추면서도 효과적인 시장 접근 수단이 될 수 있으며, TASMU, GovAI, 디지털 인큐베이션 센터 등 기존 제도와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이다.
자료: 카타르 정보통신부 (MCIT), TASMU Smart Programme, Invest Qatar, Kahramaa, Hukoomi e-Government, 현지 주간 일간지 (The Peninsula), KOTRA 도하 무역관 자체 조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카타르 공공 분야의 디지털 전환 트렌드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태양전지 제조용 웨이퍼, 늘어나는 시장 수요 속에서 가격과 정책의 변동을 보다
중국 2025-08-29
-
2
2025년 영국 의료 산업 정보
영국 2025-08-27
-
3
카자흐스탄 우라늄 시장 동향 및 원전 건설 논의 현황
카자흐스탄 2025-08-29
-
4
브라질 동물용 X-Ray 시장동향
브라질 2025-08-28
-
5
2025년 코트디부아르 자동차 산업 정보
코트디부아르 2025-08-27
-
6
글로벌 허브 꿈꾸는 UAE, UAM 산업 어디까지 왔나
아랍에미리트 2025-08-28
-
1
2025년 카타르 관광산업 정보
카타르 2025-10-14
-
2
2024년 카타르 디지털 산업 정보
카타르 2024-07-26
-
3
2023년 카타르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정보
카타르 2023-05-26
-
4
2023년 카타르 관광산업정보
카타르 2023-04-18
-
5
2021 카타르 비료 산업 정보
카타르 2022-01-11
-
6
2021 카타르 철강 산업
카타르 2022-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