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더위를 날리는 중국의 수상 스포츠 산업
- 트렌드
- 중국
- 충칭무역관
- 2025-08-22
- 출처 : KOTRA
-
최근 중국 주요 도시 수역이 전면 개방되면서, 중국 수상 스포츠 활성화
첨단 소재, 전동화 제품, 디자인 및 프리미엄 제품군에서 한국 제품 비교 우위
여름을 즐기기에 안성맞춤인 수상 스포츠
중국의 수상 스포츠 산업이 무더위를 식히는 여름 레저 트렌드로 급부상하고 있다. 하이난, 광동 등 전통적인 해양 스포츠 관광지는 물론, 최근 중국 정부의 수역 개방에 따라 내륙 지역에서의 수상 스포츠도 분야별 성장세가 가파르다. 중국의 서핑, SUP, 전동 수상 장비 수요가 특히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우리 기업은 안전 규제 강화와 프리미엄 소비 확대 추세를 겨냥한 고품질 장비 수입 수요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수상 스포츠 분류 체계>
올림픽 관련 종목
레저활동
오션어드벤처
익스트림 스포츠
수영
트라이애슬론
수구
다이빙
싱크로나이즈드 스위밍
조정
카누
세일링
래프팅
제트스키
요트
낚시
스노클링
수상스키
보트
카누
스쿠버 다이빙
프리다이빙
수중 사진 촬영
패들보드
카이트서핑
서핑보드
패러세일링
래프팅
[자료: 중국 국가체육총국 수상 스포츠 관리센터 공식 홈페이지]
중국 수상스포츠 산업, 정부 차원의 적극적 진흥 정책으로 높은 성장 잠재력 보유
2024년 중국 수상 스포츠 장비 중 대표 산업으로 일컬어지는 표면 수상 장비(보드, 스키, 패들) 시장 규모는 9억2200만 달러 규모이며, 향후 2025∼2029년간 연평균 성장률(CAGR)은 4.2%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중국 시장은 규모 면에서 아태지역의 선두권으로 인구 규모, 중산층 확대 등을 고려할 때 충분한 성장 잠재력을 갖추고 있다.
중국은 국가 발전 집중 육성책의 일환으로 스포츠 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단계적으로 발표했다. 2014년 중국 국무원은 <스포츠 산업 발전 및 소비 촉진에 관한 의견>을 통해 수상 스포츠를 융합 발전을 위한 핵심 산업 영역에 포함시켰다. 2016년 중국 체육총국은 <수상 스포츠 산업 발전 계획>을 통해 수상 스포츠 대중화에 매진하기 시작했다. 중국 수상 스포츠 산업은 2021년 코로나를 기점으로 패들보드, 카약, 수상스키 등 다양한 수상 스포츠를 즐기는 젊은이들의 숏클립 영상이 퍼지면서, 대중의 삶에 점차 스며들었다. 특히 2023년 중국 정부가 주요 도시 수역*을 전면 개방하면서 수상 스포츠 전성시대가 열리기 시작했다.
* 충칭 지역 2개의 강과 4개의 둑, 상하이 수저우강(苏州河), 청두 진청후(锦城湖)
< 2019-2024년 중국 수상 스포츠 장비 시장 규모>
(단위: CNY 억)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중국 수상 스포츠는 초기 생존 기술로 활용됐으나, 현재는 올림픽 종목 및 도시 레저 경제에 이르기까지 점진적 발전을 이뤘다. 또한 엘리트 경쟁 → 대중화 정책 → 소셜미디어 확산 단계를 거쳐 2025년에는 전 국민이 물과 친숙해지는 새로운 단계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중국 수상 스포츠 산업 발전 역사>

[자료: 공연망(共研网)]
<수상 스포츠에 참여하는 3대 핵심그룹>
전문 스포츠인
부모 및 자녀
Z세대



스포츠 산업이 일상생활에 스며들며 취미를 넘어서 전문적인 스포츠로 즐기는 개인과 그룹이 늘어나는 추세
중국의 <두 자녀 경제> 정책의 본격화 및 인구구조 변화로,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가족 단위의 수상 스포츠 인구도 증가
중국 청년 인구는 약 2억 명으로, 젊고 활기찬 Z세대는 도전적인 스포츠를 선호. 세일링, 패드, 카약 등 어드벤처 스포츠의 핵심 그룹임
[자료: 샤오홍슈(小红书), 다중디엔핑(大众点评)]
중국 수상 스포츠 산업 성장의 트렌드
중국 수상 스포츠 산업 성장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요약된다. 1) Z세대 중심으로 증가하는 수상스포츠 인구, 2) 다양한 즐길거리(문화, 여행, 메타버스 등)를 융합한 스포츠로의 변모, 3) 과학 기술 발달의 접목 등이다.
중국산업연구망(中研网)에 따르면, Z세대(18~35세)는 전체 수상 스포츠 인구의 6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들은 소셜 네트워크와 도전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웨이크 서핑, 전동 서핑보드를 주로 선호한다. 최근 가족 단위 이용객도 빠르게 증가해 그 비중이 55%에 달한다. 이들은 도전적인 성향보다는 가족 간 유대감 증진에 초점을 둔다. 이에 이용객의 90% 이상이 안전인증 보유 여부를 고려한다.
또한 최근 수상 스포츠는 상품 판매에서 벗어나 문화와 관광을 융합한 신규 상품을 속속 내놓고 있다. 중국 대표 해변 관광지로 각광받는 산야(三亚)의 경우, <다이빙 + 해저 레스토랑 패키지>를 선보이고 있다. 해당 패키지는 고가지만, 다이빙 교육 프로그램과 식도락 여행을 동시에 즐길 수 있어 2024년 주문량이 전년 대비 2배나 증가했다.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가상 세계에서 즐길 수 있는 서핑, 세일링 등도 출시됐다. 최근 중국 내 메타버스 수상 스포츠 이용자 수는 50만을 돌파했다. 또한 최근 기업들의 팀 역량 강화 지원을 위한 <프라이빗 아일랜드 세일링 파티>, <기업 팀스피릿용 카누 경주> 등 기업 맞춤형 상품이 출시되고 있다.
수상 스포츠는 최근 과학기술의 발달로 사용에서 체험을 중시하는 산업으로 변모하고 있다. AI와 5G 등 기술 고도화로 익사 위험 30초 전에 알려주는 경보 시스템이 개발됐으며, VR/AR 기술로 하와이 서핑, 남극 카누를 집에서 즐길 수 있게 됐다. 중국산업연구망(中研网)에 따르면, 2024년 중국 VR 서핑 장비 판매량은 10만 대를 돌파했으며, 우수한 블록체인 장비 기술로 QR 스캔만으로 진품 여부 파악이 가능해지면서 가품 고소건이 전년 대비 90% 이상 감소했다.
충칭에서 가장 인기 있는 수상 스포츠
수영은 충칭에서 가장 인기 있는 국민 수상 스포츠이며, 수상 스포츠 소비에 있어 충칭 소비자는 디자인과 성능에 가장 높은 비중을 둔다. 수상 스포츠 종목 중에서 패들보드와 웨이크보드의 경우 2025년 현재 소셜미디어에서 관련 쇼트클립 영상이 가장 인기가 많아 관련 장비의 대여 수요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래프팅과 워터파크는 이미 충칭에서 여름철 최고의 여름휴가 선택지로 부상했다. 불영협곡(佛影峡), 아이강(阿依河), 션룽협곡(神龙峡) 등 주요 래프팅 관광지와 서핑, 다이빙, 음악이 어우러진 워터파크가 가족 중심의 핵심 휴양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충칭 주요 수상 스포츠 프로그램의 특징 및 소비 선호도 비교>
종목
이미지
핵심부류
장소 및 빈도
가격
선호 키워드
수영

전 연령대
(어린이 + 동반 부모 비중 55% 이상)
올림픽 체육센터,
커뮤니티 수영장
2-3회/주
80위안(회),
800-1500위안(연간)
캐릭터 수영복,
염소로 인한 피부자극 방지 스킨케어,
부모-자녀 수영강습 패키지
패들보드

1990-2000년대생 여성 (월 수입
12,000위안
이상)
장수호(长寿湖), 명월호(明月胡) 등 호수 인근
주 1회 선호
150위안/시간
패들 보드, 인플레이트 보드 대여, 사진찍기, 커뮤니티
래프팅

청년층
부모-자녀
가족 단위
바난불영협곡
(巴南佛影峡), 펑수이아이강(彭水阿依河), 난촨션롱협곡(南川神龙峡) 등
1-2회/여름
158-270
위안
단체구매, 얼리버드, 래프팅+
바비큐 패키지
제트서프

1995년 이후 출생자
(차량 보유자
남성 70%)
롱촹워터월드
(融创水世界),
장수호(长寿湖)
480위안/시간
전동보드 대여,
숏클립
워터 뮤직
페스티벌

18-30세 여성
충칭 마야비치 워터파크
(重庆玛雅海滩水公园),
롱촹워터월드
(融创水世界)
198-268위안
얼리버드티켓,
방수 휴대폰 가방
[자료: 샤오홍슈(小红书), 다중디엔핑(大众点评)]
충칭의 서핑클럽 관계자에 따르면, 충칭에는 장강(长江)과 자링강(嘉陵江)이 합류하는 양강사안(两江四岸)의 지리적 위치가 우수해 충칭 지역의 수상 스포츠 발전 잠재력은 크다. 특히 양강사안(两江四岸)은 광활한 수역이어서 서핑을 즐기기에 안성맞춤인 지역이므로 많은 이용객이 있으며, 이에 따라 클럽 등 관련 모임도 활성화돼 있다.
충칭시는 최근 수상 스포츠 산업 전반을 육성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장비 제조, 대회 운영, 인재 육성, 여행 서비스까지 전체 산업 체계를 공고히 해 서핑을 비롯한 수상 스포츠 산업 발전의 기반 구축에 힘쓰고 있다. 또한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안전을 확보하기 위한 AI 인명 구조 장비, 친환경 소재 등을 잇달아 도입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반적인 사용자 경험 개선에 기여하고, 서핑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로컬기업, 소규모 제조업 형태가 많으며 가격에 따른 시장 양분화
중국 수상 스포츠 장비 제조기업은 주로 대만, 광둥성, 저장성 등 연해 지역을 중심으로 소규모 제조업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브랜드 인지도는 낮다. 리닝(Li-Ning), 안타(Anta), Xtep 등 대형 스포츠 웨어 기업이 있으나, 스포츠복 및 액세서리가 대다수이고, 수상 스포츠 장비 제품은 글로벌 브랜드에 비해 적다. 물론 1996년 상하이에 설립된 중국 고급 수영복 브랜드 ZOKE(洲克)가 있으나, 프리미엄 시장 진출 브랜드는 많지 않은 상황이다.
<중국 수상 스포츠 산업 분야별 대표기업 및 한계점>
산업분야
대표기업
한계점
장비 제조, 기술 개발
서핑보드(Firewire), 다이빙복(Patagonia), 스마트웨어러블
(Garmin)
국산 장비 고급화 부족(시장 점유율 15% 미만), 로컬기업의 경우 친환경 소재 제품이 상대적으로 적음
대회 운영, 교육 인증
국제 서핑 협회(ISA), PADI 다이빙 인증, 중국 카누 리그
대회 IP 상업화 수준이 낮음
(후원 수입 비중 40% 이하)
관광 서비스, 소매 판매
산야후하이서핑마을(三亚后海村),
샤오홍슈 콘텐츠
마케팅, 데카트론(迪卡侬)
성수기와 비수기의 유동 인구 차이가 60%를 넘고, 재구매율은 35% 미만
[자료: 클레어몬트DB, 장커궈 여행데이터 인사이트(张克国谈文旅数据洞察)]
둔황망(敦煌网)에 따르면, 매년 4월에서 8월은 수상 스포츠용품 검색량 및 판매량이 급격히 증가하는 시즌이다. 그중 여성 고객이 60%로 상당수를 차지하며, 도매 구매 비중은 30%에 달한다. 이들은 15~30달러 수준의 고탄성 대사이즈 수영복, 안개 끼임 방지 수영안경, 튜브 장난감을 선호하는 동시에 상대적으로 고가인 80~450달러 수준의 카누, 서핑보드, 스쿠버다이빙 장비를 구입하기도 한다. 소비자는 제품을 선택할 때 주로 고탄성 지지력, 친환경 소재, 새로운 기능 등을 고려하며, 소재 세부 기능과 사용 환경을 장면별로 보여주는 소셜미디어의 숏클립을 참고해 본인 수준에 맞는 가격대 제품을 구입해, 저가 시장과 고가시장이 함께 성장하고 있다.
<2024년 글로벌 10대 수상 스포츠 브랜드(종합 영향력 기준)>
순위
브랜드
강점
대표 시장
1
Patagonia(미국)
친환경 다이빙복
(재생 소재 비율 70%)
글로벌 프리미엄
친환경 시장
2
ISA(국제 서핑 협회)
전 세계 80%의 프로 서핑 대회 IP 독점
대회 운영 및 인증
3
데카트론(프랑스)
가성비 높은 장비
(카누 판매 시장 점유율 25%)
대중 소비 시장
4
PADI(미국)
세계 최대 다이빙 교육 시스템
(연간 인증서 120만 장 발급)
다이빙 인증 및 관광
5
중국카누리그
정부 후원을 통해 중국 3선 이하 도시 및 농촌시장 점유율 1위
중국 대중 대회
6-10
O'Neill, Hurley, 산야후하이마을(三亚后海村), BlueFlag
해변, 샤오홍슈
IP연맹, 문화관광 융합
지역 시장 및 온라인 트래픽
[자료: 클레어몬트DB, 장커궈 여행데이터 인사이트(张克国谈文旅数据洞察)]
대중 수출 유망 품목 및 주요 전시회
중국의 수상 스포츠 관련 제품은 현지 제조사 및 OEM 공급자가 많고, 가격 경쟁도 치열한 편이다. 하지만 중국의 수상 스포츠 산업이 아직 성장 중인 단계로 첨단 소재, 전동화 제품, 디자인 및 프리미엄 제품군 등에서는 충분히 경쟁력 있는 상황이다. 한국 제품이 비교 우위를 가질 수 있는 분야와 품목은 고성능 수상 장비 및 부품, 안전 장비, 웨어러블 제품, 친환경 수상 모빌리티 제품 등이며, 전자 및 모터 관련 제품은 CCC 등의 사전 인증이 요구된다.
1. 고성능 수상 장비 및 부품: 정밀공학, 경량 소재 가공, 내구성, 친환경 기술 등에서 한국 제품은 세계적인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 인플레터블 패들보드의 경우 고급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제품군이며, E-foil, E-surf 등의 제품은 관광지, 레저센터 단위로 프리미엄 제품에 대한 수요가 높다.
2. 수상 안전 및 구조 장비: 한국은 해양경찰 및 군사 장비 개발 경험이 많아 안전 장비에 대한 신뢰성 높은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중국 제품 대비 비교우위를 가지는 제품군이다. 안전 관련 전문 장비와 구조 장비는 스포츠 교습 기관과 리조트 등에서의 수요가 꾸준한 편이다.
3. 수상 스포츠용 웨어러블 & IoT 제품: 한국은 IT 융합, IoT, 웨어러블 센서 기술에 있어 중국보다 앞선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의 안전과 편의성을 동시에 강화하는 핵심 장비로, GPS 추적, 심박수 측정, 수중 활동 기록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한국의 센서 기술과 스포츠용 내구성 소재를 결합한 웨어러블 제품이 경쟁력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4. 친환경 수상 모빌리티: 한국의 자동차 배터리 및 전장 시스템을 응용한 전기 추진 수상 기기가 특히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수상 보드, 전동 카약, 전동 워터 바이크 등이 유망한 분야이며, 한국의 모터 제어, 배터리, 경량 소재 등을 결합한 제품은 수출 확대가 유망하다.
이외에 고기능성 섬유, 냉감·발수·UV 차단 등의 기능성 스포츠웨어 분야에서도 중국 제품 대비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대중 수출 유망 품목>
카테고리
한국의 비교우위
대표 수출 제품
수상장비 부품
정밀기계/소재 기술
카약, 제트스키 부품, 드론
안전 구조
구조기술/센서
자동 구명조끼, GPS
웨어러블/IoT
ICT, 센서 기술
방수 스마트워치, AR 수경
친환경 모빌리티
배터리·전장
전기보트, 태양광 요트
의류·소재
기능성 섬유
웻슈트, 냉감 수영복
[자료: Research and Markets]
중국 수상 스포츠 관련 주요 전시회
전시회명 ①
아시아 수상 레저 용품 전시회(亚洲水上运动及休闲娱乐用品展) & 아시아 요트 전시회(亚洲游艇展)
개최 기간
2026년 5월 15일~17일,총 3일
개최 장소
광저우 캔톤페어 전시장 (广交会展馆)
주최 기관
광둥성 요트 협회(广东省游艇行业协会)
개최 규모
전시 면적: 5만㎡ 이상,참가 기업: 약 500여 개사,관람객: 3만5000명 이상
전시 분야
워터 스포츠 장비, 다이빙용 장비, 요트 산업, 수영복 및 레저용품,수상 스포츠 장비, 낚시 설비, 여행 및 관광 체인 등 장비
홈페이지
전시회명 ②
국제 다이빙 및 연휴 · 관광 전시회(国际潜水暨度假观光展(DRT SHOW))
개최 기간
2026년 3월 6일~8일,총 3일
장소
상하이 엑스포 전시관(上海世博展览馆)
주최 기관
용신과기전시주식회사(龙鑫科展有限公司)
개최 규모
전시 면적: 3만㎡ 이상,참가 기업: 약 250여 개사,관람객: 5만명 이상
전시 분야
다이빙, 해양 여행, 리조트 중심 전시회로서 수상 체험형 레저와 관련된 부문 포함
홈페이지
[자료: 각 전시회 주최 측 홈페이지]
시사점
중국의 중산층 확대와 생활 수준의 향상에 따라 여가 활동이 점점 더 다양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물질적 수요보다는 정신적 체험이 중요시되는 추세이며, 수상 스포츠는 소수 사람들의 운동에서 대중적인 운동으로 발전하고 있다. 중국의 한 서핑 클럽 대표 X 씨는 '한국 기업은 고급 수상 스포츠 장비, 안전 장비 및 서비스 분야에서 기술적 우위와 풍부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중국 수상 스포츠 시장에서 기회를 잡을 수 있다'라고 전망했다. 그러나 중국 시장에 진입에 있어 고려해야 할 장벽도 있다. 유럽과 미국 브랜드 및 중국 현지 브랜드와의 치열한 시장 점유율 경쟁, 그리고 중국 국내 정책과 표준에 적응해야 한다는 점 등이다.
한국 기업은 중국의 수상 스포츠 전시회에 참가해 최신 제품과 기술을 선보이고 잠재 고객과 접촉함과 동시에 중국의 전자상거래 플랫폼과 협력해 강력한 유통 채널을 활용한 시장 진입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서핑 클럽 대표 X 씨는 중국 현지 수상 스포츠 클럽, 교육 기관 및 관광지와 협력해 공동 프로모션 활동을 실시해 브랜드 인지도와 시장 점유율을 높이는 방법도 권유했다. 중국 수상 스포츠 시장은 정책 지원, 소비 업그레이드 및 기술 발전의 추세 속에 빠른 속도로 성장할 것이며, 스마트화, 환경 친화적이고 다기능적인 수상 스포츠 장비가 시장의 주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자료: 중국 국가체육총국 수상 스포츠 관리센터,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공연망(共研网), 중국산업연구망(中研网), 샤오홍슈(小红书), 다중디엔핑(大众点评), 클레어몬트DB, 장커궈 여행데이터 인사이트(张克国谈文旅数据洞察), STATISTA, Research and Markets, KOTRA 충칭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무더위를 날리는 중국의 수상 스포츠 산업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효과 있는 간식’을 찾는다, 미국 기능성 간식 시장 확대 전망
미국 2025-08-22
-
2
싱가포르, AI 맞춤학습으로 에듀테크 혁신 주도
싱가포르 2025-08-22
-
3
미국 냉동김밥 시장동향
미국 2025-08-22
-
4
중국 편직물 시장동향
중국 2024-09-25
-
5
카타르 스마트시티 산업 동향
카타르 2025-08-22
-
6
네덜란드, ‘녹색 금’ 해조류 키운다! 세계 최초 해상풍력 양식장 운영
네덜란드 2025-08-20
-
1
2025 중국 치과산업 정보
중국 2025-09-10
-
2
2025년 중국 실버산업 정보
중국 2025-07-22
-
3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4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5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6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