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네덜란드, ‘녹색 금’ 해조류 키운다! 세계 최초 해상풍력 양식장 운영
  • 트렌드
  • 네덜란드
  • 암스테르담무역관 한문갑
  • 2025-08-20
  • 출처 : KOTRA

세계 최초 북해 해상 풍력단지 내 해조류 양식장 운영

식품뿐만 아니라 포장재, 화장품 원료 등 다양한 상품 분야에 활용 가능

지난 6월 네덜란드 공영방송(NOS)은 ‘해조류: 녹색 금(Gold)?’이라는 제목의 프로그램을 방영했다. 방송은 해조류가 건강한 식생활, 지속 가능한 소재, 깨끗한 환경 조성에 기여할 수 있는 중요한 자원으로 주목받고 있다고 전했다. 특히 해조류가 식품뿐 아니라 바이오소재, 친환경 플라스틱, 사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대체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기후 변화 대응과 지속 가능한 경제 발전에 기여하는 ‘녹색 금’으로 평가받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네덜란드와 유럽 내 해조류 양식 및 활용 사례를 소개하며, 해조류 산업이 지닌 잠재력과 환경적 이점을 조명했다. 이처럼 최근 네덜란드에서는 해조류에 대한 관심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세계 최초 해상 풍력단지 해조류 양식장, North Sea Farm #1

 

North Sea Farm #1은 세계 최초로 해상 풍력단지 내에 조성된 5헥타르(ha) 규모의 해조류 양식장이다. 네덜란드 북해 해안에서 약 18km 떨어진 ‘Hollandse Kust Zuid(HKZ)’ 해상풍력 발전단지 내, 즉 해상 풍력 터빈들 사이 공간에 자리해 있으며, 50m 길이의 플라스틱 튜브로 구성돼 부표와 닻으로 고정돼 있다. 이 튜브 아래 그물에 다시마 등을 양식한다. 이 위치 선정은 해상 풍력단지라는 기존에 활용되지 않았던 공간을 복합 이용(multi-use)한다는 점에서 혁신적이며, EU의 지속 가능한 청정 해양 경제 활성화 목표와도 부합한다.

 

해당 사업은 Amazon Right Now Climate Fund 200만 유로를 지원하는 혁신적 기후 솔루션 사업으로, 실용적 운영 및 연간 최대 6000kg 해조류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농장은 2022년부터 로봇 팔을 이용한 기계식 해조류 수확을 시범 운영 중이며, 이는 세계 최초 기계식 해조류 수확으로 평가받고 있다. 자동화된 수확 과정으로 해조류를 절단, 포장하고 작업 선박 갑판으로 전달하는 방식이다.

 

이는 비영리 해조류 부문 단체인 North Sea Farmers(NSF)가 주도하며, 해조류 산업 연구자와 파트너로 구성된 컨소시엄에 의해 수행된다. 컨소시엄에는 플리머스해양연구소(Plymouth Marine Laboratory), 해양기술연구소(Deltares), 기후협회(Silvestrum Climate Associates), 해조류 추출물 제조업체 알가이아(Algaia), 프로젝트 개발자 Simply Blue Group, 해양 건설 및 엔지니어링회사 Van Oord Doggerland Offshore가 있다. 


<North Sea Farm #1 위치

[자료: 네덜란드 공영방송 NOS]


네덜란드 해조류 시장, 한국산 수입 3위

 

최근 3년 동안 네덜란드의 전 세계 해조류(HS Code 1212.21) 수입은 2022 12224000달러로 최고치를 기록한 후에 2023 8864000달러로 감소했다가 2024년에는 전년 대비 15.2% 증가한 10212000달러를 기록했다독일이 4288000달러로 수입국 1(점유율 42%)를, 중국이 180만7000달러로 수입국 2위(점유율 17.7%)를 기록했다.  


한편 네덜란드의 해조류 수입시장에서 한국은 최근 3년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2022년 453만 달러에 불과했던 한국산 해조류 수입은 2023년에 112만3000달러로 급증하며 전 세계 점유율을 12.7%까지 확대했다. 이어 2024년에는 전년 대비 5.6% 증가한 118만6000달러를 기록하면서 독일(42.0%), 중국(17.7%)에 이어 3위 수입국으로 자리매김했다. 비록 점유율은 전년보다 소폭 하락했으나, 절대 수입규모는 안정적으로 확대되고 있어 한국산 해조류의 네덜란드 내 입지가 점진적으로 강화되는 흐름을 보여준다.


<네덜란드 주요 해조류 수입국>

(단위: US$ , %)

순위

국가명

수입액

점유율

증감률
'24/'23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 세계

12,224

8,864

10,212

100.0

100.0

100.0

15.2

1

독일

7,998

4,501

4,288

65.4

50.8

42.0

-4.7

2

중국

1,579

1,411

1,807

12.9

15.9

17.7

28.1

3

한국

453

1,123

1,186

3.7

12.7

11.6

5.6

4

아이슬란드

0

7

805

-

0.1

7.9

11225.9

5

일본

782

552

686

6.4

6.2

6.7

24.3

6

스페인

409

411

504

3.3

4.6

4.9

22.6

7

영국

124

124

161

1.0

1.4

1.6

29.6

8

덴마크

147

127

143

1.2

1.4

1.4

12.1

9

이탈리아

9

11

119

0.1

0.1

1.2

998.4

10

미국

98

138

106

0.8

1.6

1.0

-22.9

* 주: 자료원에서 조회 불가한 경우 "-"로 표기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8.8.)]

 

2024년 네덜란드 해조류 수출금액은 전년 대비 18.6% 증가한 872만 달러를 기록했다. 주요 수출대상국은 벨기에, 독일, 프랑스스페인이탈리아 등 주로 인근 유럽 국가들이었다. 네덜란드가 가장 큰 금액의 해조류 수출을 한 대상국은 인근 국가인 벨기에로, 2024년에 전년 대비 39.5% 증가한 2231000달러를 수출했고, 독일에는 그 다음으로 큰 금액인 2088000달러를 수출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덜란드 해조류 수출 추이>

(단위: US$ , %)

순위

국가명

수출액

점유율

증감률
'24/'23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 세계

8,270

7,354

8,720

100.0

100.0

100.0

18.6

1

벨기에

1,655

1,599

2,231

20.0

21.7

25.6

39.5

2

독일

3,108

2,331

2,088

37.6

31.7

24.0

-10.4

3

프랑스

354

647

726

4.3

8.8

8.3

12.2

4

스페인

928

659

604

11.2

9.0

6.9

-8.3

5

이탈리아

237

137

534

2.9

1.9

6.1

289.3

6

스웨덴

183

109

364

2.2

1.5

4.2

233.8

7

폴란드

113

91

252

1.4

1.2

2.9

178.2

8

영국

126

258

234

1.5

3.5

2.7

-9.6

9

오스트리아

215

211

208

2.6

2.9

2.4

-1.4

10

체코

235

164

182

2.8

2.2

2.1

10.6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8.8.)]


네덜란드 해조류 관련 주요 업체와 기관

 

① The Seaweed Company

네덜란드뿐만 아니라 아일랜드, 모로코, 인도에도 해조류 양식장을 보유하고 있다. 2022 4월 더씨위드컴퍼니는 가장 오래된 네덜란드 해조류 양식장인 Zeewaar(제이바아르)을 인수했다. 이 회사는 식품, 사료, 바이오 자원, 건강식품, 바이오매스 등 다양한 응용 분야에 납품하며, 자체 제품화 능력이 매우 높다. 또한, 해조류와 태양광을 결합한 '솔라&씨위드 팜'과 같은 미래형 프로젝트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종묘-배양-가공-유통까지 밸류체인 전체에 관여하고 있다.

 

② Dutch Seaweed Group

네덜란드 동남부의 Oosterschelde(오우스테르스헬더) 해역에 10㏊ 규모의 자체 양식장을 보유하고, 주로 미역, 다시마 등 다양한 식용 해조류를 대량 생산하며, 건강식품, 레스토랑, 가정용, 산업용의 다양한 원재료와 제품을 공급한다. 생산량을 연간 150톤에서 약 1000톤으로 크게 확대할 계획이다. 네덜란드 국내외 다양한 연구 기관, 레스토랑, 식품회사와 협력하거나 OEM(주문자상표부착생산) 공급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③ Hortimare B.V.

네덜란드에 본사를 둔 세계적인 해조류 전문 기업으로, 해조류 종자의 육종 및 생산을 비롯해 첨단 기술과 전문 지식을 토대로 해조류 산업 전반을 지원하는 데 강점이 있다. Hortimare 7300개 이상의 다양한 해조류 계통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 해조류 12종에 대해 연구와 육종을 진행 중이다. 또한, 전 세계 25개 이상의 해조류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해조류 생산과 양식 현장의 어려운 문제 해결을 위한 맞춤형 기술 지원을 제공하고 양식농가와 협력해 생산 타이밍과 품질 통제를 가능케 하는 전략적 지도를 수행하며 글로벌 파트너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④ Seaweedland

육상(land-based)에서 해조류를 재배하는 혁신적인 기술을 개발한 스타트업 회사이다. 바다에서 자라는 전통적 해조류 양식과 달리, Seaweedland는 온실과 통제된 육상 환경 내 대형 수조(raceway ponds)에서 해조류를 키운다. 이를 통해 기후, 오염, 병해 등 자연 조건에 제약 받지 않고 연중 안정적이며 고품질을 유지하는 생산이 가능하다. 주요 해조류 품종으로는 적조류와 녹조류를 중심으로 연구 및 생산 중이다. 550만 유로 규모 투자금을 확보했으며, 네덜란드 정부 및 EU, 지역 개발기구(NOM)와 협력해 사업을 확장하고 있다.

 

⑤ North Sea Farmers(NSF)

NSF는 비영리 협회이지만, 'North Sea Farm #1' 등 북해 해상풍력단지 내에 상업적 해조류 농장을 구축하고 운영한다. 대기업, 연구 기관, 정부 등과의 협력 프로젝트가 강점이며, 특히 해상풍력(풍력터빈)과 해조류 양식을 결합하는 융복합 비즈니스를 선도 중이다.

 

시사점

 

네덜란드는 북해 해안과 풍부한 해양 자원을 바탕으로 해조류 양식에 적극 투자하고 있다. 아마존 등 글로벌 기업의 대규모 자금 지원과 유럽 주요 연구 기관의 참여로, ‘North Sea Farm 1’과 같은 세계 최초 상업용 해조류 농장을 운영 중이다. 해조류는 식품, 바이오 원료, 사료, 친환경 포장재 등 다양한 친환경 산업 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네덜란드의 북해 영해 면적은 약 6만㎢로, 이는 국토 면적의 약 1.5배에 달한다. 이 중 해조류 양식장으로 활용할 수 있는 풍력발전단지 면적은 약 350㎢에 이른다.


네덜란드 N 사의 B 씨는 KOTRA 암스테르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네덜란드 해조류 산업은 한국의 전통적인 해조류 양식 및 가공 기술과 상호 보완성이 높아, 양국 간 공동 연구와 글로벌 시장 진출 협력 등 폭넓은 협력 기회가 있을 것”이라며 협력 가능성에 관해 긍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자료: nos.nl, northseafarmers.org, aboutamazon.eu, storiesofpurpose.thehague.com, businessinsider.nl, aquavalley.nl, theseaweedproject.nl, Global Trade Atlas, KOTRA 암스테르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네덜란드, ‘녹색 금’ 해조류 키운다! 세계 최초 해상풍력 양식장 운영)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