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냉동김밥 시장동향
- 상품DB
- 미국
- 뉴욕무역관 정진수
- 2025-08-22
- 출처 : KOTRA
-
한류 확산에 따른 냉동 김밥 수요 증가
인기 콘텐츠에 노출되면서 한입 먹기 챌린지 유행
상품명 및 HS Code
냉동 김밥의 HS Code는 1904.90(곡물 또는 곡물 가공품을 팽창·볶음 처리해 제조한 식료품)이다.
시장규모 및 동향
시장조사기관 IBIS World에 따르면, 2025년 미국 냉동식품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2.7% 증가한 475억 달러에 이를 전망이다. 팬데믹 이후 외식보다 가정 내 식사를 선호하는 문화가 정착했고, 인플레이션에 따른 소비 패턴 변화가 냉동식품 수요를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해당 시장은 연평균 3.6% 성장해 2030년에는 566억 달러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2020~2030년 미국 냉동 식품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연도
금액
2020
41,222
2021
41,066
2022
45,205
2023
45,030
2024
46,249
2025
47,496
2026
49,385
2027
51,283
2028
52,579
2029
54,580
2030
56,658
[자료: IBIS World(Frozen Food Production in the US(2025년 4월)]
팬데믹 이전까지 미국 냉동식품 시장은 ‘건강에 해로운 식품’이라는 소비자 인식이 강해 성장세가 제한적이었으며, 사실상 보합세에 머물렀다. 특히 냉동 피자와 고도로 가공된 제품 중심의 시장 구조는 건강을 중시하는 소비자층의 외면을 받는 주요 요인이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조업체들은 제품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나섰다. 슈퍼푸드, 식물성 단백질, 유기농 원재료 등 영양학적 가치가 높은 식재료를 활용한 신제품 개발이 활발히 이뤄지면서 소비자 선택 폭이 확대됐다. 여기에 팬데믹과 인플레이션이라는 외부 요인이 가정 내 식사 비중을 높이는 계기로 작용하며, 냉동식품 시장은 본격적인 성장 궤도에 진입했다.
미국 냉동식품 시장에서 냉동 김밥의 유통과 소비는 최근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 2023년, 틱톡 인플루언서 사라 안(Sarah Anh)이 트레이더 조(Trader Joe’s) 냉동 김밥을 시식하는 영상이 화제를 모으며 폭발적인 관심을 받았다. 트레이더 조는 같은 해 가을 냉동 유부 김밥을 출시했으며, 영상 이후 품절 사태가 발생하고 재입고 시에는 일시적으로 1인당 구매 수량을 2개로 제한했다. 이후 아시안 마트를 중심으로 참치·야채·불고기 등 다양한 맛의 냉동 김밥이 출시됐으며, 코스트코(Costco), 크로거(Kroger), 알디(Aldi) 등 미국 주요 유통사가 판매를 시작하면서 대중적 인지도가 본격적으로 확산됐다.
문화 콘텐츠 역시 미국 내 김밥 소비 확산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최근 넷플릭스에서 시청률 1위를 기록한 애니메이션 K-POP 데몬 헌터즈(K-POP Demon Hunters)에는 주인공들이 공연을 앞두고 김밥과 분식을 즐기는 장면이 등장했다. 특히 김밥을 자르지 않고 통째로 먹는 장면이 화제가 되면서, 틱톡(TikTok)에서는 ‘김밥 한입 먹기’ 챌린지가 유행하고 있다.
<냉동 김밥 트렌드를 이끈 트레이더 조의 냉동 김밥 디스플레이>

[자료: 뉴욕무역관 직접 촬영]
최근 3년 수입 동향 및 대한국 수입규모
2024년 미국의 냉동 김밥(HS Code 190490) 수입액은 4억925만 달러로, 전년 대비 28.1% 증가했다. 국가별로는 한국이 1억2070만 달러(점유율 29.5%)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63.8% 성장, 캐나다를 제치고 1위로 올라섰다. 캐나다는 1억1632만 달러(28.4%)로 전년과 유사한 수출 규모를 유지했으나, 성장세에서 뒤처지며 2위로 내려갔다. 멕시코는 4766만 달러(11.6%)를 기록하며 3위에 올랐다.
<최근 3년간 냉동 김밥(HS Code 190490)의 수입 동향>
순위
국가
금액
점유율
증감률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체
309,010
319,481
409,247
100.0
100.0
100.0
28.1
1
대한민국
59,360
73,704
120,696
19.2
23.1
29.5
63.8
2
캐나다
119,455
114,614
116,320
38.7
35.9
28.4
1.5
3
멕시코
11,680
23,450
47,655
3.8
7.3
11.6
103.2
4
스페인
32,376
30,516
35,064
10.5
9.6
8.6
14.9
5
태국
22,740
20,379
33,458
7.4
6.4
8.2
64.2
6
인도
10,775
17,251
11,196
3.5
5.4
2.7
-35.1
7
이탈리아
11,169
9,494
10,256
3.6
3.0
2.5
8.0
8
프랑스
7,695
6,991
7,812
2.5
2.2
1.9
11.7
9
영국
13,102
3,876
6,836
4.2
1.2
1.7
76.4
10
일본
1,810
2,196
4,277
0.6
0.7
1.0
94.7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8.4 기준)]
경쟁동향
미국 냉동 김밥 시장은 현재 한국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으며, 주요 업체로는 올곧, 사조대림, CJ, 우양이 있다. 올곧은 트레이더 조(Trader Joe’s)에 유부우엉 김밥을 최초 수출하며 시장 트렌드를 주도했으며, 이후 자체 브랜드 ‘바바김밥’을 론칭해 현지 유통망을 확대하고 있다. 사조대림은 2024년 6월 유부우엉·참치·버섯잡채 3종 김밥을 출시하며 미국 시장에 진출, 초도 및 추가 발주량을 합쳐 약 15만5000줄(36톤)을 공급해 주목을 받았다. CJ는 미국 내 2200개 매장을 보유한 크로거(Kroger)를 통해 불고기 김밥을 공급하고 있으며, 우양도 주요 유통사 3곳과 납품 계약을 체결하며 시장 진입을 본격화했다. 업계는 이들 기업이 제품 다양화와 유통 채널 확장을 통해 미국 한식 냉동 간편식 시장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한다.
<사조 대림이 미국 시장에 출시한 냉동 김밥 3종>

[자료: 사조대림]
유통구조
미국 냉동 식품의 유통구조는 제조사, 물류사 및 콜드체인, 유통사, 소매 채널로 구성된다. 냉동식품은 섭씨 -18도를 유지한 상태로 운송·보관해야 하므로, 콜드체인 시설을 갖춘 물류사의 역할이 필수적이다. 대표적인 콜드체인 물류 기업으로는 리니지 로지스틱스(Lineage Logistics)와 아메리콜드(Americold Realty Trust)가 있으며, 전국 단위 저온 물류망을 통해 제조사와 유통사 간 공급을 중계한다. 소매 채널은 대형마트, 슈퍼마켓, D2C(Direct to Consumer), 이커머스로 구분된다. 대형마트·슈퍼마켓은 소비자가 직접 방문해 구매하는 방식이며, 이커머스·D2C는 냉동 포장 상태로 배송해 소비자 지정 장소까지 전달한다. 이러한 소매 채널은 제조사의 주요 바이어로서 시장 점유율 확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관세율, 수입규제, 인증
냉동 김밥의 일반 관세율은 14%이나, 한국산 제품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무관세가 적용된다. 다만, 2025년 8월 7일부터 상호관세 15%가 부과되고 있다.
미국 수입 규제는 일반 식품과 동일하게 식품의약국(FDA), 농무부(USDA), 세관국경보호청(CBP)의 감독을 받는다. 특히 USDA는 육류·계란 함유 제품에 대해 엄격한 검역 및 통관 절차를 적용하므로, 소고기 김밥·제육 김밥·계란 지단 포함 제품은 수출 시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미국 식품 현대화법(FSMA)’의 위생적 운송(Sanitary Transportation) 규정에 따라 냉동식품은 생산부터 소비자 전달까지 전 과정에서 섭씨 –18도 이하를 유지하는 콜드체인 의무(Cold Chain Compliance)를 준수해야 한다.
미국에 냉동식품을 수출·유통·판매하려면 제조 시설의 FDA 등록이 필수이며, 제품 라벨도 FDA 식품 라벨링 규정을 충족해야 한다.
전망 및 시사점
미국 식품 유통사 관계자 A 씨는 뉴욕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냉동 김밥의 인기는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며, 한식 인지도 제고와 한국 문화 확산이 수요 확대를 견인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그는 브랜드·제품 종류의 다양화와 수출 물량 증가를 언급하며, “코스트코, 크로거, 알디 등 주요 유통 채널로의 확산을 통해 현지 소비층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라고 평가했다. 아울러, 이러한 추세가 이어질 경우 시장 규모가 향후 수천만 달러 이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해당 관계자는 “미국 시장에서는 냉동피자 등 기존 즉석 냉동 제품과 경쟁해야 하지만, 프리미엄 K-푸드로서 차별화가 가능하다”라며, 단순 식품을 넘어 ‘식문화 기반 전략 품목’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수요 급증에 따라 일부 업체들이 빠르게 시장에 진입하면서 경쟁 과열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가격 중심의 경쟁 구도를 경계하며, “저가형 김밥의 평준화보다는 고품질 제품 개발과 냉동 김밥과 함께 소비할 수 있는 연계 상품 출시를 통해 시장의 지속 성장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미국 내 식품 유통은 FDA, USDA 등 다수 기관의 엄격한 규제를 받기 때문에, 수출 과정에서의 사소한 실수도 통관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조 단계에서 FDA 규정을 철저히 준수하고, 육류·해산물 함유 제품은 USDA의 별도 지침에 따른 인증 절차를 거쳐야 한다. 또한 냉동식품은 유통 과정에서 온도 유지 이력을 증빙 자료로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냉동 김밥은 이제 막 미국 시장에 진입한 품목인 만큼, 부정적 선례를 남기지 않도록 품질과 규정 준수에 각별히 유의해야 한다.
자료: NBC News, Tasting Table, The Kitchn, Grand view Research, IBIS World, Global Trade Atlas, KOTRA 뉴욕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냉동김밥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효과 있는 간식’을 찾는다, 미국 기능성 간식 시장 확대 전망
미국 2025-08-22
-
2
카타르 스마트시티 산업 동향
카타르 2025-08-22
-
3
2025년 미국 화장품 산업정보
미국 2025-07-01
-
4
무더위를 날리는 중국의 수상 스포츠 산업
중국 2025-08-22
-
5
2025 홍콩 식품전시회, K-푸드와 할랄·실버푸드·건강식 인기 상승
홍콩 2025-09-01
-
6
나이지리아의 성장하는 의료 및 제약 시장 진출기회
나이지리아 2025-08-22
-
1
2025년 미국 화장품 산업정보
미국 2025-07-01
-
2
2025년 미국 조선업 정보
미국 2025-05-08
-
3
2024년 미국 반도체 제조 산업 정보
미국 2024-12-18
-
4
2024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4-11-08
-
5
2024년 미국 가전산업 정보
미국 2024-10-14
-
6
2024년 미국 리튬 배터리 산업 정보
미국 2024-09-04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