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멕시코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 상품DB
  • 멕시코
  • 멕시코시티무역관 박서영
  • 2025-08-04
  • 출처 : KOTRA

멕시코 자동차부품의 주 수출입국은 모두 미국

친환경 자동차 전환, 트럼프 행정부 관세 등이 주요 호부진 요소로 분석

상품명 및 HS 코드

 

기타 자동차 부품 및 액세서리의 HS코드는 8708.99로 소켓, 샤프트, 인버터 하우징 등이 포함된다. 


HS 코드

설명

870899

기타 자동차 부품 및 액세서리


시장규모 및 동향

 

멕시코자동차부품산업협회(INA)에 따르면 20251분기 기준 멕시코는 미국 자동차 부품 수입액의 43.2%를 차지해 캐나다(9.9%), 일본(7.7%), 중국(7.4%) 대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수직계열화된 북미 자동차 생산 공급망, 가격 경쟁력, 지리적 근접성 등에 기인한다. 마찬가지로 20251월부터 4월간 멕시코의 자동차 부품 수출액은 약 3336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 중 87%가 미국, 3.6%가 캐나다가 차지하고 있음과 동시에 동기간 멕시코의 자동차 부품 수입액은 약 2159500만 달러로 미국의 비중은 약 54%이다. 멕시코는 자동차 부품을 가장 많이 수입하면서도 동시에 수출도 미국으로 가장 많이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고, 이는 멕시코가 미국을 중심으로 통합된 자동차 공급망 내에서 중간재 가공 및 완제품 조립 기지 역할을 함을 보여준다.

 

한편, INA에 따르면 20251월에서 4월간 생산된 멕시코 자동차부품 생산액은 약 382억 달러로 전기·전자(19.2%, 733000만 달러)의 비중이 가장 크며, 변속 및 클러치(10%, 383900만 달러), 시트 및 차량 내장재(9.1%, 348700만 달러), 엔진 부품(8.1%, 311300만 달러), 서스펜션 및 조향시스템(6.8% 258300만 달러)순이다.

 

호조요인: 친환경 자동차 전환에 따른 부품 수요 견인

 

친환경 자동차 전환이 가속화되고 전기차 개발의 민관 협력이 강화되면서 멕시코 내 전기차 및 배터리 부품 시장 성장 중이다. 멕시코 통계청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멕시코의 친환경차(전기·하이브리드) 생산량은 11만7850대로 전년 대비 71% 증가하는 등 주요 자동차 제조사들은 멕시코 내 전기차 및 하이브리드 차량 생산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현재 멕시코 연방 의회 내 전기·하이브리드 차량 확대를 위한 법안(Ley General de Movilidad y Seguridad Vial)이 개정중이며, 멕시코 정부는 2030년까지 신규 차량 판매의 50%를 전기·플러그인 하이브리드로 전환하려는 계획에 있다. 이와 더불어 전국적 충전 인프라 구축 및 표준화, 주별 전기차 인프라 위치 등이 담긴 정보 플랫폼(ElectroCRE) 도입 등 전기차 보급을 위한 국가적 인프라 구축이 진행 중이다.

 

시장조사기관 Statista에 따르면 멕시코 전기차 시장은 2029년까지 50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성장 추세는 리튬이온배터리, 배터리팩, BMS(배터리관리시스템), 열관리 및 냉각시스템, 전기구동시스템(인버터, 컨버터, 전력제어유닛 등), 히트 펌프, 충전 인프라 및 부품(충전소용 트랜스, 케이블, 커넥터 등) 등의 수요를 견인할 것으로 보고 있다. , 추후 USMCA 재협상시 전기차 혜택 등에 대한 내용이 어떻게 협상되느냐에 따라 멕시코의 전기차 산업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부진 요인: 트럼프 신행정부 관세 부과등으로 인한 멕시코 자동차 시장 수축

 

멕시코 통계청에 따르면 20251월에서 5월간 멕시코 승용차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약 6%, 생산은 0.45% 감소하였고, 중형 상용차 도·소매 판매, 생산, 수출 또한 각각 20.9%(도매), 41.5%(소매), 20.9%(생산), 12%(수출) 감소하는 등 멕시코 자동차 산업은 2025년 상반기 위축세를 보이고 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자동차 관세 부과 등으로 인한 가격 경쟁력 하락, 투자 불확실성 등으로 인한 수축이라고 보고 있으며, 관세 등의 주요 통상 현안이 정리 될 때 까지 멕시코 자동차 산업은 부진할 전망이 우세하며, 이에 따른 부품 수요 하락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UNComtrade에 따르면 2024년 기준 미국은 멕시코 자동차부품 시장의 제1위 공급국으로 총 수입액의 약 63.1%(32억 달러)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은 12.4%(6억3000만 달러)을 기록하며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은 전년 대비 1.5% 성장한 반면, 중국은 23.8%라는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대한민국은 멕시코 자동차부품 시장의 제 4위 공급국으로 약 4.8%(2억4000만 달러)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탈리아, 중국, 독일 등과 함께 두 자리 수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멕시코 자동차부품 수입액 추이>

(단위: US$ 백만)>


[자료: UN Comtrade]

 

<멕시코 자동차부품 수입 동향(HS8708.99)>

(단위: US$, %)

구분

2023

2024

비중

(2024년 기준)

증감율

미국

3,163,135,211

3,209,639,414

63.1%

1.5

중국

509,686,351

630,883,089

12.4%

23.8

캐나다

249,990,164

244,557,355

4.8%

-2.2

대한민국

210,475,603

241,769,591

4.8%

14.9

일본

168,333,397

110,268,040

2.2%

-34.5

독일

143,509,506

187,958,744

3.7%

31

스페인

60,706,707

62,694,124

1.2%

3.3

태국

72,858,750

76,600,960

1.5%

5.1

인도

48,689,720

51,310,432

1.0%

5.4

이탈리아

39,616,303

50,676,669

1.0%

27.9

[자료: UN Comtrade]

 

경쟁환경

 

멕시코 자동차 부품 시장은 글로벌 부품 제조사, 전문 유통업체, 디지털 플랫폼 등 다양한 참여자로 구성돼 있다. 특히 다국적 부품 제조사들의 경우 최근 공격적인 투자와 인수 합병으로 판매 제품 범위 및 유통 채널을 확대하고 있다.

 

<주요 멕시코 자동차부품 업체>

기업명

(본사)

내용

Nemak

(멕시코)

- 몬테레이 소재 기업으로 엔진 블록, 실린더 헤드, 변속기 부품 전문, 16개국 이상 진출

- Ramos Arizpe, Saltillo 등에 생산 시설 보유

Robert Bosch GmbH

(독일)

- Bosch 그룹의 일원으로 인젝션 시스템, 브레이크, 전자제품 등 광범위한 자동차 시스템 및 부품 제공

멕시코 전역 10개 이상 현지 사업장 운영

Autoliv México

(스웨덴)

- 에어백, 안전벨트 등 자동차 안전 시스템 전문, 케레타로에 공장 보유

- 멕시코주(생산시설, 기술센터), 케레타로(물류 및 생산 시설), 티후아나 등지에 공장 위치

Continental AG

(독일)

- 글로벌 타이어 및 자동차 부품 공급업체

- 멕시코 약 12개주에 21개 거점(공장, 사무실, 연구개발 센터 등) 운영

Marelli Holdings

(일본)

- 자동차 부품 및 시스템 제조

- 아구아스칼리엔테스, 모렐로스 등지에 공장 위치

Schaeffler AG

(독일)

- 베어링 및 모션 기술 전문 산업 및 기타 자동차부품

- 과나후아토, 푸에블라, 멕시코주 등지에 공장 위치

ZF Friedrichshafen AG

(독일)

- 승용차 및 상용차용 시스템을 제공

- 치와와(에어백, 스티어링), 누에보 레온(브레이크 패드), 케레타로(브레이크 및 조향) 등지에 16개 생산 시설 보유

Aisin Corporation

(일본)

- 도요타 그룹 계열 자동차 부품 공급

- 누에보레온에서 도어락, 핸들 등 제조

Valeo SE

(프랑스)

- 치와와, 코아우일라, 타마울리파스, 산루이스포토시, 케레타로 등 멕시코 전역에 14개 공장 보유

YAZAKI Corporation

(일본)

- 자동차 전기 시스템 및 부품의 선도적 공급

- 과나후아토, 치와와, 소노라 등 25개 이상의 공장 및 거점 보유

Akebono Brake Industry

(일본)

- 브레이크 시스템 제조업체 및 공급

- 과나후아토 위치

bproauto 

(네덜란드, 이탈리아)

- Stellantis의 신규 애프터마켓 브랜드

[자료: 각 사 홈페이지 및 현지 언론, 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

 

유통구조

 

최근 멕시코 자동차부품 유통 채널에도 이커머스의 발전은 계속되고 있으며 점차 그 비중은 커지고 있는 추세이며, 주요 유통사들은 아래와 같다.

 

<멕시코의 자동차부품 주요 유통채널>

업체

유통망

설명

AutoZone México

700개 이상

국내 최대 자동차 부품 소매 체인, 개인 고객과 정비소를 대상으로 모든 주요 브랜드의 순정 및 제네릭 부품 제공

APYMSA

95개 지점 및 1개 유통센터 보유

가솔린 및 디젤 엔진용 전기 부품 및 인젝션 시스템 전문

Ancona Autopartes

16개 지점 및 1개 유통센터 보유 

엔진, 서스펜션, 브레이크, 전기 부품에 집중, 멕시코 남동부 지역에 강력한 입지

Rolcar

100개 이상

다양한 차량 브랜드와 모델을 위한 폭넓은 제품 제공

Nissan

200개 부품점

주력인 닛산 모델과 타 브랜드 모두를 서비스하는 부품 소매점을 운영

Mercado Libre

전자상거래 플랫폼

2021년 자동차 부품 판매 63% 성장을 기록한 선도적인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Amazon

전자상거래 플랫폼

전국적 접근성으로 자동차 부품 판매에서 관련성을 높이고 있는 국제 플랫폼

eBay

전자상거래 플랫폼

전국적 도달 범위로 다양한 자동차 제품을 제공하는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OEM 채널

제조업체 직접

신차 조립을 위해 차량 제조업체에 직접 자동차 부품 판매

애프터마켓 채널

다양한 소매점

이미 유통 중인 차량의 유지보수, 수리, 개선을 위한 커스텀 부품 판매 포함

[자료: 각 사 홈페이지, 현지 언론 종합]

 

관세율 및 인증


기타 자동차 부품 및 엑세사리의 관세율은 15%이며, 멕시코 자동차 및 전기차 관련 표준(NOM)은 아래와 같다.


<멕시코 표준 코드와 내용> 

멕시코 표준 코드(NOM)

내용

NOM-050-SCFI-2004

일반 상업 제품 라벨링 규정

NOM-024-SCFI-2013

전기 제품 라벨링 규정

NOM-076-SEMARNAT-2011

납산 및 기타 액체 전해질 배터리 규정

NOM-044-SEMARNAT-2006

폐액체 전해질 배터리 처리 규정

NOM-001-SCFI-1993

일반 안전 규정

NOM-032-ENER-2013

장비 에너지 효율 표준 규정

NOM-208-SCFI-2016

무선 통신 시스템 사용 규정

NOM-086/1-SCFI-2011

방송 텔레비전 규정

NOM-086-SCFI-2018

모든 유형의 텔레비전 규정

NOM-041-SEMARNAT-2015

차량 배출 규정

NOM-119-SCFI-2000

부동액

[자료: 멕시코 정부, 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


시사점

 

멕시코는 미국 자동차 부품 수입의 약 43.2%를 차지하여 북미 자동차부품 공급망의 핵심 거점으로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USMCA 원산지 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한 현지 생산 및 조립 기반 확대는 진출을 노리는 한국 기업들로 하여금 북미 시장 접근성을 높이는 하나의 전략적인 수단으로 고려 가능하다. 또한 전기차 전환 가속에 따른 미래차 부품 시장이 커지면서 충전 모듈, 컨버터와 같은 핵심 부품 공급 역량이 중요하게 대두되고 있으며 이러한 공급 역량을 바탕으로 멕시코 완성차 업체 또는 1차 티어사와 전략적 제휴나 기술 이전도 가능하다그러나 무엇보다도 2025년 하반기부터 개시될 USMCA 원산지 규정 실무 협의나 추가 90일 유예기간이 부가된 상호 관세와 같은 중요 통상 현안에 대한 모니터링을 통해 불확실성에 대비한 리스크 관리 및 현지화 전략을 병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료: 멕시코자동차부품산업협회, 멕시코 통계청, 멕시코 연방정부, UN Comtrade, Statista, 현지 언론, KOTRA 멕시코시티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멕시코 자동차부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