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이집트 샤시 시장 동향
  • 상품DB
  • 이집트
  • 카이로무역관 문숙미
  • 2025-08-12
  • 출처 : KOTRA

이집트의 샤시 시장은 현지 조립 생산 차량과 연동해 변화

한국은 이집트의 2위 수입국, 2024년 수입 전년 대비 255% 증가하며 최고치 기록, 시장 점유율 4.9%에서 10.2%로 상승

이집트의 자동차 산업 육성책으로 현지 생산 확대에 따른 샤시 수요 확대 기대

제품명 및 HS 코드


HS코드

품목명

이집트: 8708.99

한국: 8708.99.1000

자동차용 부품 및 액세서리(기타)(시)


이집트의 자동차 샤시 시장 규모

 

이집트에서는 일반적으로 자동차 샤시, 특히 승용차나 고급 차량용 샤시가 현지에서 대량으로 생산되지 않는다. 이집트 자동차는 대부분 글로벌 제조사의 브랜드이며, 현지 파트너사를 통해 부품으로 수입돼 조립 생산되고 있다. 이집트 자동차 샤시의 시장 규모는 현지 생산 자동차(대부분 승용차) 대수 혹은 판매 대수를 통해 유추할 수 있다. AMIC(Automotive Marketing Information Council)에 따르면, 이집트는 2022년까지 자동차 판매가 유지되다 2022년 이후 시작된 외환위기로 판매가 감소했다. 전체 승용차 판매 감소 속에서 현지 조립 승용차(이하 CKD(Complete Knock Down)) 비중은 증가했다. 외환위기가 해소되면서 2025년 3월 기준 현지 조립 승용차 비중은 다소 낮아졌으나 연말 기준 작년 판매량보다 늘 것으로 전망된다. 

 

CKD 차량 기준으로 볼 때, 2022년에는 총 5만2144대가 생산돼 전체의 39.0%를 차지했다. 러-우 사태로 시작된 외환위기로 인해 2023년에는 생산량이 3만2791대로 전년 대비 37.1% 감소했지만, 시장 점유율은 47.1%로 상승했다. 2024년 하반기 외환위기가 다소 해소되면서 생산량은 4만3190대로 31.7% 증가했고 점유율도 53.0%로 확대됐다. 이는 외환위기로 고가의 자동차 수입에 어려움을 겪으며 현지 조립 차량의 판매 비중이 높아졌던 것으로 보인다. 2025년 1분기에는 총 1만1816대가 판매돼 전년 같은 기간 대비 66.89% 증가했고, 시장 점유율은 49.0%를 기록했다. CKD와 수입 완성차(CBU)의 시장 점유율 역전은 이집트 정부의 외화부족 상황과 자동차 제조업의 현지화 정책으로 자동차 수입 감소 및 제3국 수출을 통해 외화 수익을 확보하겠다는 정책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최근 이집트의 승용차 판매 현황>

(단위: 대, %)

승용차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1~3월)

판매량

증감률

비중

판매량

증감률

비중

판매량

증감률

비중

판매량

증감률*

비중

조립차량

(CKD)

52,144

-9.0

39.0

32,791

-37.1

47.1

43,190

31.7

53.0

11,816

66.89

49.0

수입 완성차량

(CBU)

81,713

-48.2

61.0

36,844

-54.9

52.9

38,285

5.2

47.0

12,295

94.19

51.0

합계

133,857

-37.8

100.0

69,635

-48.0

100.0

81,475

36.9

100.0

24,111

161.08

100.0

* 2025년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증감률 작성

[자료: AMIC(’22~25년 보고서), KOTRA 카이로 무역관 정리]

 

IHS Markit에 따르면, 2023년 이집트의 자동차 샤시 수입량은 1억2370만 달러로 2022년 대비 24.3% 급감했지만 2024년 수입이 68.7% 반등하며 눈에 띄는 회복세를 보였다. 이는 외환위기가 해소되면서 자동차 조립업체 및 서비스 업체들이 고갈된 재고를 보충하는 등 시장 수요가 다시 회복되고, 수입 규제가 완화된 결과다. 2023년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2022년부터 2024년까지의 연평균 수입 증가율은 약 13%에 달했으며, 충분한 외환 확보 등 거시경제가 안정된다면 기본적인 수요가 여전히 강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이집트 자동차 샤시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

구분

2022

2023

2024

수입액

163.4

123.7

208.7

증감률

-1.1

-24.3

+68.7

[자료: IHS Markit, ‘25.7.25]


상위 10개국의 수입 동향 및 한국산 수입 동향


국가별로 보면 이집트는 샤시 관련 부품을 포함한 자동차 부품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높다. 수입국 1위는 중국으로, 주로 저가의 대량 샤시 부품을 수입하고 있으며 2023년 수입액이 전년 대비 46.4% 급감해 2710만 달러였으나, 2024년 다시 125.5% 증가해 6110만 달러를 기록했다. 대중국 수입은 변동성에도 불구하고 전체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은 2위로 2024년에 가장 높은 성장률 255%를 기록했으며, 시장 점유율도 4.9%에서 10.2%로 증가했다. 한국산 부품의 경쟁력 상승과 수요 증가를 나타낸다. 미국은 3위를 차지했으며 2024년에도 안정적인 수입 규모를 유지했으나 성장세는 둔화된 양상이다. 7위 독일은 2024년 수출이 거의 두 배로 증가해 안정적인 공급국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한편 인도(5위), 태국(6위), 일본(9위), 터키(10위) 등 국가는 2023년의 하락세에서 점진적으로 회복 중이나 평균 성장률에는 미치지 못하고 있다.

 

<최근 3년 이집트의 국가별 샤시 수입 동향>

(단위: US$ 백만, %)

No.

국가

2022년

2023년

2024년

수입액

성장률

점유율

수입액

성장률

점유율

수입액

성장률

점유율

전 세계

163.4

-1.1

100.0

123.7

-24.3

100.0

208.7

68.7

100.0

1

중국

50.6

-4.7

31.0

27.1

-46.4

21.9

61.1

125.5

29.3

2

한국

7.6

-48.6

4.7

6.0

-21.1

4.9

21.3

255.0

10.2

3

미국

13.9

348.4

8.5

20.4

46.8

16.5

20.3

-0.5

9.7

5

인도

26.4

16.3

16.2

11.0

-58.3

8.9

15.7

42.7

7.5

6

태국

16.4

19.7

10.0

8.9

-45.7

7.2

12.3

38.2

5.9

7

독일

7.1

-1.4

4.3

6.2

-12.7

5.0

12

93.5

5.7

9

일본

15.1

-41.5

9.2

7.4

-51.0

6.0

9.3

25.7

4.5

10

터키

6.3

14.5

3.9

7.5

19.0

6.1

9

20.0

4.3

11

UAE

2.8

154.5

1.7

4.7

67.9

3.8

4.8

2.1

2.3

27

체코

0.4

33.3

0.2

0.3

-25.0

0.2

0.5

66.7

0.2

* 품목: 870899 (기타 자동차용 부품 및 액세서리)

[자료: IHS Markit(‘25.7.25.)]

 

한국의 대이집트 수출은 2022년 48.6% 급감했고, 2023년에도 21.1% 추가 하락하며 2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이러한 감소세는 2023년 이집트 전체 수입 시장이 전년 대비 24.3% 축소된 흐름과 일치한다. 이 같은 하락의 배경에는 2022~2023년 동안 지속된 이집트의 외화 부족과 수입 제한 조치가 맞물려 현지 생산 모델을 변경하는 과정에서 기존 차량 생산을 감소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보인다. 또 지역 및 글로벌 물류 문제와 인플레이션 등의 복합적인 요인도 작용했다.

 

그러나 2024년 한국의 대이집트 수출이 255% 급증해 600만 달러에서 2130만 달러로 크게 늘어났다. 이는 최근 3년간 최고치이며, 하락세 이전 수준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이에 따라 한국의 시장 점유율은 4.9%에서 10.2%로 두 배 이상 확대됐다. 이로써 한국은 2024년 해당 품목군에서 중국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수출국이 됐다. 

 

GB Auto의 자동차 부품 OEM 영업 총괄인 모하메드 파우지(Mohamed Fawzi) 씨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이번 반등은 한국산 자동차 부품의 브랜드 및 품질에 대해 긍정적인 현지 인식 덕분이다. 이집트에서는 현대와 기아차의 호환성과 내구성이 좋아 긍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외환위기 이후, 현지 시장에서의 확고한 입지로 한국산 부품의 수입 회복이 타국 대비 빨랐던 것도 수출 급증의 주요 요인 중 하나로 보인다. 2024년 이집트의 수입 제한 조치가 완화되면서, 한국의 자동차 부품 수출 기업들이 신속하게 출하를 재개했다. 또한 단종된 모델에 이어 신규 모델을 출시하면서 관련 샤시 물량도 증가했다.

 

경쟁 동향

 

이집트에서는 현지 조립 (CKD, Complete Knock Down)에 있어 수입 샤시는 핵심적인 부품이다. 이러한 샤시는 주로 세단, SUV, 소형 패밀리카 조립에 사용된다. 이집트 정부는 자동차 부품의 산화 비율 대를 위한 인센티브를 도입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자동차 산업은 수입 (CBU, Complete Built Unit)에 현지 조립 생산 차량 중심 구조로 전환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글로벌 자동차 브랜드가 이집트 내 조립 공장을 직접 설립하거나 현지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생산 기반을 확대하고 있다. 현지 조립은 해당 브랜드의 라이선스를 보유한 제조 계약을 기반으로 한다. 즉, 현지에서 조립되는 모든 차량의 샤시는 원래 제조사(OEM)가 직접 수출한 것이어야 하며, 이는 글로벌 제조사의 이집트 시장 진입의 주요 전제 조건이기도 하다.

 

현재 이집트에서는 18개의 자동차 모델이 조립 생산되고 있다. AMIC에 따르면 현지 조립 차량 판매 대수는 2024년 4만3190대, 2025년 1분기에는 1만1816대를 기록했다. 세단이 여전히 현지 생산 시장을 주도하고 있지만, SUV의 비중도 점차 커지고 있다. 일본과 한국 브랜드가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중국 자동차 브랜드들이 빠르게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이를 통해 샤시의 향후 수입물량 증감을 전망해 볼 수 있다.

 

<이집트 현지 조립 차량 제조사 및 최근 판매 현황>

(단위 : 대, %)

연번

(글로벌 제조사) 

현지 조립 생산 모델

엔진

용량

유형

2024년

2025년(1~3월)

판매량

비중

판매량

비중

1

(닛산) New SUNNY

1.5

Sedan

12,175

28.2

2,856

24.2

2

(현대) Elantra AD

1.6

Sedan

4,594

10.6

1,862

15.8

3

(쉐보레) New Optra

1.5

Sedan

-

-

1,280

10.8

4

(체리-가보르) Tiggo 4 Pro

1.5터보

SUV

2,994

6.9

1,118

9.5

5

(체리-가보르) Arrizo 5

1.5터보

Sedan

2,992

6.9

1,043

8.8

6

(체리-가보르) Tiggo 7

1.5

SUV

3,723

8.6

866

7.3

7

(BYD) F3

1.5

Sedan

4,785

11.1

788

6.7

8

(현대) Accent RB

1.6

Sedan

5,516

12.8

766

6.5

9

(체리-가부르) Tiggo 8

1.5

SUV

2,470

5.7

582

4.9

10

(토요타) Fortuner 4.0

4

SUV

677

1.6

215

1.8

11

(지리-아부갈리) Emgrand

1.5

Sedan

-

-

150

1.3

12

(닛산) Sentra

1.6

Sedan

2,359

5.5

92

0.8

13

(지프) Grand Cherokee

5.7

SUV

58

0.1

71

0.6

14

(지프) Grand Cherokee L

3.6

SUV

118

0.3

61

0.5

15

(지리-아부갈리) Coolray CKD

1.5터보

SUV

-

-

61

0.5

16

(현대) Elantra HD

1.6

Sedan

16

0.0

3

0.0

17

(체리-가부르) Tiggo 3

1.6

SUV

693

1.6

2

0.0

18

(도요타) Fortuner-Smart 2.7

2.7

SUV

20

0.0

-

-

합계

43,190

100.0

11,816

100.0

[자료: AMIC 보고서,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체 편집]

 

2024년 기준 가장 높은 실적을 기록한 모델은 닛산의 New Sunny로 총 1만2175대가 판매돼 28.2%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며 1위를 유지했다. 한국산 모델 중에서는 현대 Elantra AD가 2024년 4594대(10.6%), 2025년 1분기 1862대(15.8%)로 강력한 성장세를 보이며 점유율이 크게 증가했다. 이 모델은 Elantra HD가 단종되면서 대체 출시된 모델로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반면, Accent RB는 2024년 5516대(12.8%)에서 2025년 1분기 766대(6.5%)로 급감했는데, 이는 신규 출시된 모델에 소비자 수요가 몰리며 기존 제품의 인기가 주춤해진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미국의 쉐보레는 2025년 New Opt를 출시하며 강한 출발을 보였다. 지프 자동차의 Grand Cherokee 및 Grand Cherokee L은 생산 규모는 크지 않지만 2025년 들어 소폭 개선 두 모델이 합쳐 1분기 전체 판매량의 1.1%를 차지했다

 

중국 브랜드 모델 중에서는 체리가 선두를 차지하고 있으며, 5개 모델이 판매되고 있다. 2025년 1분기에는 Tiggo 4 Pro가 1118대(점유율 9.5%)로 가장 많이 팔렸고, 그 뒤를 Arrizo 5가 1043대(8.8%)로 이었다. Tiggo 7, Tiggo 8, Tiggo 모델들도 안정적인 판매 실적을 보였다. 이어서 BYD F3는 2024년에 4785대(11.1%)가 판매됐으나, 2025년 1분기에는 788대(6.7%)로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지리(Geely)의 Emgrand는 새로운 모델로, 시장에서의 규모는 아직 작지만 점차 입지를 넓혀가고 있다.

 

유통 채널 구조

 

이집트에서 수입 자동차 샤시의 유통 채널은 일반적으로 다단계 B2B 구조를 따른다. 이 과정은 해외 제조업체가 이집트의 현지 차량 조립업체(1차 유통업체)에 샤시를 수출하면서 시작된다. 이들 조립업체는 자동차 샤시를 포함한 차량 부품의 공식 수입 라이선스를 보유한 에이전트 역할을 한다. CKD(완전 분해 조립) 방식으로 샤시가 수입되는 경우, 현지 조립 공장에서 차량 본체가 완성된다. 대표적으로는 GB Auto(현대, 체리), 닛산 이집트(닛산), 만수르 오토모티브(쉐보레) 등이 있으며, 현지 조립생산은 라이선스를 보유한 특정 차량만 조립이 가능하다.  

 

<이집트 자동차 샤시 유통 채널 구조>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24d851cf.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6pixel, 세로 208pixel

[자료: KOTRA 카이로 무역관 정리]

 

위 도표는 자동차 샤시 유통 채널이 전적으로 현지 조립 업체에만 연결돼 있음을 보여준다. 이집트 시장에서 조립되는 모든 차량은 독점적으로 수입 유통을 추진하고 있어 파트너사를 통해서만 수입이 가능하다. 아래 표는 이집트 시장에서 CKD 샤시 부품을 수입해 현지 제조하는 주요 조립업체를 정리한 것이다. 

 

<이집트 내 자동차 조립업체 및 주요 특징>

기업명

기업 특징

브랜드

(원산지)

Abou Ghaly Motors

• 이집트 내 신뢰받는 자동차 딜러

• 다양한 브랜드 보유 및 견고한 판매·서비스 네트워크 구축

• Geely(중국) 모델 조립 및 유통

• 혁신, 현지 제조, 고용 창출, 경쟁력 있는 가격 실현

• 웹사이트: www.geelyautoegypt.com

Geely

(중국)

AVMA

(Amal for Vehicle Manufacturing & Assembly)

• 이집트 주요 자동차 제조사로 현지에서 BYD(중국) 자동차를 CKD로 제조, 유통하고 있음. 

• King Long 미니버스 및 상용차를 조립하고 있으며, 택시 및 대중교통 부문에서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 웹사이트: www.alamal-group.com/avm/

BYD

(중국)

Mansour Automotive Group

• 1975년 설립, 이집트 및 중동 최대 유통업체 중 하나로 아프리카 및 이라크까지 유통망을 확대하고 있음.  

• GM과의 파트너십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Chevrolet, MG, Peugeot 파트너십 확대

• 웹사이트: www.almansour.com.eg

Chevrolet

(미국)

AAV

(Arab American Vehicles)

• 1977년 설립한 AOI와 Chrysler(현 Stellantis)의 합작 기업

• 군용 및 민간용 차량 조립, 이집트 군용 경장비 및 장갑차 등도 생산

• Jeep(미국) 모델, Cherokee, Wrangler 등 조립 생산

• 웹사이트: www.aoi.org.eg

Jeep

(미국)

GB Auto

(Ghabbour Auto)

• 이집트 최대 자동차 제조/유통 기업, Hyundai(한국), Chery(중국) CKD 조립 및 유통

• Scania 버스 차체, 경차 CKD 라인 운영

• 완성차 조립, 부품, 금융, A/S까지 통합 운영

• 생산시설은 Prima(승용차, 58,000㎡), GB Bus(버스 차체, 연간 5,000대, 285,000㎡), Citi(이륜·삼륜차, 연간 8만 대, 12,000㎡)

• 웹사이트: www.gb-corporation.com

Hyundai

(한국)

 

Chery

(중국)

Nissan Motor Egypt S.A.E

• 2005년 설립, 이집트 자동차그룹(63%)과 Nissan(37%)의 합작 기업

• 다양한 승용차, SUV, 픽업트럭 생산

• 나스르시티, 마아디, 셰이크 자예드 등 주요 도시에 전시장 운영

• 웹사이트: en.nissan.com.eg

Nissan

(일본)

Toyota Egypt

• 1979년 설립, Toyota의 이집트 공식 유통사

• 광범위한 서비스 인프라와 고객 만족도 우수

• 상용차 및 정품 부품 유통

• 웹사이트: www.toyota.com

Toyota

(일본)

[자료: KOTRA 카이로 무역관 정리]

 

주요 자동차 브랜드별 선호 사유

 

이집트의 샤시 시장은 현지 조립 차량의 생산 물량에 따라 움직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므로 각 차량에 대한 인지도 및 선호 사유를 통해 시장을 전망해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현지 파트너사를 통해 국별 자동차에 대한 현지 소비자의 인식을 정리했다.


<주요 국별 자동차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 이유>

No.

(국가) 브랜드

선호 이유

1

• (중국)

 - Cherry

 - Geely

 - BYD

• 중국 자동차는 타국 대비 가격 경쟁력이 높아 소비자 선호도 상승

 - 외환위기로 현지 통화 가치가 하락하면서 소비자의 가처분 소득이 감소, 이후 저렴한 중국산 자동차에 대한 선호도 상승

• 체리 및 지리 브랜드는 저렴한 가격에 현대적인 기능을 갖추고 있어 중산층 소비자에게 어필하고 있음

 - 많은 모델이 고급사양에 있는 첨단기술,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안전장치 탑재

• 체리(GB Auto), BYD(알 아말 조립) 등 현지 조립 모델이 많아 수입 관세가 낮고 차량 가격도 저렴해졌으며, 현지 생산으로 인해 부품 수급이 원활하고 애프터 서비스 지원도 강화 소비자 신뢰도 상승

 - 유럽 브랜드 대비 부품이 저렴하면서 구하기 쉽고, 유지 보수 비용도 낮음.

• 중국 브랜드는 전국적인 판매망 및 정비 네트워크 구축에 적극 투자 고객 접근성과 서비스 신뢰도를 향상시킴

 - 체리 및 BYD의 현지 파트너사가 전국적인 서비스 인프라를 갖추고 있음

2

• (일본)

 - Nissan

 - Toyota

• 소비자들은 일본 자동차의 내구성과 고장률이 낮다는 것을 높이 평가함

 - 도요타 Corolla와 닛산 Sunny 등은 기본 정비로 10년 이상 사용 가능

• 연료비 상승과 경제적인 소비 성향으로 Nissan Sunny, Toyota Corolla 등 연비 좋은 차량 선호도 상승

• 부품 수급이 원활하고 정비 비용이 저렴해 실용적인 선택으로 여김

 - 도요타와 닛산의 유통망은 매우 잘 갖춰져 있어 애프터마켓 서비스가 원활함

3

• (한국)

 - 현대

• 현대 자동차는 오랜 기간 이집트 시장에 진출해 브랜드 인지도가 높으며, 특히 중형 세단과 소형 SUV 부문에서 신뢰성과 품질로 알려져 있음

• 현대적이고 기술력이 뛰어나며 연비가 좋은 브랜드로 인식되며, 폭넓은 가격대의 차량을 제공 이집트 중산층에게 매력적인 선택지임

• 차량 정비가 복잡하지 않고 가격이 합리적이어서 소비자들이 선호

 - 연비 효율이 높고 부품 가격도 일본/유럽차보다 저렴해 유지비가 낮은 편임

• 파트너사 GB Auto가 전국적 정비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어 정품 및 애프터마켓 부품을 쉽게 구할 수 있으며 가격도 합리적임

 - 빠른 신차 차량 공급이 가능하고, GB Auto는 금융 프로그램과 강력한 애프터마켓 서비스를 제공 소비자에게 신뢰가 높음

• Elantra, Accent, Tucsan 등 이집트에 적합한 제품을 구성함 

 - 이집트 도로 환경, 유가, 기후에 적합하며, 세단은 내구성과 우수한 연비로 택시 및 라이드 헤일링 서비스에서 인기, 투싼 등 SUV는 중산층 가족에 인기 있음

4

• (미국)

 - Chevrolet

 - JEEP

• 쉐보레와 지프 등 미국 자동차의 현지 진출 역사가 긴 만큼 확고한 정체성과 충성도 높은 고객층을 기반으로 존재감을 유지하고 있음

 - 쉐보레는 Lanos, Aveo 등 과거 GM 이집트가 조립 생산 높은 인지도 유지

• 미국 브랜드는 부품 수급이 원활하고 정비 비용이 저렴해 실용적이라고 평가

• 지프는 견고한 브랜드 이미지로 인해 오프로드 및 사막 지역 운전자가 선호

 - Grand Cherokee는 고급스러움과 성능을 겸비해 고소득자에게 인기

 - 지프 Wrangler(랭글러)는 시나이 지역이나 사막 운전에 적합 인기

[자료: 각 에이전트 인터뷰, KOTRA 카이로 무역관 정리]

 

수입 규정

 

이집트 세관에 따르면, 이집트는 샤시(HSCOde는 870899) 수입 시 10%의 관세를 적용한다. 다만 일부 FTA 체결 국가는 관세 전액 면제 혹은 부분 면제를 적용받는다. 대표적인 수혜 국가는 EFTA, EU, 터키, 영국 등으로 100%의 관세가 면제되며 메르코수르 회원국에 대해서는 87.5%의 관세가 감면된다.

 

<이집트의 샤시 수입 관세>

HS 코드

품목 설명

관세율

870899

자동차용 부품 및 액세서리(기타)

10%

[자료: 이집트 관세청]

 

이집트에서 자동차 샤시를 수입할 때는 여러 기술 검사가 실시되며, 주요 항목은 다음과 같다.


• 샤시 상태에 대한 안전 및 품질 기준 충족 여부 검사

• 차량 식별번호(VIN) 확인을 시행하며, 차량 변조 여부 또는 블랙리스트(예: 해외에서 사고 또는 도난 이력이 있는 경우) 포함 여부 확인 검사 

• 차량 구조 및 치수에 대한 이집트 표준 규격(ES: 2006/2008/2022) 부합 여부 확인 검사 

• 방사능 환경에 노출됐는지 확인하기 위한 방사선 검사

• 제품의 부식, 용접 흔적, 구조 변경 여부 등 검사 

 

수입 자동차 샤시에 대한 검사 및 반입 거부 기준에 관련된 이집트 공식 표준은 아래 표와 같이 의무 표준으로 적용한다.

 

<이집트 자동차 샤시 수입을 위한 필수 표준>

표준 번호

준수 사항

ES 3368/2020

도로용 차량 – 차량 식별 번호(VIN) – 구성 및 체계에 관한 표준으로, ISO 3779:2009와 일치함.

장관령 제540/2014호

GOEIC(General Authority of Export and Import Control, 이집트 수출입 감독청)이 시행하는 통합 차량 협정에 따라 샤시 및 바퀴 장착 장비를 포함한 자동차 부품에 대해 UN “E MARK” 인증을 의무화함.

내무부 결정 제2777호

– 차량 안전 및 내구성

샤시의 용접, 각인, 길이에 대한 세부 기준을 명시함.

- 샤시는 강철(또는 호환 가능한 금속)이어야 하며, 내구성이 있어야 하고, 승인되지 않은 용접 이음은 허용되지 않음(단, 원래 설계를 변경하지 않는 소규모 구조 보강은 예외).

- 샤시 번호는 명확하게 각인되거나 판에 부착야 하며, 입국 시 교통국이 재각인하며, 기술 검사 시 각인 여부 확인.

[자료: 바이어 인터뷰, KOTRA 카이로 무역관 정리]

 

전망 및 시사점

 

카이로 무역관이 현지 자동차 조립업체들과 진행한 인터뷰에 따르면, 한국 기업들은 자동차 샤시 수출을 확대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집트 정부의 자동차 부품 현지화 전략에 따라 현지 조립 업체와 합작 투자 또는 파트너십을 통해 샤시 키트나 모듈형 플랫폼 공급을 시도해 볼 수 있다. 현지 제조 시 역내 수출 확대 및 관세율 추가 인하를 위해 산업단지(수에즈운하 경제구역, 보르그 엘 아랍 등)에 부품 공장을 설립할 것을 권장한다.

 

또한 주목할 점은, 이집트 정부가 노후 택시를 연료 효율이 높거나 가스 연료 기반의 신차로 교체하고 있어 CKD 샤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중산층이 성장하고 자동차 보급률이 증가함에 따라 승용차에 대한 장기적인 수요 증가가 예상된다. 따라서 한국 자동차 제조사들은 현지 수요에 맞춰 보다 저렴하고 다양한 모델의 차량을 현지에서 생산하거나 수출을 통한 확대를 검토해 볼 수 있고, 이에 따라 이집트로의 샤시 수출도 증가할 수 있을 것이다. 서스펜션, 브레이크 시스템 등 다른 부품과 샤시를 패키지형 CKD 키트로 확대해 부가가치를 높이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이집트 진출 시, 이집트 수입 기준 충족을 하기 위해 공인 시험기관 및 현지 컨설턴트와 협력 선적 거절을 예방할 필요가 있다. 또 통관 지연을 줄이기 위해 위탁 재고 비축 또는 보세 창고를 구축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고, 이집트 고객을 위한 현지 조립 및 기술 교육 지원을 위해 현지 기술팀을 구성하거나 파트너십을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다.

 

 

자료: AMIC 보고서(‘24.12월, ’25.3월), IHS Markit, EOS(이집트표준품질기구), 바이어 인터뷰, 그 외 KOTRA 카이로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이집트 샤시 시장 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