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태국 가전제품 부품 시장 동향
  • 상품DB
  • 태국
  • 방콕무역관 이태형
  • 2025-08-01
  • 출처 : KOTRA

태국의 가전제품 시장은 인플레이션 영향 속에서도 회복세를 나타내며 성장을 지속, 소비자들은 고급형 모델보다는 가성비 높은 기본 기능의 제품을 선호하고 있으며, 특히 도시 내 소형 주택에 적합한 다기능·콤팩트 제품이 인기

태국의 가전제품 소매 판매량은 약 3835만 대로 집계됐으며, 이 중 대형 가전은 약 635만 대(전체의 17%), 소형 가전은 약 3200만 대(83%)를 차지

태국의 가전제품은 여전히 오프라인 매장에서 주로 유통되고 있으며, 전체 유통의 약 75.7%가 오프라인을 통해 판매, 이 중 가전·전자 전문점이 46.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

상품명 및 HS 코드

 

HS Code 8479.90은 ‘개별적인 기능을 가진 기계 장치(8479류)’에 사용되는 부품을 의미하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전자레인지 등 다양한 가전제품의 내부에 들어가는 모터, 회로기판, 센서, 필터 등의 핵심 부품이 포함된다. 이 품목은 가전제품 제조 시 조립용으로 사용되거나, 고장 시 교체·수리용 부품으로 활용되며, 태국에서는 완제품 수요 증가와 함께 수리·유지보수 시장 확대에 따라 관련 부품 수입도 꾸준히 늘고 있다.


<상품명 및 HS 코드>

HS 코드

품목명

8479

개별적인 기능을 가진 기계 및 기계 장치 (고유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한정한다)

Machines and mechanical appliances having individual functions, not specified or included elsewhere in this Chapter.

8479.90

부분품 Parts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태국 관세청(Thai Customs)]

 

시장동향

 

시장 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2024년 태국의 가전제품 시장은 인플레이션 영향 속에서도 회복세를 나타내며 성장을 지속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고급형 모델보다는 가성비 높은 기본 기능의 제품을 선호하고 있으며, 특히 도시 내 소형 주택에 적합한 다기능·콤팩트 제품이 인기다. 이에 따라 고가 브랜드의 수요는 주춤하는 반면, 고장난 제품을 수리해서 사용하는 경향이 늘면서 부품 수요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또한, 공기청정기와 에어프라이어 등 건강과 에너지 효율성을 중시하는 소형 가전이 인기를 끌며, 이들 제품에 사용되는 부품 수입도 자연스럽게 증가하는 구조다. 제조업체는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유지보수가 용이한 설계를 도입하거나 부품 교체가 간편한 구조를 지향하고 있다.


2024년 태국의 가전제품 소매 판매량은 약 3835만 대로 집계됐으며, 이 중 대형 가전은 약 635만 대(전체의 17%), 소형 가전은 약 3200만 대(83%)를 차지한다. 이처럼 전체 시장에서 소형 가전의 비중이 높은 것은 부품 수요의 다변화로 이어진다. 가전제품의 상당 부분은 해외 브랜드 또는 수입품에 의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제조공정, 조립, A/S 서비스 등을 위한 부품 수입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향후 2029년까지 연평균 약 3.1% 수준의 완만한 성장세가 예상되며, 이에 따라 가전 부품 수입 역시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2024~2029년 태국 가전제품 소매 판매량 추이>

(단위: 천 대)


[자료: 스타티스타(Statista)]

 

수입규모

 

시장 조사기관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2024년 태국의 가전제품 부품(HS Code: 8479.90) 수입 규모는 약 7830만 달러로, 전년(7835만 달러) 대비 소폭 감소(-0.07%)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수입 대상은 중국(2182만 달러), 독일(1382만 달러), 일본(938만 달러), 말레이시아(679만 달러), 미국(514만 달러) 순이며, 이들 5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전체의 약 73%를 차지했다. 특히, 독일과 인도네시아, 대만, 싱가포르 등 일부 지역은 각각 전년 대비 60.2%, 277.9%, 90.5%, 39.1%로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반면, 미국과 한국은 각각 -48.35%, -7.73%로 감소세를 보였다. 한국은 전체 수입국 중 10위를 기록했으며, 수입 규모는 약 146만 달러로 전년 대비 약 12만 달러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2024년 태국 가전제품 부품(HS Code: 8479.90) 수입 규모액>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

2020

2021

2022

2023

2024

증감률
('23/'24)



전체

83,908

62,297

72,517

78,354

78,298

-0.1


1

중국

17,466

17,596

17,105

22,721

21,822

-4.0


2

독일

8,845

6,491

11,164

8,630

13,832

60.3


3

일본

18,317

18,887

13,053

8,710

9,380

7.7


4

말레이시아

3,358

3,462

6,314

5,475

6,790

24.0


5

미국

3,313

3,513

3,799

9,948

5,138

-48.4


6

인도네시아

30

127

193

1,171

4,428

277.0


7

대만

1,295

1,432

768

1,672

3,186

90.5


8

이탈리아

17,167

1,033

1,395

5,050

2,580

-48.9


9

싱가포르

3,071

1,247

1,753

1,552

2,159

39.2


10

한국

3,577

1,356

1,498

1,577

1,455

-7.7


[자료: Global Trade Atlas(’25.07.31.)]

 

경쟁동향

 

태국 가전제품 시장의 경쟁은 현지 로컬 브랜드와 중국계 기업 간의 치열한 점유율 경쟁이 중심이다. 로컬 대표 브랜드인 Hatari Electric은 에어순환기 등 공기처리 제품을 중심으로 2024년 시장점유율 15.9%를 기록하며 선두를 유지하고 있다. 중국계 브랜드인 Haier, Hisense, TCL 등은 낮은 가격 대비 준수한 기능을 제공하며 점유율을 빠르게 확대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 브랜드는 프리미엄 제품에 강점을 지니고 있으나, 최근의 가성비 중시 시장 분위기에서 다소 도전적인 입장에 놓여 있다. 부품 시장에서도 이러한 경쟁 구도가 그대로 이어져, 로컬 A/S 수요를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현지 네트워크 확보가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HATARI ELECTRIC COMPANY LIMITED

본사

태국

설립 일자

1990

지분 구조

태국 100%

기업 로고

Hatari-ฮาตาริ - ทรงธรรมการไฟฟ้า -ศูนย์รวมอะไหล่ ครบวงจร

총매출액(2024)

약 72억 바트(약 2억 1948만 달러)

공장 소재지

방콕

홈페이지

https://hatari.co.th/

SHARP THAI COMPANY LIMITED

본사

일본

설립 일자

1989

지분 구조

태국 59%, 태국 41%

기업 로고

Sharp Remote Controls - Durable and Intuitive Remotes for Home and  Entertainment

총매출액(2024)

약 28억 바트(약 8535만 달러)

공장 소재지

차층싸오

홈페이지

https://th.sharp/

PHILIPS (THAILAND) COMPANY LIMITED

본사

네덜란드

설립 일자

2015

지분 구조

네덜란드 100%

기업 로고

Philips Electronics - Configit Customer

총매출액(2024)

약 50억 바트(약 1억 5241만 달러)

공장 소재지

창층싸오

홈페이지

https://www.philips.co.th/

HAIER ELECTRICAL APPLIANCES (THAILAND) COMPANY LIMITED

본사

중국

설립 일자

2002

지분 구조

싱가포르 100%

기업 로고

Haier - Wikipedia

총매출액(2024)

약 98억 바트(약 2억 9874만 달러)

공장 소재지

프라찐부리

홈페이지

https://www.haier.com/th/

THAI SAMSUNG ELECTRONICS CO.,LTD.

본사

한국

설립 일자

1988

지분 구조

한국 92%, 태국 8%

기업 로고

총매출액(2024)

약 1883억 바트(약 57억 4019만 달러)

공장 소재지

촌부리

홈페이지

https://www.thaisamsung.co.th/home

[자료: Department of Business Development, Corpus X, 각 기업 홈페이지]

 

유통구조

 

태국의 가전제품은 여전히 오프라인 매장에서 주로 유통되고 있으며, 전체 유통의 약 75.7%가 오프라인을 통해 판매된다. 이 중 가전·전자 전문점이 46.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며, 다양한 제품과 전문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강점이다. 반면, 이커머스(22.4%)는 유일하게 비중이 증가하고 있는 채널로, Shopee, Lazada 등 주요 플랫폼을 통한 구매가 확대되고 있다. 제조사들은 공식 온라인 스토어를 운영하며, 부품이나 소형 가전도 온라인으로 직접 판매하는 추세다.


가전제품 부품은 주로 제조사 A/S 센터, 부품 도매상, 온라인 플랫폼 등을 통해 유통되며, 가격 비교가 쉬운 온라인 채널을 중심으로 수요가 점점 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도 오프라인 신뢰도와 온라인 편의성을 결합한 옴니채널 전략을 강화하고 있다.

 

<2024년 태국 가전제품 유통 채널별 구성 및 성장 흐름>

(단위: %)


[자료: 유로모니터(Euromonitor)]

 

관세율 및 인증

 

태국은 HS Code 8479.90(기계 장치 부품)에 대해 2022년 1월 1일부터 일반관세를 0%로 면제하고 있다. 이는 태국 재무부 고시에 따라 설정된 항목으로, 세부 품목인 8479.901000, 8479.905000, 8479.909000 모두에 관세 면제가 적용된다. 따라서 해당 품목을 수입할 경우, 원산지 국가와 관계없이 무관세로 통관 가능하다.


한편,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AK FTA)에 따라 한국산 제품이 원산지 기준을 충족할 경우에도 0%의 특혜관세율이 적용된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정식 원산지증명서(Form AK)를 함께 제출해야 하며, 원산지 검증 시 기준 충족 여부(RVC, CTC 등)를 만족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HS Code 8479.90은 일반관세와 특혜관세 모두 0%로, 한국산 제품의 경우에도 부담 없이 수출이 가능한 품목이다.


부 전기·전자 부품이나 안전 관련 부품의 경우, 제품의 특성에 따라 태국산업표준원(TISI) 또는 기타 기술 규제에 따른 인증 요건이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입 전 해당 부품이 강제 인증 대상인지 여부를 사전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태국 가전제품 부품(HS Code 8479.90) 수입관세>

HS 코드

8479.90

품목명(한글)

개별적인 기능을 가진 기계 및 기계 장치(고유의 기능을 가진 것으로 한정한다)

품목명(영문)

Machines and mechanical appliances having individual functions, 

not specified or included elsewhere in this Chapter

수입관세

일반세율: 0%

부가가치세

7%

[자료: Thai Custom Integrated Tariff Database]



시사점

 

태국의 가전제품 부품 시장은 완제품 수요 증가뿐 아니라, 수리·유지보수 수요 확대에 따라 꾸준한 성장이 예상되는 분야다. 특히 제품 수명을 늘리려는 소비자 수요와 중저가 제품 중심의 시장 구조는, 가격 경쟁력과 품질을 동시에 갖춘 한국산 부품에 기회를 제공한다. 고효율 냉각 부품, 회로기판, 센서 등 기술 기반 부품은 경쟁력이 높으며, 태국 내 제조업체 또는 브랜드와의 OEM/ODM 협력이나 A/S 네트워크를 활용한 진입 전략도 고려해 볼만하다. 또한 태국은 아세안의 제조·물류 거점으로 기능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는 역내 시장 확장 기반 마련의 관점에서도 전략적 진출 가치가 높다. 따라서 한국 기업은 무관세 혜택을 적극 활용하면서, 기술력 기반 제품과 온라인 유통 연계를 통해 시장 확대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태국 관세청(Thai Customs), Thai Custom Integrated Tariff Database, 스타티스타(Statista), Department of Business Development, Corpus X, 각 기업 홈페이지, KOTRA 방콕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태국 가전제품 부품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