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일본 나사 시장동향
  • 상품DB
  • 일본
  • 도쿄무역관 김현규
  • 2025-09-10
  • 출처 : KOTRA

제조업의 소금이라고 불리는 나사

일본 나사산업의 동향과 구조를 통해 알아보는 한국 기업의 진출 전략

상품명 및 HS 코드

 

<상품명, HS코드 및 관세율>

HS코드

상품명

731815

밖의 스크루(screw)와 볼트(bolt)[너트(nut)나 와셔(washer) 붙어있는지는 상관없다]

[자료: 한국 관세법령정보포털, 일본 수입통계품목표(2025. 4. 1.)]


 

*주: 좌측부터 와셔볼트너트 순

[자료: 코난Tips]

 

볼트란 기계, 건축물, 선박, 항공기 등 다양한 기기의 조립에 사용되는 고정 부품이다. 너트는 볼트와 함께 사용되는 고정 부품으로 주로 볼트와 너트를 결합해서 부품을 고정한다. 와셔란 볼트나 너트의 고정면에 사용되는 부품으로 고정면을 보호하기 위해 또는 고정력을 균등하게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나사는 이러한 볼트, 너트 등을 통칭하는 명칭이다


시장 동향


나사는 단일품목이 하나의 완성품으로 효용을 갖기보다는 기계 등 최종 제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부품이라는 점에 그 효용이 있으며, 수요 산업의 하청업체 위치에 존재한다. 즉, 대규모 고객사에 의존하는 생산구조이며, 시장 동향에 따라 판매 가격이 결정되는 등 영향을 받기 쉽다.


소품종 대량 생산형 일반 제품은 단순한 구조로 인해 제품 차별화가 어렵기 때문에 가격 경쟁이 치열하다. 데믹 이후 나사 수요를 뒷받침하는 주요 산업인 자동차, 가전, 전자기기, 공작기계 산업 등은 반등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미·중 경쟁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 중동 갈등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높아지며 경제활동에도 부담이 가해지고 있어 이로 인한 부정적 파급효과가 나사 산업에도 영향을 미친다.

 

2025년 9월 기준 일본 경제산업성에서 발표한 나사 관련 최신 통계자료에 따르면, 2011년부터 2021년까지 약 10년간 일본 나사 출하의 추이는 일부 등락이 있었으나 전반적으로는 완만한 우상향 증가 추세를 그렸다. 2021년 나사 출하액은 11390억 엔으로 전년 대비 12.4%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사 출하액 추이>

(단위: 백만 엔, %)


[자료: 총무성 경제구조실태조사]

 

나사 품종별 출하량·출하액 현황을 보면 2021년에는 볼트·너트, 소형나사·나무나사, 와셔 등 전 품종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볼·너트 수량으로는 2515054 (전년 대비 +17.5%), 금액은 7485억6만 엔 (전년 대비 +10.6%), 소형나사·나무나사는 127543 (전년 대비 +13.2%), 금액은 8226600만 엔(전년 대비 +12.6%), 와셔 출하액은 2869600만 엔(전년 대비 +14.9%)이다.

* 주: 나무나사란 목재에 사용되는 나사를 의미

 

<품종별 나사 출하 현황>

(단위백만 엔)


*주: 리벳나사 관련 부품 등은 제외

[자료: 이와타 볼트, 2023년 나사 산업 보고」]

 

한편, 2025 3월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면서 나사 제조업계에도 적신호가 켜졌다. 나사는 철강 또는 알루미늄 주요 원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관세가 부과되면 원재료의 국제가격이 상승하고 조달 비용이 상승해 제조업체의 가격 경쟁력 저하 및 수익 악화로 이어질 수 있다자동차, 산업기계 등 나사의 사용자인 주요 산업에서도 비용 증가에 의한 생산 조정이나 설비투자 억제로 수요 감소나 업계 재편이 진행될 수 있다.

 

주재국 수입 동향 및 대한 수입 규모

 

2024년 일본의 나사(HS 731815) 수입금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7% 감소한 37000만 달러이다. 국가별 수입을 살펴보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압도적인 수준으로 40% 이상을 차지한다. 대만이 20%대의 점유율로 2위를 유지한다. 한편, 미국의 경우 3위이지만 점유율이 2022년에서 2024년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2024년 재무성 무역통계에 따르면,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금액과 수량이 모두 안정적으로 증가했다. 특히, 너트류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반면에 미국으로부터의 수입은 금액 기준으로는 증가세를 보였지만 수량 기준으로는 감소세를 보였다.

 

<일본의 최근 3년 나사(HS 731815) 수입 통계>

(단위: US$ 천, %)

순위

국가/지역

수입액

비율

증감률

(’24/’23)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 세계

439,828

373,533

370,818

100.0

100.0

100.0

-0.7

1

중국

188,846

153,817

151,155

42.9

41.2

40.8

-1.7

2

대만

109,526

78,416

74,744

24.9

21.0

20.2

-4.7

3

미국

47,988

54,895

67,278

10.9

14.7

18.1

22.6

4

한국

27,029

20,203

14,647

6.2

5.4

4.0

-27.5

5

독일

11,203

11,461

11,360

2.6

3.1

3.1

-0.9

6

베트남

9,460

11,308

10,575

2.2

3.0

2.9

-6.5

7

태국

10,220

9,022

8,001

2.3

2.4

2.2

-11.3

8

이탈리아

4,420

5,289

5,335

1.0

1.4

1.4

0.9

9

말레이시아

6,923

5,661

4,689

1.6

1.5

1.3

-17.2

10

프랑스

2,948

3,759

4,318

0.7

1.0

1.2

14.9

*주: 순위는 2024년 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7.4.)]

 

경쟁동향

 

제조사

제품 이미지

특징

닛토 세이코

(일본정공)


(셀프 태핑 나사)

- 정밀나사, 셀프 태핑 나사, 이완방지 나사 등이 주요 제품이며, 이 밖에도 이종 금속 접합 제품, 냉간 압조 체결 부품 등을 생산

- 뿐만 아니라 나사 제조용 공구, 자체 나사제조 기계, 드라이버 비트 등도 제조함

유니온 정밀

     

- 소형화 및 고성능이 요구되는 정밀기기용 나사를 주로 취급

- 매우 작게 압축시킨 제품을 출시해 유연성 확보

마루에무 제작소


(마그네슘 합금)

- 1927년 금속제품 제조 및 판매회사로 설립된 이후 1957년 스테인리스 강철 나사 대량 생산 시작

- 한편, 최근에는 마그네슘 합금으로 만들어진 나사를 개발해 가볍지만 고강도, 내열성을 갖춘 제품을 운송장비, 전자기기, 의료기기 등에 납품

히로스기 계기


(볼트 제품군)

- 나사 스페이서, 와셔 등을 주로 취급함

- 알루미늄, 세라믹, 플라스틱 등 다양한 소재를 사용해 나사 제조

우츠노미야 라시


(소형 나사)

- 1943년 설립돼 나사류의 제조, 판매를 시작했으며 1950년 주식회사 설립

- 소형 나사를 비롯해 볼트, 너트, 와셔 등 체결 부품 전반의 제조 및 판매를 한다

- 그밖에도 냉간 압조 부품, 정밀 절삭 가공품, 정밀 프레스 및 판금 등으로도 사업을 확장함

이와타 볼트


(도난방지 나사)

- 볼트·소나사, 태핑나사, 너트 등 나사 제품을 다양하게 취급하고 있으며 기능에 따라서 풀림 방지, 절연, 십자구멍 파손 방지, 용접불량방지 등의 제품을 취급함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유통 구조

 

나사 산업의 유통채널은 크게 직접 유통과 간접 유통으로 분류할 수 있다. 직접 유통은 제조업체가 자동차 또는 자동차 부품 제조업체, 항공우주, 전자, 건설업체 등 다양한 엔드 유저에게 직접 납품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런 경우 고객의 요구에 맞춰 주문 생산을 주력으로 하는 경향이 높다. 간접 유통은 종합상사 또는 중앙 도매상을 통해 지역 대리점 또는 유통업체에서 판매돼 엔드 유저에게 들어가는 구조를 의미한다. 최근에는 나사 업계의 설비 노후화 및 기술개발 지연으로 인해 자체 생산을 중단하고 제품을 구매해 판매하는 기업도 증가하고 있다. 복잡한 유통 구조를 간소화하기 위해 중앙의 도매상이 지역에 판매 대리점을 세우고 직접 판매를 하는 사례도 있으며 대형 중개업체나 상사와의 협력을 통해 유통 효율화를 이루는 경우도 있다.

 

관세율


<상품 관세율 정보>

HS코드

상품명

관세율

731815

- HS 731815(6자리): 그 밖의 스크루(screw)와 볼트(bolt)[너트(nut)나 와셔(washer) 붙어있는지는 상관없다]

기본

3.4%

WTO협정

2.8%

RCEP

HS 731815011 (스테인리스 강재) 1.5%

HS 731815019 (그 외의 것) 1.5%

HS 731815090 (나사) 1.9%

[자료한국 관세법령정보포털일본 수입통계품목표(2025.4.1.)]


인증

 

일본에서 나사를 판매하는 데 필요한 인증이나 규격은 제품의 용도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인 산업용 나사의 경우 의무적인 인증이 없는 경우도 있지만, 건축, 자동차, 항공, 인프라 등에 특정 용도로 사용되는 나사의 경우 각종 법령이나 규격 기준을 따라야 한다.


대표적이면서 일반 산업용 나사 전반에 적용되는 표준으로는 JIS가 있다. JIS(일본산업규격, Japanese Industrial Standards)는 산업표준화법에 근거한 국가규격으로 제품, 데이터, 서비스의 종류나 품질, 성능 등을 확인하는 시험방법과 평가 방법을 규정한다. JIS는 필수 인증은 아니지만 제품의 품질 보증을 통한 신뢰성과 수요 확보를 위해 사용된다. 


그밖에 용도별로 관련 법령이나 규칙을 통해 인증을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는데, 예컨대 자동차 산업에서는 JIS에서 정한 표준화된 부품 외에도 자체 규격을 정한다. 아래는 일본 자동차 기술회가 정한 나사 관련 일본 자동차 규격(Japan Automotive Standards Organization규격, 약칭 JASO규격)이다.


<JASO 규격 상세 정보>

표준번호

규격명칭

F101

자동차 부품 육각 볼트

F102

자동차 부품 육각 너트

F106

자동차 부품 – 프리베일링 토크형 역회전 방지 육각 너트

F107

자동차 부품 스프링 플레이트 너트

F109

자동차 부품 와셔 임베디드 볼트 및 작은 나사

F116

자동차 부품 육각형 나사산이 있는 나사 부품

F118

자동차 부품 와셔 포함 육각 너트

F120

자동차 부품 평 와셔 조립 태핑 나사

F121

자동차 부품 뚜껑이 있는 작은 나사

F123

자동차 부품 뚜껑이 있는 냄비 패팅 나사

F124

자동차 부품 수지용 태핑 나사

F126

자동차 부품 플랜지가 있는 육각 볼트

F127

자동차 부품 플랜지가 있는 육각 너트

 [자료: KOTRA 도쿄무역관 정리]


시사점

 

나사 산업은 자동차, 전자기기, 공작기계, 건축 등 제조업 전반에 걸쳐 수요가 탄탄한 산업 기반형 부품시장으로, 경기 및 산업 동향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구조를 가진다. 단순 구조의 범용 나사는 가격 경쟁이 매우 치열하며, 이는 대량 생산 체계를 갖춘 해외 기업들이 점유율을 확대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실제로 일본의 나사 수입 시장에서 중국과 대만이 전체의 6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반면 한국의 점유율은 4% 이하로 낮아, 진출 여지는 존재하지만 경쟁력 확보가 중요한 과제로 보인다.


한편, 일본 내수 제조업체들은 고령화와 기술 인력 부족, 설비 노후화 등의 구조적 문제를 안고 있다. 일부는 자체 생산을 중단하고 외부 조달로 전환하는 경향도 나타난다. 이는 고부가가치 맞춤형 제품, 복합 소재 활용 제품 등 차별화된 기술력을 갖춘 외국계 공급업체에는 기회로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밀 기기용 소형 나사, 이완 방지 기능성 나사, 경량 합금 기반 특수 나사 등은 일본 시장에서 기술력과 신뢰성을 갖춘 제품으로 인식될 경우 채택 가능성이 높다. 또한 일본 시장에서는 제품의 신뢰성과 품질 안정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필수가 아니더라도 현지 규격을 준수한 제품 제조 및 판매가 필요하다. 또한 대형 거래처 요구에 따른 맞춤형 대응을 통해 고정적 납품처를 확보하면서 간접 유통채널 모색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일본 나사 시장은 진입 장벽도 존재하지만 기술력, 품질관리 능력, 인증 대응 역량을 갖춘 기업에는 공급망 재편과 유통 구조 변화 속에서 새로운 기회가 열릴 수 있는 분야다. 한국 기업은 차별화된 제품을 개발하면서 현지 시장의 규격·유통 특성을 반영한 전략적 진출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자료: 일본 총무성, 이와타볼트, 일본나사공업협회, Global Trade Atlas, JIS, 한국 관세법령정보포털,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 프랜차이즈 모집 내비게이션, TechEyesOnline, KOTRA 도쿄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일본 나사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