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규모와 기술력, '쌍끌이' 형세의 인도 포장산업 동향
- 트렌드
- 인도
- 뭄바이무역관 김준범
- 2025-09-08
- 출처 : KOTRA
-
인도 경제 성장세에 힘입어 함께 커지는 포장산업
단순 포장지가 아닌, 브랜드 파워, 환경까지 책임지는 첨단 기술력 도입
고급 포장재는 여전히 수입에 의존... 기술력 갖춘 우리기업이 공략할 자리
인도의 포장산업은 빠르게 진화하고 있으며, 국가 경제에서 가장 유망한 부문 중 하나가 됐다. 포장산업은 1980~90년대 시장자유화 시기에 빠르게 성장했는데, 이 시기 수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첨단기술, 향상된 품질 기준, 지속가능성 중심 운영 등과 함께 인도 시장에 진출했다. 오늘날 포장은 단순히 제품 포장을 넘어, FMCG(Fast-moving Consumer Goods, 일용소비재), 농업, 제약, 전자상거래와 같은 산업 전반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동시에 제품 안전 보장, 브랜드 매력 향상, 공급망 효율성 개선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인도의 1인당 포장 소비는 여전히 다른 국가들에 비해 낮지만, 시장은 엄청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도시화, 소매 확장, 지속가능 포장 솔루션 수요 증가로 인해 시장은 거대한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주요 국가 1인당 포장 소비 2024>
(단위: Kg)

[자료: Upstox Report]
동시에, 인도의 제조업 기반 성장세도 혁신적이고 고객 맞춤형 포장 수요를 촉진하고 있다. 자동화, 디지털 기술, 재활용 소재의 도입이 이뤄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또 한 번의 산업 성장이 다가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 속에서 인도는 국내외 포장 기업에게 역동적인 미래 시장에 뛰어들 수 있는 매력적인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인도 포장산업의 소재별 분류
인도의 포장산업은 주로 소재 유형별로 세분화되며, 플라스틱, 종이 및 판지, 금속, 유리가 주요 구성 요소이다.
<포장산업 세분화>

[자료: Brickwork Research]
2023년 기준, 플라스틱이 45%의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으며, 종이 및 판지는 26%, 유리는 13%, 금속 및 기타류는 각각 8%를 차지했다. 2028년은 점유율 구도에서 약간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플라스틱은 47%, 종이 및 판지도 28%로 증가할 것이다. 반대로, 유리와 금속은 각각 12%와 6%로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기타 금속도 7%로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인도 포장시장 규모: 소재별>

[자료: Technopak Analysis]
인도 포장산업의 포장방식별 분류
Mordor Intelligence에 따르면, 연성 포장(Flexible Packaging)은 현재 인도에서 가장 인기 있는 포장방식으로, 2024년 기준 시장의 54.3%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간 11.51%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연성 포장은 가벼운 무게, 개봉 용이성, 내용물의 신선성과 안전성을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 등으로 인해 즉석식품, 건강보조제, 소량 농화학 제품 등에 주로 적용된다.
PE-PE 및 PP-PP 라미네이트와 같은 새로운 단일소재는 재활용이 더 쉬워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EVOH 차단층은 알루미늄 호일 없이도 식품의 유통기한 연장 효과가 있다. 또한 디지털 워터마크와 같은 스마트 포장 방식은 재활용 분류 기계가 포장을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도록 도와 포장산업 전반을 더욱 친환경적으로 만드는데 기여한다.
경질 포장(Rigid Packaging)은 여전히 청량음료, 세제, 고급 스킨케어 제품과 같이 내구성과 진열 효과가 중시되는 품목에서 널리 사용된다. 경질 포장에서도 품질 개선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례로 탈크 충전 PP 용기는 더 가볍고 효율적이며, 원료 사용량을 최대 20% 절감한다.
<인도 포장시장 규모: 포장방식별>

[자료: Mordor Intelligence]
인도 포장시장 동향
인도의 포장시장은 강력하고 꾸준한 성장을 경험하고 있으며, 시장규모는 2019년 505억 달러에서 2025년 2048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인도 포장산업협회에 따르면, 이는 2020년부터 2025년까지 연평균 성장률 26.7%를 기록한 수치이며, 현재 인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산업분야 중 하나로, 인도는 이에 힘입어 포장산업의 글로벌 허브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인도 포장시장>
(US$ 억)

[자료: Packaging Industry Association of India]
포장산업은 현재 인도 경제에서 다섯 번째로 큰 부문으로, 내수와 수출 모두에서 큰 잠재력이 있다. 인도는 유럽 일부 지역보다 가공 및 포장 비용이 최대 40% 저렴하고, 숙련된 노동력과 원자재 접근성이 높다는 비교 우위가 있다.
주요 수출 품목으로는 평판 캔, 인쇄 시트, 크라운 코르크, 루그 캡, 플라스틱 필름 라미네이트, 크라프트지, 판지, 포장 기계 등이 있는 반면, 수입은 국내에서 아직까지 널리 생산되지 않는 석판강, 코팅·라이닝 화합물, 특수 소재 등이 있다.
최종 사용 부문 측면에서는 음식 배달 증가와 생활방식 변화를 바탕으로 식품가공 산업이 45%의 점유율로 포장시장을 장악하고 있으며, 25%의 점유율을 차지하는 제약은 내구성 및 편의성을 보장하는 포장 수요를 바탕으로 성장하고 있다. 생활·개인용품과 음료가 각각 10%를 차지하며, 이 분야에서는 프리미엄 및 일회용 포장방식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점유율 10%의 산업 포장 역시 스마트 기술을 통해 공급망 효율성을 높이며 진화하고 있다.
<주요 산업별 포장시장 점유율>

[자료: IBEF]
인도의 포장산업 급성장은 중국, 브라질, 러시아, 동유럽 등 신흥 경제국의 글로벌 산업 추세와 유사하다. 그러나 인도의 규모, 비용 경쟁력, 수출 능력, 혁신성은 급변하는 글로벌 포장산업에서 두드러지는 경쟁력을 제공한다.
인도 포장시장 미래 전망 및 신흥 트렌드
인도의 포장산업은 농업, FMCG, 식품가공 등 주요 산업에서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역동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부문 중 하나는 라미네이트 및 연성 포장, 특히 PET 필름과 우븐 자루이다. 해당 소재들은 비용 효율성, 내구성, 다양한 제품 요구사항 충족 능력 때문에 널리 선호된다.
특히 첨단 기술의 발전은 최근 포장산업의 트렌드를 이끄는 요인이다. QR 코드, RFID 태그, 센서로 구현되는 스마트 포장은 제품 추적, 실시간 모니터링, 제품 인증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 식품 및 제약 부문에서 유용하다. 디지털 인쇄 기술을 통해 고품질 맞춤 출력이 가능해지고, 비용 절감, 시장 변화에 빠르게 적응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디지털 포장도 주목받고 있다. 자동화와 로봇공학은 작업 속도를 높이고, AI 기반 결함 탐지를 통해 품질 관리를 개선한다. 또한 3D 프린팅은 포장 디자인의 시제품 제작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나노기술은 차단 성능을 향상시키고 나노 코팅과 나노 센서 같은 안전 기능을 제공한다.
소재 혁신도 주목할 만하다. 생분해성 및 퇴비화 가능한 포장 솔루션이 기존 플라스틱의 대안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포장산업에서도 환경 문제 대응이 주요 이슈임을 알 수 있다. 인도의 생산자책임재활용(EPR) 제도에 맞춰, 재활용 포장은 개선된 설계와 소재를 통해 진화하고 있다. 대나무, 옥수수 전분, 사탕수수 부산물과 같은 식물 기반 및 재생 가능한 소재의 사용도 증가해 환경오염을 줄이고 있다. 추적과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마트 소재, 수성 잉크 및 코팅으로의 전환 역시 친환경 포장으로 향하는 중요한 지표이다.
인도는 또한 유연 포장, 무균 포장, 변성 대기 포장, 슈링크 포장, 스트레치 포장, 스킨 포장 등 혁신적 포장방식을 적극 채택하고 있다. 이들은 제품의 유통기한을 늘리고, 위생을 보장하며, 신선식품 및 수출제품의 규격요건을 충족한다. 종합하면, 인도의 포장산업은 글로벌 혁신 및 생산의 허브가 되어가고 있으며, 외국 기업들에게 중요한 기회를 제공한다.
포장산업 주요 기업 (Companies in Packaging)
업체명
주요 내용
웹사이트
ITC Limited

1910년 설립. 콜카타 소재. 판지, 담배, 연성포장, 강성박스, 골판지 박스, 라벨 등 분야 주력. 2025년 3월 31일, Aditya Birla Real Estate의 펄프·제지 부문을 약 4억 1153만 달러에 인수.
Uflex Limited

1988년 설립. 노이다 소재. 포장 필름, 무균포장, 연성포장 전문. 2025년 3월, 첨단 재활용 기술에 3억 7290만 달러 투자, 노이다에 재활용 공장 2곳 설립 발표.
JK Paper Limited

1960년 설립. 뉴델리 소재. 판지 및 골판지 박스 주력. 2025년 6월, Borkar Packaging의 지분 72%를 현금 약 2억 7650만 달러에 인수.
TCPL Packaging Limited

1987년 설립. 뭄바이 소재. 접이식 판지, 특수·선물 포장, 연성 포장, 강성 박스 주력. 2025년 3월, 첸나이에 신규 그린필드 시설 준공.
Hukhtamaki India Ltd

1950년 설립. 뭄바이 소재. 연성포장, 파우치류, 열성형, 슈링크 슬리브 등 생산.
https://www.huhtamaki.com/en/
Manjushree Technopack Ltd

1987년 설립. 벵갈루루 소재. 컨테이너, 프리폼, 캡·클로저, 스프레이·펌프, 슈링크 필름 생산. 2025년 1월 13일, 아시아·태평양 투자사 PAG가 투자 계약 체결.
https://www.manjushreeindia.com/
Chemco Packaging
Industries Pvt Ltd

1980년 설립. 뭄바이 소재. PET 프리폼, 용기, 병, 캡, 스트레치랩, 슈링크 필름, 유아용품 등. 2025년 5월, 약 5300만 달러를 투자하여 구자라트에 신규 공장 2곳 설립.
https://www.chemcogroup.com/
[자료: 주요 업체 홈페이지 및 신문기사]
정부 정책
인도는 포장 품질을 개선하고 플라스틱 폐기물의 부정적 영향을 줄이기 위해 주요 조치를 취하고 있다. 정부는 특히 더욱 안전한 식품 및 소매 제품용 포장재 사용을 장려하고 있는데, 이는 소매 분야의 조직화와 식품 안전성 강화 노력에서 비롯된 것으로, 이를 통해 표준화된 친환경 포장 수요가 크게 늘어났다.
인도는 플라스틱 폐기물 관리 규칙을 통해 플라스틱 유형별 관리 지침을 제시하고 있다. 핵심정책은 생산자책임재활용(EPR) 제도로, 제조업체, 수입업체, 생산자가 제품 전 주기에 걸쳐 책임을 지도록 하고 있다. 2022년 일회용 플라스틱 금지, 2024년 미세플라스틱·생분해성 플라스틱 규제 강화, 2025년 라벨링 규정(바코드·QR 코드 의무화) 시행 등 수 년에 걸쳐 정부는 지속가능한 플라스틱 사용 확대 의지를 보이고 있다.
India Plastics Pact도 중요한 정책이다. 기업-정부-NGO의 협력체제를 통해 도입된 India Plastics Pact는 재활용 소재 사용과 순환경제를 통한 플라스틱 오염 저감을 목표로 한다.
이 외에도 인도는 안전성과 공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다양한 규정을 도입했다. 승인된 소재만이 식품 포장에 사용될 수 있게 하는 식품안전 및 표준(포장 및 라벨링) 규정, 제품 겉면에 무게 및 양을 명확하게 표기하게 하는 법정계량규정, 의약품 및 화장품 규칙, BIS(인도표준국) 소재 안전기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시사점
국내 기업들은 인도의 급성장하는 포장산업에서 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특히 종이펄프, 폴리머, 금속, 유리와 같은 핵심 원자재 공급이나 공동개발을 통해 기회를 모색할 수 있다. 인도의 포장시장은 이커머스, 음식 배달, FMCG, 헬스케어 수요 증가 등에 힘입어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동시에 지속가능성 및 혁신에 대한 수요 역시 높아 현지 업체들은 적극적으로 친환경 소재 및 첨단 소재도입을 희망하고 있다. 해당 부분에서 기술력과 품질 우위를 가진 국내 업체들이 협력을 모색할 수 있다.
인도는 여전히 식품 포장용 고급 펄프를 수입에 의존한다. 한국은 고급 펄프 및 친환경 가공 역량으로 인도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다. 폴리머, 특히 바이오플라스틱과 재활용 플라스틱 분야에서 한국의 우수기업들이 강화되는 현지 규제 준수와 고성능·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정부정책 컨설팅업체 Stategic Analysis Inc.의 비자얀 나이르 이사는 “포장은 더 이상 단순한 제품 포장이 아니다. 이는 산업 전반에서 혁신을 견인하는 빠르게 진화하는 산업이다. 매일 수많은 제품이 개발·소비되는, 인도와 같은 다양하고 역동적인 시장에서, 효율적이고 맞춤형이며 지속가능한 포장에 대한 수요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이는 한국 기업들이 첨단 기술, 정밀 제조, 확장 가능한 솔루션을 인도 생태계에 도입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열어준다.”라고 밝히며 현재 인도 포장시장에서의 국내업체의 역할을 강조했다.
금속과 유리 포장 분야에서도 한국은 경량, 내식성 금속 및 에너지 효율적인 디자이너 글라스 제품에서 강점을 지닌다. 이는 인도의 럭셔리, 음료, 퍼스널케어 부문에서 수요가 크다. 또한 한국이 개발한 셀룰로오스 필름, 재활용 다층 배리어 같은 신소재는 인도의 지속가능성 목표와 소비자 선호에 부합하는, 프리미엄 친환경 대안 소재가 될 가능성이 높다.
한국 기업들은 FDI, 합작투자, 대리점 계약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출할 수 있다. 인도는 대부분의 포장 부문에서 100% FDI를 허용한다. 합작투자는 현지 노하우 및 유통망 접근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고, 대리점 계약 방식은 낮은 리스크로 시장 테스트를 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한-인도 CEPA를 통해 관세 인하, 통관 절차 간소화, 시장 접근성이 개선돼 현지 소비와 역내 수출 모두에서 유리하다. 기술적, 정책적 비교우위를 현명하게 활용해 훗날 가장 역동적인 시장 중 하나인 인도 시장 진출을 사전에 대비하는 우리기업들의 판단력이 요구되는 시기이다.
자료: Upstox Report, Brickwork Research, Technopak Analysis, Mordor Intelligence, Packaging Industry, IBEF 등 KOTRA 뭄바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규모와 기술력, '쌍끌이' 형세의 인도 포장산업 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수출 통계로 보는 한-UAE 교역 동향
아랍에미리트 2024-11-05
-
2
인도 아크릴 폴리머 (Acrylic Polymer) 시장동향
인도 2025-04-28
-
3
일본 식품 포장용 플라스틱 용기 시장동향
일본 2024-09-27
-
4
미국 플라스틱 포장재 시장동향
미국 2025-08-01
-
5
중남미 최대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국, 브라질 투자 동향
브라질 2024-10-15
-
6
튀르키예 테레플탈산 시장 동향
튀르키예 2025-07-24
-
1
2025 인도 신발산업 정보
인도 2025-09-16
-
2
2025 인도 반도체 산업 정보
인도 2025-07-07
-
3
2024년 인도 철강산업 정보
인도 2025-01-03
-
4
2024 인도 섬유 산업 정보
인도 2024-11-29
-
5
2024년 인도 화학산업 정보
인도 2024-11-25
-
6
2024년 인도 문구 및 미술 용품 산업 정보
인도 2024-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