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동북지역 관문 공항으로 부상할 다롄 신공항 건설과 우리기업 진출기회
  • 투자진출
  • 중국
  • 다롄무역관
  • 2025-08-08
  • 출처 : KOTRA

중국 동북경제의 도약을 이끌고, 중국 최대 규모의 해상공항으로 건설

한·중 경제협력의 새 장을 열고, 한국 기업들의 참여 기회를 확대할 것으로 기대

다롄시 경제 발전 현황 및 동북아 전략적 위치


<동북3성과 댜롄시 위치>


[자료: 바이두 지도, KOTRA 다롄무역관 편집]


다롄시는 랴오닝성의 부성급 도시, 계획단열시(计划单列市, 성의 경제권한을 가지지만 행정상으로 해당 성의 관할을 받는 도시)이다. 중국 동북 지역 남부, 랴오둥 반도(辽东半岛) 최남단에 위치해 있으며 동쪽으로는 황해, 서쪽으로는 보하이해와 접하고 있다. 국무원의 비준을 받은 북방 지역 연해 주요 중심 도시다.


다롄시는 동북아 경제권의 핵심에 위치해 있으며, 독특한 지리적 위치로 인해 해운, 물류, 항공 등 분야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다. 동북 지역 유일의 연해 개방 도시로서 일본, 한국, 러시아 등과 연결돼 있으며, 동북 3성(黑龙江省, 吉林省, 辽宁省) 및 내몽골 동부 지역과 연결돼 있다. 다롄시는 "동북아 국제 해운 중심"과 "물류 중심"이라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다롄시의 경제 총량은 동북 지역에서 장기간 1위를 유지하고 있다. 2024년 기준 다롄시 GDP는 9516억9000만 위안(동북3성 전체 GDP의 5.2%)이며, 선양시는 9027억1000만 위안(5.2%), 창춘시는 7632억2000만 위안(4.8%), 하얼빈시는 6016.3억 위안(4.3%)으로, 다롄시는 동북 10대 도시 중 1위를 유지하며 동북 경제 총량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다롄은 동북아 경제권의 중심에 위치해 있으며, 동북 지역 대외 개방의 창구 역할을 하고 있다. 항구 허브, 육상 교통로, 항공 네트워크 등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으며, 국가 및 랴오닝성에서 발표한 정책 혜택을 바탕으로 동북아 지역에서의 허브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항구 허브) 다롄항은 동북아시아의 중요한 컨테이너 물류 허브 항구로, 중국 동북 지역 수출입 컨테이너 물동량의 96% 이상을 처리하고 있다. 100여 개의 국제 항로가 일본, 한국, 동남아시아, 유럽 등 세계 주요 무역권을 연결하고 있다.

(육상 교통로) '일대일로'의 핵심 거점으로서 다롄시는 중유럽 열차와 해상철도 연계 운송 등을 통해 유라시아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해상철도 연계 운송 열차는 총 115개 노선이 정기적으로 운행되며, 이는 항구 전체 화물 처리량의 10% 이상을 차지한다.

(항공 네트워크) 다롄 저우수이즈 국제공항(大连周水子国际机场)과 신공항(건설 중)이 더블 허브 체계를 형성할 예정이며, 유럽 및 남미와 연결되는 새로운 직항 노선들이 동북 지역의 국제 직항 노선 공백을 메울 것으로 기대된다.


<다롄의 경제전략적 위치> 


[자료: 진저우만 임공 경제구(金州湾临空经济区)]

 

다롄저우수이즈 공항(구 공항) 현황

 

<다롄저우수이즈 공항 외관>

[자료: 다롄공항 홈페이지]

 

1. 국제공항 일반현황


다롄 저우수이즈 공항의 전신은 청나라 말기의 경마장으로, 1924년 일본이 이곳에 공항을 설립해 중국 동북지역 진출을 위한 기지로 사용했다. 1927년 공항이 건설된 후, 다롄에서 조선 신의주, 평양, 울산, 일본 후쿠오카, 오사카, 도쿄로 가는 노선을 운영했고, 이후 다롄에서 선양, 톈진, 베이징 등 중국 북부 주요 도시로 가는 통로를 개통했다. 1945년 일본이 패망함에 따라 소련군이 대리 관리했으며 10년이 지나 1955년경 소련군은 비행장을 중국에 반환했다. 이후, 1973년까지 민항 대련역(民航大连站)이 정식으로 설립됐고, 1984년, 1992, 1999, 2005년 네 차례의 대규모 확장을 거쳐, 현재 다롄 저우수이즈 국제공항의 모습을 갖추게 됐다. 


이러한 과정 속에서 다롄 경제가 지속적으로 성장하면서 공항 주위까지 도시가 확장됐다. 저우수이즈 공항은 다롄 시내 중심부에서 불과 10km 떨어져 있을 뿐이며, 중국 내에서도 시내에 위치한 극히 드문 공항 중 하나다. 현재 다롄 저우수이즈(周水子) 공항은 길이 3300m의 활주로 1개만 운영 중이다. 공항의 구체적 수용능력은 하단 도표와 같다.


<다롄 저우수이즈 공항 수용능력>

총 면적

345만㎡

계류장

80만㎡

터미널

15.2㎡

주차장

10.5㎡

활주로 길이

3300m

비행기 복도교

20개

보안통로

42개

체크인 카운터

92개

[자료: 다롄공항 홈페이지, 다롄무역관 정리]

 

2. 노선현황


다롄 저우수이즈(周水子) 공항은 현재 총 42개 항공사가 190개 노선을 운영 중이며, 국내외 123개 도시 노선을 운행 중이다. 이 중 국제·지역 노선은 13개 도시와 연결돼 있어 동북 지역에서 항공 접근성이 가장 우수하다. 특히 일본 노선은 8개 도시와 연결되며, 주간 54편이 운항된다. 일본 노선 기준으로 도시 수, 운항 횟수, 여객 수 모두 전국 3위를 유지하고 있다. 2025년 하계 성수기를 맞아 다롄 공항은 러시아 극동 및 동북아 지역을 연결하는 국제노선 확대에 나섰다. 울란바토르(몽골)와 호치민(베트남) 신규 노선을 개설하고 도야마(일본) 노선을 재개했으며, 도쿄, 후쿠오카, 히로시마, 블라디보스토크 등 기존 노선도 증편했다. 한편, 2025년 1~4월 기준, 화물·우편 처리량이 5만1000톤을 달성하며 전년 같은 기간 대비 3.7% 성장했다. 국제 화물량은 동북 지역 1위를 기록하며 강력한 물류 집산 능력을 입증했다.

 

3. 여객 현황


2010년 다롄 공항은 동북 지역 최초이자 전국 16번째로 여객 처리량 1000만 명을 돌파한 공항이 됐다. 당시 다롄 공항은 여객 처리량, 화물·우편 처리량, 항공기 이착륙 횟수 등에서 13년 연속 동북 1위를 기록했으며, 국제선 여객 처리량은 전국 4위를 차지했다.

 

그러나 2015년 다롄 공항의 여객 처리량은 전국 20위 밖으로 떨어졌다. 2016년에는 하얼빈에 추월당했고, 2018년에는 선양에, 2020년에는 창춘에 각각 뒤처지게 됐다. 2023년 다롄 공항은 창춘 공항을 다시 앞질렀지만, 여전히 2000만 명대의 하얼빈과 선양에는 크게 미치지 못했다. 2024년 다롄 저우수이즈 국제공항의 여객 처리량은 1928만9000명으로, 전국 순위 27위를 기록했다.

 

<2019~2024년 중국 동북 4대 공항 항공편 여객 처리량>

(단위: 만 명)

[자료: 화경정보망(华经情报网)]

 

(신공항) 다롄 신공항 프로젝트 발전 과정 및 진척 상황

 

<다롄 신공항 다롄 진저우만 국제공항 예상 완성도>


[자료: 다롄공항홈페이지]

 

1. 프로젝트 추진 배경

 

<구공항과 신공항 위치 및 다롄시 중심에서의 거리>


[자료: 까오더지도(高德地图) 항공사진, KOTRA 다롄무역관 편집]

 

기존 구공항은 시내에 위치해 확장이 불가능한 상황으로 2019년 여객 처리량이 이미 포화상태(2000만 명)에 도달했으며, 동북 지역 내 순위도 4위로 하락했다. 이에 지역 및 국가 전략의 중요 일환으로 정부가 신공항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시작했다. 세계 최대 해상공항으로 건설될 이번 프로젝트는 다롄이 동북지역 항공허브 지위를 회복하고 랴오닝 연해 경제벨트에 핵심 인프라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롄 진저우만 국제공항은 국가 '14차 5개년' 계획의 중대 프로젝트며, 중국 최초의 해상 인공섬 공항이다. 프로젝트는 입안, 종합계획, 공사 타당성, 해역 사용 등 심사를 28개월 만에 통과했다.

 

<다롄신공항 프로젝트 연혁>

연월

프로젝트

2002

프로젝트 착수

2005.9.

다롄 신공항 부지로 진저우만 지역 확정

2009.9.

다롄시 발전개혁위원회, 다롄 임공 산업단지 계획 승인

2011.2.

매립 연결공사 랴오닝성 정부 승인 통과

2012.10.

신공항 건설공사 관련 모든 행정절차 완료, 프로젝트 본격 착수

2014.9.

다롄 진저우만 공항 건설현장 매립공사 시작

2021.3.

중국 14차 5개년 계획 민용수송공항 신규건설 프로젝트 선정

2023.10.

다롄 진저우만 국제공항 프로젝트 착공동원대회 개최

 [자료: 다롄시 민용항공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다롄 국제공항 공식 웹사이트]

 

<다롄 진저우만 국제공항 개요>

중국어 명칭

大连金州湾国际机场

외국어 명칭

DalianJinzhouwan International Airport

운영 시작일

미정

비행구역 등급

4F

공항유형

민용공항

소속 지역

랴오닝성 다롄시

상태

건설 중

건설 방식

매립 인공섬

프로젝트 시작일

2012년 10월

지위

본토 최초의 해상공항

활주로 수량

4개

예상 사용 시기

1단계: 2028년

2단계: 2050년

예상 투자액

509억 3100만 위안(元)

착공 시점

2023년 10월 28일

[자료: 다롄신문, 다롄무역관 정리]

 

<구공항 vs 신공항 기본 정보 비교>

구분

구공항

신공항

명칭

다롄 저우수이즈 국제공항

(大连周水子国际机场)

다롄 진저우만 국제공항

(大连金州湾国际机场)

공항 위상

4E 등급 지역 항공 허브

중국 최초 해상 '인공섬' 공항, 동북지역 허브

부지 면적

345만 ㎡(약 3.45㎢)

20㎢(인공섬 매립)

활주로 구성

3300m×45m 활주로 1조

1단계: 3600m×45m + 3400m×45m 원거리 평행활주로 2조
장기계획: 추가 2조 확장

여객터미널 규모

15.2만 ㎡(터미널 3개 합계)

1단계: 50만 ㎡(T1)
장기계획: 40만 ㎡ 확장, 총 90만㎡

주기장

수용능력

현행 공항: 80개

신공항: 1단계 198개

여객

처리량

현행 공항: 연간 2100만 명

1단계: 연간 4300만 명
장기계획: 연간 8000만 명

화물

처리량

현행 공항: 연간 45만 톤

1단계: 연간 55만 톤
장기계획: 연간 150만 톤

항공기

이착륙 횟수

현행 공항: 연간 16만 회

1단계: 연간 32.8만 회
장기계획: 연간 54.1만 회

[자료: 진푸발표, 다롄저우수이즈 국제공항 관영 사이트, 다롄무역관 정리]

 

2. 공항 공사 현황

 

<진저우만 공항 공사 현장 사진>


[자료: CCTV13 보도내용(2025.1.9)]

 

다롄 진저우만 국제공항 공사는 주로 매립 공사와 공항 건설 공사로 구성되며,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매립 공사는 프로젝트의 기초 작업으로 인공섬 조성을 담당한다. 공항 계획 매립 면적은 20.87㎢이며, 현재 매립 작업 현장에는 900여 대의 덤프 트럭이 투입돼 일일 평균 20만 ㎥의 토사를 매립하고 있다. 2025년 6월 기준, 누적 매립 면적은 18.9㎢로 총 공정량의 94%를 완료했다. 여객터미널 2056기의 말뚝이 해저에 설치돼 총 말뚝 수의 66%를 완료했으며, 연말까지 완공될 전망이다.

 

공항 건설 공사는 여객터미널, 활주로, 부대시설 등 핵심 시설을 포함하는 프로젝트의 주된 건설 부분이다. 여객터미널 본체 공사는 2025년 5월 25일에 착공해 2028년 12월 31일 준공할 예정이다. 계획에 따르면 2025년 안에 여객터미널 및 앞쪽 고가도로 말뚝 기초 공사를 완료하고, 심층 지반 처리 공사를 진행할 방침이다. 현재 13만 ㎡의 다짐 공사를 완료했으며, 여객터미널 구역 심층 지반 처리 4차 분량 18만4000㎡가 검수를 통과했다. 1단계 공사는 2027년 하반기 완공, 2028년 상반기 운영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다.

 

공항 주변 경제 개발 계획


다롄 진저우만 국제공항은 완공 후 진저우만 및 주변 지역 경제 발전에 큰 활력을 불어넣을 전망이다. 진저우만 공항 프로젝트가 시작되면서 2020년 다롄 진저우임공 경제구를 설립하고 신공항 주변 산업 배치를 계획해 왔다. 다롄 진저우만 임공 경제구는 시내 중심부 북쪽 진저우만 해안 지역에 위치하며, 총 계획 면적은 81.9㎢, 계획 인구는 약 20만 명이다. 이곳은 국가 지역 항공 허브, 산업 단지, 생태 지능형 신도시로 건설될 예정이다. 이 중 공항 인공섬 면적은 20.29㎢, 육지 면적은 61.61㎢이다.

 

산업 배치 현황


<다롄 진저우만 임공경제구(大连金州湾临空经济区) 개요>


[자료: 다롄 진저우만 임공경제구 관리위원회 제공]


다롄 진저우만 임공경제구는 항공운송, 항공 현대 서비스업, 신흥 산업을 중점적으로 발전시키며 "2+3+2" 현대 산업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는 총 21개 세부 산업으로 구성된다. 세부 계획 면적으로는 항공항구 구역(20.3㎢), 항공물류 및  서비스 구역(15㎢), 비즈니스 서비스 및 개방 혁신 구역(10.6㎢), 생명건강 및 도시 레저 구역(17㎢), 고급 인프라 및 첨단 기술 구역(19㎢) 등이 있다.

 

<다롄 진저우만 임공경제구 산업체계>


 [자료: 다롄 진저우만 임공경제구 관리위원회 제공]


진저우만 임공경제구 개발 계획에 따르면,2025~2029년 항공항구 구역에서는 공항 1단계 건설 프로젝트를 중점적으로 추진하며, 항공 여객·화물 수송 및 관련 지원 산업을 발전시킬 예정이다. 항공물류 및 항공 서비스 구역을 중심으로 냉장 물류, 크로스보더 전자상거래, 항공 정비, 항공 본사, 항공 서비스 지원 등 항공 수송업 유형을 발전시키고, 점차적으로 저공 경제 등 신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2030~2035년에는 공항 운영으로 인한 인구 유입 효과를 바탕으로 비즈니스 서비스 및 개방 혁신 구역, 생명건강 및 도시 레저 구역을 중점 개발할 방침이다. 생명건강, 과학기술 서비스 등 산업을 집중 육성할 예정이며, 도시 서비스 기능 강화를 위해 교육, 의료, 체육 등 서비스 시설을 확충하고 주거 환경을 개선할 것이다.


진저우만 국제공항 건설은 동북아 경제, 해운 물류, 산업 발전 등 다양한 측면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한중 간 경제 무역 교류를 촉진하는 한편, 공항 건설 과정에서 한국 기업들의 프로젝트 참여 기회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공항 주변 산업단지 한국 기업 진출 가능성


진저우만 임공경제구 투자촉진국 관계자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진저우만 국제공항 완공은 물류 효율성 제고, 산업 협력 심화, 관광 소비 확대 등을 통해 한중 경제협력에 새로운 동력을 제공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또한, “주변 산업단지 조성 및 활성화 과정에서 한국 기업은 물류 허브, 산업 시너지, 정책 혜택 등의 강점을 바탕으로 반도체, 관광 소비, 건설 공사, 저공 경제분야에서 기회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하며, 구체적으로는 “진저우만 임공경제구는 항공 서비스, 현대 물류, 종합 보세 등 산업을 중점 육성하고 있으며, 한국의 전자, 자동차, 바이오의약 등 분야와 상호 보완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국 기업은 임공경제구의 물류 인프라를 활용해 전자 부품, 자동차 부품 등을 신속하게 수출입함으로써 공급망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라고 밝혔다. 바이오 헬스 산업 분야에서는 “한중 FTA와 임공경제구 정책이 시너지를 발휘해 한국 기업의 무역 장벽을 추가로 낮출 전망이며, 한국의 의료 기기, 노인 관련 장비 및 용품 등이 중국 시장에 더욱 빠르게 진입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매립 프로젝트 및 공항 사업에서 한국 기업 진출 가능성


공항 설계, 장비 공급, 자재 조달, 서비스 제공 등 분야에서 외국 기업의 참여 가능성도 존재하지만, 중국의 외자 진입 정책 및 프로젝트 세부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중국 상하이 공항, 베이징 공항 등에서도 과거 외국 기술이 참여한 사례가 있다. 중국 정부 요구사항에 따르면 외국 기업은 해당 분야 자격을 보유해야 한다. 매립 공사의 경우 항구 및 수로 공사 시공 총괄 자격을, 설계 단위는 민항 공학 설계 자격을 각각 소지해야 한다. 프로젝트 입찰은 일반적으로 "중국 국내 등록 기업"을 요구하며, 외국 기업은 국내 자회사 설립 또는 중국 기업과 컨소시엄 구성 후 비민감 분야에 집중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기존 수주기업과의 연계를 통한 프로젝트 진출 가능성


다롄 국제공항 그룹 유한공사 담당자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외국기업이 현지 프로젝트에 진출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는 낙찰기업과 합작하거나, 낙찰기업에 우회 공급하는 등의 방법으로 협업하는 것”이라고 언급했다. 기존 수주기업들과 연계한 한국기업의 진출방안도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며, 과거 주요 프로젝트의 수주 기업 정보는 아래와 같다.

 

<진저우만 국제공항 주요 수주 기업 및 프로젝트>

번호

프로젝트

수주기업

수주금액

시기

수주기업 연락처

1

다롄 신공항 매립 공사 (수중 투석) 항행 안전 보장 서비스 프로젝트

Dalian Junhong Technical Service Development Co., Ltd.

(大连钧鸿技术服务发展有限公司)

1000만 위안

2024.9.

0411-82623729

dalianjunhong@163.com

2

다롄 진저우만 국제공항 터미널 및 앞 고가다리 말뚝기초 공사 프로젝트

China Construction Eighth Engineering Division Urban Construction Co., Ltd.China Construction Third Engineering Bureau Group Co., Ltd. China Construction Infrastructure Corporation (or China Construction Infrastructure Co., Ltd.

(中建八局城市建设有限公司, 中建三局集团有限公司, 中国建设基础设施有限公司)

9억 위안

2024.9.

0411-84359921

dlqyglb@163.com

www.cscec.com

3

다롄 진저우만 국제공항 공사 심층 지반 처리 공사 (터미널 구역 제외) 2공구 시공

CCCC First Harbor Engineering Third Engineering Co., Ltd. CCCC First Harbor Engineering Co., Ltd.

(中交一航局第三工程有限公司, 中交第一航务工程局有限公司)

19.5억 위안

2025.5.

-

4

터미널 구역 지반 처리 공사

Shanghai Harbour Infrastructure Construction (Group) Co., Ltd. China Construction Eighth Engineering Division Corp., Ltd.  China Construction Infrastructure Co., Ltd.

 (上海港湾基础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中建八局, 中国建设基础设施有限公司)

3.9억 위안

2024.5.

-

[자료: 다롄시정부, 다롄신문, 진푸발표, 다롄상무국 등, 다롄무역관 정리]


다롄 진저우만 국제공항 프로젝트에서 한국 기업은 매립 공정(진동 교반 쇄석말뚝 기술 등), 터미널 설계(BIM 기술 적용 등) 분야의 전문 기술 지원을 제공하거나, 수하물 처리 시스템, 탑승교 등 공항 전용 장비를 납품하는 방식으로 참여할 수 있다. 한국 기업은 중국건설(CSCEC), 중국교통건설(CCCC) 등 중국 국영 기업과 협력해 기술 라이선스, 관리 운영 노하우 전수 등의 방식을 통해 프로젝트에 참여해야 한다. 장비 공급, 기술 협력 또는 컨소시엄 구성을 통한 입찰 등 다양한 경로로 진출이 가능하다.

 

<다롄 진저우만 국제공항 입찰 관련 연락처>

입찰 주관

다롄 국제공항 그룹 유한공사

주소

랴오닝성 다롄시 간징즈구 잉커루 100호 (大连市甘井子区迎客路100号)

담당자

담당자: 양공(杨工), 류공(刘工)

전화

0411-83887878

이메일

konggangcaigou@163.com

[자료: 다롄진저우만 국제공항]


입찰 프로젝트 확인 방법


공항 관련 입찰 모집 및 결과 공고는 다롄국제공항 홈페이지(www.dlairport.com/)의 공시공고(公示公告)- 입찰공고(招标公告) 화면 또는 전국공공자원교역플랫폼(다롄시)(https://ggzyjy.dl.gov.cn)을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참고로, 가장 최근에 입찰공고가 올라온 프로젝트는 <국제공항 공사 심층 지반 처리 공사(터미널 구역 제외) 3공구 시공 입찰 공고(입찰기간: 25.7.4.~25.7.28.)>가 있다.

 

<공항 관련 입찰정보 확인방법: (좌)공항 홈페이지, (우)전국공공자원교역플랫폼>

[자료: 다롄국제공항 홈페이지, 전국공공자원교역플랫폼(다롄시)]


시사점

 

다롄의 신공항 건설은 향후 다롄지역의 교통 인프라 개선을 통한 다롄지역 경제 발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신공항 인근 지역인 진저우만 임공 경제구역도 함께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다롄 진저우만 임공 경제구 관리위원회 판주임에 따르면, “진저우만 국제공항 건설을 기반으로 진저우만 항구 경제구는 물류, 전시, 상업, 호텔, 문화관광 IP 등 다기능 산업이 집적된 지역으로 발전할 전망이다. 현재 중국남방항공(南航), 징둥(京东), 위안통(圆通) 등 항공사 및 물류 기업들이 입주 준비를 마쳤으며, 2025년 안에 일부 기업들의 입주가 완료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향후에도 다롄 신공항과 연계된 다수의 프로젝트 입찰공고가 게재될 것으로 예상돼, 관심 있는 우리기업은 위와 같은 다양한 방식으로 입찰수요에 대응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료: 국민항국, 다롄 뉴스, 반다오천바오(半岛晨报), 펑황왕(凤凰网), 소후재경(搜狐财经), 다롄 국제공항 공식 홈페이지, 다롄시 진저우만 임공 경제구, 다롄시 인민정부 웹사이트, 동북뉴스넷, 다롄 진푸 공식 계정, 민항자원망(民航资源网), 랴오닝일보(辽宁日报), 입찰조달망, 진저우만 임공 경제구 공식 계정, KOTRA 다롄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동북지역 관문 공항으로 부상할 다롄 신공항 건설과 우리기업 진출기회)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