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폴란드 의료기기 산업 정보
- 국별 주요산업
- 폴란드
- 바르샤바무역관 한석환
- 2025-08-04
- 출처 : KOTRA
-
유럽 연합 기금과 정부 지원으로 지속 성장 중인 폴란드 의료기기 시장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와 디지털 헬스케어 확산에 따른 의료산업 성장 기회 존재
산업 특성
① 산업 개요
폴란드 의료기기 시장은 2004년 EU 가입 이후 의료 장비 현대화와 신규 장비 구매를 위한 EU 기금의 지원에 힘입어 빠르게 성장해 왔다. 여전히 일부 의료시설의 현대화가 필요한 상황이며, 이에 따라 지속적인 정부 및 EU의 투자가 이어지고 있다.
Fitch Solutions에 따르면, 폴란드의 의료기기 시장은 2024년 기준 약 43억7000만 달러 규모이며, 2029년까지 연평균 5.9%(현지 통화 기준), 6.6%(USD 기준) 성장해 약 60억 달러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2025년 예산에서 의료 분야에 총 2217억 즈워티(약 549억 달러)를 배정했는데, 이는 GDP의 약 6.5%에 해당한다.
폴란드 내 로컬 의료기기 기업은 아직 고급 장비보다는 소형 의료기기와 소모품 중심의 생산에 머무르고 있으나, 다국적 기업의 제조기지로서 입지는 확대되고 있다. 특히 정부는 스타트업 육성 및 혁신 의료기기 개발을 위해 투자 확대 중이며, AI와 원격진료 분야가 유망 분야로 꼽힌다.
② 정부 정책 및 규제 동향
폴란드 정부는 2025년 보건 예산을 전년 대비 16% 증가한 2217억 즈워티(약 549억 달러)로 책정하며, 병상 1,000개 추가, 구급차 400대 교체 등 약 70억 즈워티(약 19억 달러) 규모의 인프라 개선 프로젝트도 병행하고 있다. 의대생 대상 학자금 대출 면제 정책 등 인력 확보를 위한 제도도 함께 추진 중이다.
정책 방향은 지난 2022년 디지털 헬스케어 및 원격진료의 법제화 이후 e-처방, 원격상담, 환자 전자 기록 등 디지털 헬스케어와 원격진단 기술 확대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스타트업과 AI 기반 의료기기 기업에 대한 지원도 강화되고 있다. 이는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 의료 인력 부족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으로, 첨단 기술을 보유한 기업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
아울러, 2024년 말 확정된 의료기기법 개정안은 광고 규제를 강화해 의료 전문가 이미지 사용을 금지하고, 병원 내 광고를 제한하며, 제품 라벨링 요건도 강화했다. 또한, 폴란드에서 의료기기를 판매하기 위해서는 EU MDR(EU 2017/745) 규정을 충족해야 하며, CE 인증, EUDAMED 등록, UDI 관리, 유럽 대리인 지정 등 다양한 요건을 이행해야 한다.
한편, 폴란드는 2025년 상반기 EU 이사회 순회의장국으로서, 의료기기 안전관리, 사이버보안 대응, MDR 내 사고 보고 의무 등과 관련한 CAMD(Competent Authorities for Medical Devices) 워킹그룹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는 EU 내 의료기기 규제 간소화와 안전성 확보를 병행하는 방향으로 규제 조화를 모색하려는 계기로 평가받은 바 있다.
③ 최신 동향 및 주요 이슈
폴란드 의료기기 시장은 현재 디지털 전환과 규제 강화 기조 속에서 빠르게 구조적 변화를 겪고 있다.
정부는 스마트 의료시스템 구축을 중점 추진 과제로 설정하고 있으며, 특히 ‘Next Generation EU’, ‘EU4Health’, ‘Cohesion Policy’, 폴란드 국가복원계획(KPO) 등을 통해 2026년까지 AI 헬스케어에 총 4억 달러 이상 투자 예정으로, AI 기반 진단기기 및 원격진료 솔루션 도입을 가속화하고 있다.
민간 부문에서도 디지털 전환 추세가 뚜렷하다. 폴란드 최대 민간 진단검사 전문기업인 Diagnostyka는 IPO를 통해 디지털 진단 서비스 및 인프라 확충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이는 진단기기 및 실험실 자동화 장비에 대한 수요 확대와 함께 의료기기 시장 내 하위 산업의 성장 가능성을 반영한다.
미국계 의료·전자 부품 제조업체 Molex는 폴란드 남부 도시 카토비체(Katowice)에 약 1억1000만 달러를 투자해 의료기기와 전기차 부품을 생산하는 첨단 제조 캠퍼스를 확장 중이다. 1단계로 건설된 2만3000㎡ 규모의 생산 시설은 2023년 하반기부터 가동을 시작했으며, 고급 의료기기 조립 및 패키징, 멸균 부품, 사출 성형 등을 담당한다. 해당 캠퍼스는 LEED Gold 인증을 획득했으며, ISO 13485 인증 도입도 추진 중이다. 향후 최대 8만5000㎡까지 확장될 예정으로, 유럽 내 의료기기 공급망 안정화 및 복합 제조 기반 확보를 위한 전략적 거점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④ 주요기업 현황
폴란드 국내 의료기기 제조사로는 Asonik, Balton, Chirmed, Emtel, Famed Lodz, Medicalgorithmics, Mercator Medical 등이 있다.
<폴란드 의료기기 로컬 제조사>
업체명
주 취급분야
Asonik
ECG 레코더 및 분광계 제조
Balton
마취학, 수술, 비뇨기과, 부인과, 심장학 및 방사선학에 사용되는 광범위한 의료 장비를 생산
Chirmed
일반 수술, 심장 수술, 혈관 수술, 정형 외과, 치과, 안과 및 ENT에 사용되는 의료 기기 제조
Emtel
일회용 주사기, 카테터, 동맥압, 부정맥 및 혈중 산소 수준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모듈식 소형 휴대용 모니터, 중앙 모니터링 스테이션 및 임상 제세동기 생산
Famed Lodz
의료 조명 시스템 및 X-ray 뷰어 제조
Medicalgorithmics
심장 진단을 위한 AI 기반 비침습적 솔루션
Mercator Medical
의료용 장갑(수술용, 진단용, 멸균 및 보호용)과 일회용 의료 자재의 제조 및 유통업체
[자료: KOTRA 바르샤바무역관 자체조사]
다국적 기업으로서 폴란드 내 생산공장을 보유한 투자 업체로는 Aesculap-Chifa, DGS Poland, Fresenius, Getinge, MacoPharma, Stiegelmeyer, Stryker 등이 있다.
<폴란드 내 의료기기 외국 투자 기업>
업체명
주 취급분야
Aesculap-Chifa Sp. z.o.o.
- B. Braun Group소속
- 외과용 의료기기 제조
DGS Poland
- 덴마크 William Demant Holding Group업체가 모기업
- Oticon 브랜드의 보청기 제조
Fresenius Medical Care
- Fresenius Medical Care (FMC)
- 멸균 의료 기기
Getinge
- 모기업이 스웨덴 업체
- 의료 침대, 매트리스 교체 시스템 및 환자 이동 장치
MacoPharma
- 모기업이 프랑스 업체
- 수혈 및 주입 장치
Stiegelmeyer
- 독일 업체 Stiegelmeyer GmbH & Co. KG가 폴란드 로컬업체 민영화 과정에서 인수
- 병원용 금속 침대 제조
Stryker
- 미국에 본사를 둔 글로벌 기업으로 폴란드에 Stryker Polska 법인
- 정형외과 제품, 의료 및 수술 장비, 신경 기술 제품 취급
- 폴란드 중소도시 Skawina에 생산공장 투자 계획발표
[자료: KOTRA 바르샤바무역관 자체조사]
산업 수급현황
① 내수시장 규모
폴란드의 의료기기 시장은 2020~2023년까지 연평균 9.1%의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2024년에는 시장 규모가 약 43억69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0.6% 증가한 것으로 추정된다. 폴란드의 의료 시스템은 여전히 많은 병원과 진료원이 국공립 기관으로 운영되고 있어 의료기기 시장은 정부의 지원 예산에 따라 매년 성장률에 변동이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EU 기금을 통한 의료 시스템의 현대화가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어, 앞으로는 안정적인 성장이 기대된다. Fitch solution에 의하면, 폴란드 의료기기 내수 시장은 2029년까지 연평균 6.6%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폴란드 의료기기 시장규모>
(단위: US$ 백만)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e
2025f
2029f
의료 소모품
712
855
807
855
1,043
1,155
1,550
영상진단기기
568
607
596
674
786
853
1,021
치과용 기기 및 제품
158
210
224
251
272
294
381
정형외과용 기기
282
372
342
412
471
512
632
환자보조기구
522
608
510
518
575
614
744
기타 의료기기
842
1,006
916
1,046
1,223
1,349
1,699
의료기기 전체
3,084
3,659
3,396
3,755
4,369
4,777
6,027
증감률 (%)
10
18.6
-7.2
10.6
10.6
9.3
6.6*
주: e는 추정치, f는 전망치, *는 2024~2029년 USD기준 연평균 성장률(CAGR) 전망치
[자료: Fitch Solutions(BMI) (2025년2Q보고서)]
② 수출입 동향
폴란드는 전통적으로 의료기기 분야에서 수출이 수입을 초과하는 무역흑자 구조를 유지하고 있다. 2024년 기준, 의료기기 수출액은 약 5455만 달러로 전년 대비 4.8% 증가했으며, 수입액은 약 4065만 달러로 11.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수출 강세의 주요 요인 중 하나는 다국적 의료기기 제조기업들이 폴란드에 생산 거점을 구축하고, 현지에서 제조된 제품을 수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2024년 기준, 폴란드의 주요 수출 대상국은 미국(22.5%), 독일(17.6%), 프랑스(6.5%), 덴마크(5.9%), 영국(5.9%) 순이었으며, 주요 수입국은 네덜란드(24.3%), 독일(22.5%), 중국(9.7%), 벨기에(7.5), 싱가포르(3.6%), 프랑스(3.3%) 순이었다.
<폴란드 의료기기 수출입 규모와 증감률>
(단위: US$ 천, %)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6.3., KOTRA 바르샤바무역관 재구성]
폴란드의 의료기기 수출입 통계를 품목별로 분석한 결과, 환자 보조 기구 및 기타 의료기기 중심으로는 수출이 이뤄지고 있지만, 영상 진단기기와 같은 고정밀 장비는 여전히 수입 의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두드러진 수출 품목은 환자 보조 기구로, 총 25억6100만 달러 규모로 전체 의료기기 수출 가운데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했다. 이는 휴대용 환자 보조기기, 보청기, 휠체어 등 비교적 제조 난도가 낮고 유럽 내 수요가 꾸준한 품목에서 폴란드 기업들이 가격 경쟁력과 생산 역량을 확보한 데 기인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와 함께, 멸균기, 병원용 가구, 의료용 조명 등 다양한 품목을 포함하는 ‘기타 의료기기’ 분야도 11억8600만 달러의 수출을 기록하며, 환자 보조 기구와 함께 폴란드의 주요 수출군을 형성하고 있다.
반면, 영상 진단기기는 약 7억3800만 달러의 수입에 비해 수출은 절반 이하인 3억5100만 달러 수준에 그쳐, MRI, CT, 초음파 등 고정밀 진단 장비는 여전히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구조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치과용 기기 및 정형외과용 기기 또한 수입(2억8200만 달러)이 수출(1억8400만 달러)보다 많아, 기술력이 중요한 해당 분야 역시 해외 제품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이러한 경향은 고부가가치 기술 제품에 대한 현지 제조 인프라의 한계를 반영하는 동시에, 해당 분야에서 기술 경쟁력을 보유한 한국 기업들에 진출 기회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이와 달리, 의료 소모품과 정형외과 기기 등 일부 품목은 수출입 규모가 유사한 수준을 보이며 균형적인 무역 구조를 보인다. 특히 의료 소모품은 6억8500만 달러 수입, 6억9300만 달러 수출로 소폭의 수출 우위를 나타내며, 향후 국내 기업의 ODM 또는 유럽 내 OEM 기반 확대에 따라 안정적인 수출 기반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다.
종합적으로 볼 때, 폴란드의 의료기기 시장은 특정 고부가 기술 품목에서 수입 의존이 지속되는 반면, 일반적인 병원 장비 및 보조기기 부문에서는 자국 제조 기반을 토대로 유럽 내 수출 허브의 역할을 강화하는 추세다.
<2024년 폴란드 의료기기 품목별 수출입 동향>
(단위: US$ 백만)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6.3., KOTRA 바르샤바무역관 재구성]
③ 생산 동향
폴란드의 의료기기 생산은 품목별로 양극화된 흐름을 보인다. 기타 의료기기나 의료 소모품과 같이 범용성이 높은 제품군은 일정 수준의 생산 기반을 유지하고 있으나, 고정밀 기술이 요구되는 영상 진단기기나 정형외과 기기 등은 생산 규모의 변동성이 크고, 여전히 수입 의존도가 높다.
이러한 생산 구조는 폴란드 의료기기 산업이 조립·가공 위주 제조 역량에 기반을 두고 발전해 온 데에 기인한다. 주요 다국적 기업들이 폴란드를 생산기지로 삼아 단가 경쟁력이 높은 품목을 중심으로 현지화를 추진해 온 반면, R&D 중심의 고부가가치 품목은 여전히 해외에 기술 중심지를 두고 있다.
정부 차원에서는 생산 시설 유치보다는 디지털 헬스케어 및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에 정책적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특히 2023년 이후에는 EU 기금과 연계한 보건 혁신 프로젝트가 확대되면서 AI 기반 진단 솔루션, 원격진료 플랫폼, 웨어러블 의료기기 분야를 중심으로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고 있으며, 고자기장 수술 시스템, ECMO장비, 영상 진단 장비 도입, AI 소프트웨어 의료기기(SaMD) 개발, 원격진료 시스템 도입 등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폴란드의 의료기기 산업은 전통적인 물리적 생산에서 점차 서비스 융합형 디지털 헬스 산업으로 이동하는 이행기에 접어들고 있다.
<폴란드 의료기기 생산규모와 증감률>
(단위: EUR 백만, %)
구분
2019
2020
2021
2022
2023
의료 소모품
120.5
54.6
100.2
103.5
106.2
영상진단기기
45.5
60.7
76.9
100.4
7.1
치과용 기기 및 제품
4.5
10.0
16.9
20.5
20.3
정형외과용 기기
54.3
49.8
10.4
59.6
16.4
환자보조 기구
6.2
4.8
4.4
0.0
4.7
기타 의료기기
412.2
409.2
206.4
304.7
321.0
의료기기 전체
643.2
589.0
415.2
588.7
475.8
[자료: Fitch Solutions, ‘Poland Medical Devices Report Q3 2025’]
진출전략
① SWOT 분석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ㆍ EU 자금 기반의 안정적 의료시스템 현대화
ㆍ 인구 약 3800만 명의 대형 시장
ㆍ 민간 의료부문 성장세 지속
ㆍ 다국적 제조사 진출 및 수출 기반 확보
ㆍ 중동부 유럽(러시아 포함)에서 두 번째로 큰 의료기기 시장 보유
ㆍ 인구 감소로 인한 의료 서비스 수요의 감소 가능성
ㆍ GDP 대비 낮은 의료예산 비중.
ㆍ 의료 인력 유출 및 병원 자원 배분 비효율
ㆍ 디지털 헬스 도입률 낮음.
ㆍ 광고 규제 강화로 마케팅 전략 조정 필요
기회(Opportunities)
위협(Threats)
ㆍ 2025년 보건예산 확대와 EU 펀드 지속
ㆍ 고령화로 인한 진단 및 보조기기 수요 증가
ㆍ 스타트업과 디지털 헬스 분야 성장 잠재력
ㆍ 의료기기 입찰 확대, 특히 심혈관 관련 장비
ㆍ 고금리로 인한 민간 투자 위축 가능성
ㆍ 건설 인허가 비용 증가로 기업 부담 가중
ㆍ 민간병원에 불리한 자금 시스템 지속
ㆍ 국내 기업 경쟁력 강화로 외국 기업의 진입 장벽 상승
폴란드에선 여전히 많은 의료기기 장비가 노후화돼 있어 병원용 가구, 기본 진단기기, 환자 보조기기 등 중저가 제품군에서 수요가 높다. 특히 EU 기금 및 국가 예산을 활용한 인프라 개선 프로젝트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공공 조달은 개별 병원 또는 지방정부 단위로 이뤄지기 때문에 현지 입찰 동향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현지 파트너와의 협업이 한국 기업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중소형 한국 기업의 경우, 유통 네트워크를 확보한 로컬 수입업체와의 전략적 제휴를 통해 진입 장벽을 낮추는 간접 진출 방식이 효과적이다.
최근에는 디지털 헬스케어, 원격진단, 모바일 헬스 솔루션, AI 기반 진단기기 등 기술집약형 분야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관련 예산도 지속 확대되고 있다. 특히 영상 진단기기, 소형 진단기기, 데이터 분석 및 시각화 기능이 결합한 제품군은 공공 및 사설의료기관 모두에서 수요가 증가 중이다. 한국 기업은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소형화·저소음·사용자 친화 설계와 더불어, CE 인증 및 기술 지원 체계 구축을 통해 현지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으며, 사설 의료기관을 타깃으로 한 가성비 높은 솔루션 제안도 유망한 진출 전략이 될 수 있다.
시장 구조상 고급 의료 장비는 여전히 수입 의존도가 높으며, 글로벌 기업들은 현지 법인과 교육·기술 지원 체계를 구축해 입찰 시장을 선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신기술 기반의 차별화된 제품군, 사용자 중심 설계, 인증 및 사후 지원 역량 확보가 경쟁력으로 작용하며, 특히 영향력 있는 현지 수입업체와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진입 장벽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다.
자료: 폴란드통계청(GUS), Fitch Solution(BMI), Global Trade Atlas, zdrowie.info, .trade.gov.pl, stryker.com/pl, PAIH, KOTRA 바르샤바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폴란드 의료기기 산업 정보)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요르단 전력 시장 동향 및 기회요인
요르단 2025-08-04
-
2
쿠웨이트 의료기기 시장 동향
쿠웨이트 2025-08-04
-
3
체코 피부 미용기기 시장동향
체코 2025-08-04
-
4
멕시코 자동차부품 시장동향
멕시코 2025-08-04
-
5
최대 설탕 생산국 브라질, 지속가능한 생산방식 도입 활발
브라질 2025-08-04
-
6
2025년 루마니아 디지털헬스 산업 정보
루마니아 2025-08-04
-
1
2024년 폴란드 자동차 산업 정보
폴란드 2024-11-26
-
2
2024년 폴란드 건설인프라 산업 정보
폴란드 2024-11-26
-
3
2024년 폴란드 산업개관
폴란드 2024-11-12
-
4
폴란드 에너지 산업 정보
폴란드 2022-11-11
-
5
2021년 폴란드 의료기기 산업 정보
폴란드 2021-12-23
-
6
2021년 폴란드 산업 개관
폴란드 2021-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