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웨이트 의료기기 시장 동향
- 상품DB
- 쿠웨이트
- 쿠웨이트무역관 문정인
- 2025-08-04
- 출처 : KOTRA
-
쿠웨이트 의료기기 시장 연평균 4.74% 성장세
HS코드 및 상품명
HS CODE
품목명
901890
의료기기
쿠웨이트 의료기기(HS Code 9018.90) 시장 동향
쿠웨이트 의료기기 시장은 병원 인프라 확장, 고령 인구 증가, 개인 건강관리에 대한 관심 증대로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체온계, 혈압계, 개인용 진단기기 등 소형 진단기기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가정용 의료기기나 스마트 헬스케어 기기의 시장 점유율도 확대되고 있다.
Statista에 따르면, 쿠웨이트의 의료기기 시장은 2025년 기준 약 6억4050만 달러 규모로 예상되며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약 4.74%의 성장률(CAGR)을 기록해 2030년에는 약 8억749만 달러 규모에 이를 전망이다. 품목별로는 심장질환 관련 의료기기(Cardiology Devices)가 2024년 기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외에도 정형외과 장비, 영상 진단 장비, 약물전달기기, 치과기기, 안과기기, 당뇨관리기기, 내시경기기, 성형외과 기기 등 다양한 세부 품목이 시장을 구성하고 있다.
<쿠웨이트 의료기기 시장 규모 추이>
(단위: US$ 백만)
[자료: Statista, 2025년 6월]
수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쿠웨이트의 HS Code 9018.90(의료기기) 품목 수입은 최근 5년간 증감을 반복하며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증가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2023년 수입 규모는 약 1억4029만 달러였으며, 2024년에는 약 1억4621만 달러로 약 4.2% 증가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미국은 2020년부터 2024년까지 1위 수입국을 유지하고 있으며 2024년 기준 4407만 달러 규모로 전체의 약 30%에 가까운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다. 멕시코는 2021년도부터 2위 수입국을 기록하고 있으며, 중국은 2020년 675만 달러에서 2024년 1071만 달러까지 빠르게 수출이 증가하며 수입국 상위권에 진입했다.
한편, 쿠웨이트의 대한 수입규모는 2024년 기준 약 152만 달러로 17위를 차지했다. 이는 유럽 및 미국의 고급 장비 브랜드 선호가 강한 시장 특성으로 인해 한국산 제품의 경쟁력이 제한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한편, 아일랜드·베트남·영국 등은 중소형 품목 공급을 중심으로 점유율을 서서히 높이고 있다.
<최근 5년 쿠웨이트의 의료기기(HS Code 901890) 10대 주요 수입국>
(단위: US$ 천)
순위
국가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전체
160,186
121,686
141,309
140,295
146,214
1
미국
50,191
27,946
34,437
39,137
44,074
2
멕시코
17,531
19,893
21,586
27,184
19,545
3
독일
27,064
18,156
18,312
16,123
13,718
4
중국
6,751
5,523
6,240
7,575
10,711
5
프랑스
8,596
8,749
11,149
7,636
8,543
6
아일랜드
1,293
1,644
2,803
3,638
6,635
7
베트남
4,358
2,694
2,004
2,357
4,305
8
영국
3,301
1,820
2,486
2,607
4,070
9
일본
5,817
3,594
3,921
4,136
4,021
10
이탈리아
7,109
6,585
5,552
5,703
3,110
17
대한민국
1,578
2,084
2,652
1,763
1,525
[자료: Trade Map]
경쟁 동향
쿠웨이트 의료기기 시장은 기술력과 브랜드 신뢰도를 갖춘 글로벌 기업들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구조다. 병원 및 정부기관의 주요 구매 기준은 정밀성, 내구성, 브랜드 신뢰도이며 대부분 쿠웨이트 보건부 제품 등록 및 인증을 완료한 검증된 브랜드 제품을 중심으로 수입이 이뤄진다.
미국, 독일, 일본 등의 브랜드는 영상진단, 심혈관, 내시경, 외과 수술 장비 등 고가의 병원용 제품 분야에서 강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중국, 프랑스 등의 제조사는 중저가 진단기기 및 치과 등 특화 분야에서 점유율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환자 모니터링, 내시경, 정형외과 임플란트, 수액 주입 시스템 등은 교체 주기가 짧고 기술 신뢰도가 중요한 품목군으로 브랜드 신뢰도와 공급 안정성이 중요한 경쟁 요소로 작용한다.
<쿠웨이트 주요 의료기기 브랜드 개요>
브랜드명
제조국
분야
GE HealthCare
미국
진단영상 장비, 심혈관 기기
Siemens Healthineers
독일
영상진단 시스템, 병원 솔루션
Philips Healthcare
네덜란드
영상진단, 환자 모니터링
Olympus
일본
내시경 및 정밀 외과 장비
B. Braun
독일
수술기구, 수액 주입 시스템
Stryker
미국
정형외과 임플란트, 외과 장비
Mindray
중국
환자 모니터, 초음파 기기
Balt
프랑스
뇌혈관·신경외과 미세 기기
[자료: 각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 KOTRA 쿠웨이트무역관 정리]
유통구조
쿠웨이트 의료기기 시장은 현지 에이전트를 통한 병원·보건부 납품 구조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대부분의 수입 의료기기는 쿠웨이트 보건부(Ministry of Health) 등록을 완료한 제품에 한해 정부 및 민간 병원 납품이 가능하며, 이 과정에서 공식 유통사 또는 등록된 현지 대리인(에이전트사) 확보가 필수적이다.
대형 병원 및 공공 의료기관은 장기계약이나 입찰을 통해 장비를 조달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글로벌 브랜드들은 주로 현지 지사를 두거나 에이전트 계약을 통해 간접적으로 진입하고 있다. Siemens, GE Healthcare, Olympus, B. Braun 등은 현지 파트너사를 통해 공급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일부 브랜드는 수리·정비·교육 서비스까지 포함한 패키지 형태로 납품하고 있다. 중소형 병원 및 클리닉, 개인 의료기관 등은 현지 유통업체를 통해 기기 구매를 진행하며, 진단기기나 환자 모니터링 장비 등 비교적 소형 제품군은 약국 체인 및 의료기기 전문 매장을 통해 유통되기도 한다. 최근에는 Taw9eel, Xcite 등 현지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한 온라인 의료기기 유통도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관세율 및 인증
쿠웨이트에서 의료기기 수입 시 적용되는 기본 관세율은 5%이며 일부 품목에 따라 무관세가 적용되기도 한다. 그러나 실질적인 진입 장벽은 관세보다는 인증 및 등록 절차에 있으며 모든 의료기기는 쿠웨이트 보건부의 사전 등록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한다.
쿠웨이트 시장에 의료기기를 수출하기 위해서는 우선 현지 유통사 또는 에이전트와 계약을 체결해야 하며 제품 등록 및 인증 절차는 반드시 현지 에이전트를 통해 진행돼야 한다. 수입 계약 체결 후 바이어는 쿠웨이트 상공부에 계약서를 등록한 뒤 쿠웨이트 보건부에 제품 등록을 신청한다. 이후 보건부는 제출된 샘플 및 서류를 기반으로 기술 심사를 진행하며 등록 승인까지는 평균 3개월에서 1년 정도가 소요된다. 제품에 따라 추가적인 시험, 검사 또는 기술 보완이 요구될 수 있다.
ㅇ 인증 요구서류
- 의료기기 등록 신청서
- 판매허용 증명서(Free Sale Certificate, 주한 쿠웨이트대사관 인증)
- ISO/GMP 등 국제 표준 인증서
- 제품 상세설명서(모델명, 분류, 포장단위, 사용목적 등 포함)
- 기기 라벨링 이미지 및 사용설명서
- 제조사 적합성 선언서(DOC)
- 기술문서(STED), 위험 분석 및 시험 결과, 전기·소프트웨어 안정성 검토
- 성분 검출 시험서, 독성 평가서, 생체적합성 자료 등
ㅇ 인증 관련 주요 사항
- 인증 비용: 제품 및 서류에 따라 상이, 샘플 제출 시 수수료 발생
- 인증 유효기간: 5년
- 사후관리: 보건부 등록 후에도 기술 변경 시 갱신 필요
이처럼 쿠웨이트 의료기기 시장은 비교적 체계적이고 보수적인 등록 절차를 갖고 있어 신뢰할 수 있는 현지 유통사 확보와 충분한 등록 준비기간 확보가 필수적이다. 인증 요건이 까다로운 만큼 CE, ISO 등 국제 기준 인증 확보가 진입을 위한 최소 조건으로 간주된다.
시사점
쿠웨이트 의료기기 시장은 정부 조달 중심이며 브랜드 신뢰와 제품 인증을 중시하는 시장이라는 점에서 단기적 성과 창출보다는 현지 유통 파트너와의 관계 구축을 통해 점진적으로 시장을 확대하는 전략이 효과적이다. 특히 에이전트 중심 유통구조와 입찰 방식의 병원 납품 시스템을 고려할 때 국내 기업이 직접 유통망을 확보하기보다는 현지 경험이 풍부한 파트너를 통한 진출이 보다 현실적인 접근 방식이 될 수 있다.
또한 쿠웨이트 의료시장에서는 제품의 안전성과 사후지원 역량이 브랜드 선택의 핵심 기준이므로 우수한 기술력 외에도 국제 인증 체계와 품질관리 수준에 대한 신뢰를 입증할 수 있는 자료와 전략이 필수적이다. 다만 보건부 등록 지연, 인증 서류 준비, 샘플 요구 등 비관세 장벽이 실무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시장 진출 전 충분한 사전 검토와 준비 기간 확보가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
자료: Statista, Trade Map, 쿠웨이트 보건부, 의료기기 브랜드 공식 홈페이지, 쿠웨이트 언론 및 KOTRA 쿠웨이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쿠웨이트 의료기기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2025년 루마니아 디지털헬스 산업 정보
루마니아 2025-08-04
-
2
쿠웨이트 5G산업
쿠웨이트 2019-12-09
-
3
2025년 폴란드 의료기기 산업 정보
폴란드 2025-08-04
-
4
2025년 UAE 면도기 시장동향
아랍에미리트 2025-08-04
-
5
쿠웨이트 산업 개관
쿠웨이트 2019-10-24
-
6
물 안보를 위해 해수담수화에 진심인 알제리
알제리 2025-08-04
-
1
2024년 쿠웨이트 스마트팜 산업 정보
쿠웨이트 2024-09-06
-
2
2020 쿠웨이트 산업 개관
쿠웨이트 2020-12-07
-
3
쿠웨이트 ICT 산업
쿠웨이트 2020-10-15
-
4
쿠웨이트 5G산업
쿠웨이트 2019-12-09
-
5
쿠웨이트 석유화학 산업 정보
쿠웨이트 2019-11-27
-
6
쿠웨이트 농업 산업동향
쿠웨이트 2019-11-12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