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우크라이나 두발용 제품 시장동향
  • 상품DB
  • 우크라이나
  • 키이우무역관 최한나
  • 2025-07-23
  • 출처 : KOTRA

2024년 우크라이나 두발용 제품 규모, 2023년 대비13.0% 증가

트리트먼트, 세럼 등 다양한 제품군을 갖춘 브랜드 선호

상품명 및 HS 코드


상품명: 두발용 제품

HS 코드: 330590

 

시장동향

 

2024년 우크라이나 두발용 시장 규모는 2023년 대비 11.8% 증가한 132억 6140만 흐리브냐로, 달러로 환산하면 3억 2345만 달러다. 매스마켓 제품이 시장의 83.2%를 차지하고 있으며 프리미엄 제품은 16.8%를 차지한다. 사회학적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헤어 케어 제품 1개당 월 200 흐리브냐(4.9달러)이상의 지출에 부담을 느끼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 선택 시 브랜드 인지도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그 다음으로 제품 품질을 중요하게 여긴다.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요소는 기능적 특성, 반면 포장 디자인의 매력도는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경쟁 동향

 

2024년 우크라이나 두발용 제품 시장은 다국적기업 브랜드가 주도하고 있으며, L'Oréal, Henkel, Procter & Gamble 등 주요 글로벌 기업들의 제품이 전체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이 중 L'Oréal Group이 시장점유율 선두를 차지하고 있으며, Henkel, Procter & Gamble 등이 상위에 위치해 있다. 

 

L'Oréal Group L'Oréal Paris, Garnier, Vichy, Matrix, L'Oréal Professionnel, Kerastase 등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으며, Henkel Palette, Schwarzkopf, Schauma, Syoss, Schwarzkopf Professional 등의 브랜드를 통해 시장에 진출해 있다. Procter & Gamble은 Pantene, Head & Shoulders 등의 브랜드로 소비자층을 확보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두발용 제품 시장에서 자국 제조업체의 점유율은 크지 않은 편이나, 이들 기업은 내수 시장 공급 뿐만 아니라 해외 수출도 병행하고 있다.

 

<우크라이나 두발용 브랜드>

연번

브랜드명

전문 분야

공식 웹사이트

1

Hillary Cosmetics

천연 헤어, 바디, 페이스 제품

hillary.ua

2

Mr.SCRUBBER

헤어 및 바디용 화장품

mrscrubber.com

3

HOLLYSKIN

천연 헤어, 페이스, 바디 화장품

hollyskin.com.ua

4

Deeply

전문 헤어케어 화장품

deeply.com.ua

5

FULL FORCE

전문 헤어케어 화장품

full-force.com.ua

6

White Mandarin

에센셜 오일 기반 천연 화장품

whitemandarin.com

7

Dushka

천연 샴푸, 마스크, 바디케어 제품

dushka.ua

8

Lac Santé

천연 성분 화장품

lacsante.ua

9

Mermade

샴푸, 컨디셔너, 마스크

mermade.com.ua

10

Sister’s Aroma

아로마 코스메틱, 헤어 및 바디케어

sistersaroma.com

11

jNOWA Professional

다양한 모발과 두피 문제에 맞춘 전문 제품

jnowaprofessional.ua

12

Scalp Professional

친환경적 접근이 특징인 브랜드. 다양한 모발 유형(직모, 곱슬머리, 가는 모발 등)에 맞춘 집중 케어

scalp.com.ua

 [자료: KOTRA 키이우무역관]

 

수입 동향

 

2024년 우크라이나 전체 두발용 제품류(HS Code 3305) 수입 규모는 1억 7451만 달러로 2023년 대비 8.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 품목별로는 린스 및 기타 헤어 제품(HS Code 330590)의 수입 규모는 9306만 달러로 집계됐다. 2023년 대비 5.9% 증가, 러-우 사태 전인 2021년 대비 4.2% 증가한 수치다. 샴푸(HS Code 330510) 의 경우, 2024년 수입 규모는 731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1.0% 증가했으며, 러-우 사태 전인 2021년 대비 6.8% 증가했다.

 

<우크라이나 두발용 제품(HS코드:330590) 주요 수입국>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명

2021

2022

2023

2024

증감

(23/24)

점유율

(2024)

1

이탈리아

16.7

12.0

20.9

23.3

11.2

25.0

2

폴란드

14.3

9.4

15.0

17.1

14.0

18.4

3

독일

9.5

7.8

8.1

7.5

-8.2

8.0

4

프랑스

6.7

3.9

6.7

6.6

-1.8

7.1

5

슬로베니아

5.3

5.0

5.9

6.4

9.1

6.9

6

스페인

5.4

3.4

5.5

6.4

16.2

6.9

7

한국

2.7

2.6

3.8

4.3

13.0

4.6

8

브라질

1.1

1.3

2.2

2.9

32.5

3.2

9

미국

2.1

1.1

2.1

2.4

14.7

2.6

10

벨기에

3.5

3.6

3.7

2.3

-39.5

2.4

전체

89.3

58.5

87.9

93.1

5.9

100.0

[자료: GTA 2025.7.21.]


러-우 사태의 영향으로 2022년 두발용 제품(HS코드:330590) 우크라이나의 대 한국 수입규모는 전년 대비 2.3% 감소했다. 이는 러-우 사태로 인한 어려운 물류 상황과 불안한 정치/경제 상황 때문이다. 그러나 2023년부터 수입규모가 회복세를 보이기 시작했으며, 2024년에는 2023년 대비 13.0% 증가했고 러-우 사태 전인 2021년 대비 59.3% 증가했다.

 

최근 우크라이나 내에서 한국 화장품에 대한 인기가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RBC 리서치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소비자들이 한국 화장품을 선호하는 주요 요인으로는 천연 성분 사용, 경쟁력 있는 가격, 혁신적인 품질, 다양한 제품군, 매력적인 포장 디자인 등이 뽑았다. 한국 화장품 인지도가 높아지면서 한국 두발용 제품에 대한 수요도 점차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 내 판매되는 한국 두발용 제품>

(단위: US$)

제품명

판매되는 제품 종류

소비자가

 Lador

샴푸, 린스, 오일, 마스크, 트리트먼트, 헤어필링 세럼, 미스트, 헤어토닉, 헤어 필러

 2.6~37.9

 Esthetic House

(CP-1)

샴푸, 린스, 마스크, 두피 스케일러, 세럼, 헤어필링세 럼, 헤어 필러, 오일, 미스트, 스프레이

1.7~16.9

 Mise en Scène

샴푸, 린스, 마스크, 에센스

10.8~24.4

Kundal

샴푸, 린스, 두피 스케일러, 세럼, 마스크, 트리트먼트, 크림, 스프레이

3.7~20.0

 Dr.FORHAIR

샴푸, 린스, 토닉, 필링, 마스크, 스프레이, 세럼

8.0~37.1

 Kerasys

샴푸, 린스, 트리트먼트, 세럼, 앰플

 5.3~ 24.1

 Daeng Gi Meo Ri

샴푸, 린스, 마스크, 팩, 오일, 미스트, 트리트먼트, 에센스, 세럼, 스프레이

 2.9~42.5

Dr.FORHAIR

샴푸, 린스, 마스크, 필링, 토닉

9.5~29.3

Moremo

샴푸, 린스, 에센스 오일, 세럼, 마스크, 트리트먼트

4.9~43.9

Rated Green

크림, 마스크, 샴푸, 스프레이, 로션, 세럼, 미스트

7.2~24.1

Masil

샴푸, 마스크, 헤어밤, 필러, 로션, 오일, 에센스 

4.5~19.0

[자료: KOTRA 키이우 무역관]


유통구조

 

우크라이나의 두발용 제품은 전체 판매의 87.4%가 소매 유통 채널을 통해 이뤄지고 있으며, 나머지 12.6%는 헤어살롱 등 비소매 유통 채널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소매 유통 중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판매 비중은 78.5%, 온라인 판매는 8.9%를 차지하고 있다.

 

(1)오프라인

 

두발용 제품은 식료품 유통업체와 비식료품 유통업체를 통해 판매가 이뤄지고 있다. 식료품 유통업체를 통한 판매 비중은 27.6%, 비식료품 유통업체를 통한 판매는 49.4%로 나타났다. 주요 유통업체로는 EVA, Watsons, Prostor, Shik Blisk, Kopiyochka, Chystenko 등 H&B(Health & Beauty) 스토어가 있으며, Brocard, Bomond 등의 화장품 전문 매장도 오프라인 유통을 주도하고 있다.

 

(2)온라인


온라인 유통 채널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대표적인 온라인 유통 플랫폼으로는 화장품 전문 쇼핑몰 Makeup(https://makeup.com.ua)이 있으며, 한국 화장품만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온라인 플랫폼도 등장하고 있다. 코로나19와 러-우 사태로 온라인 쇼핑에 대한 소비자의 선호도가 더욱 높아졌으며, 2023년 우크라이나 딜로이트가 발표한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온라인 주문 빈도는 전년 대비 1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여 EVA, Watsons 등 기존 오프라인 H&B 매장들도 온라인 판매 채널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관세율

 

HS코드 330590 관세율은 6.5%이다. 특혜관세율 적용 대상 국가는 이스라엘 , 유럽 자유 무역 연합국가(EFTA), EU국가, 캐나다, 영국, 마케도니아 0%이다.

 

HS Code

국가

기본 관세율

특혜 관세율

부가세

 

 

 

3305.90

전세계

6.5%

-

 

 

 

20%

유럽 자유 무역 연합국가(EFTA), EU국가, 캐나다, 영국, 마케도니아, 이스라엘

 

 

-

 

 

0%

[자료: Qdpro]

 

인증

 

2024년 8월 3일, 우크라이나 내각 결의안 제65호에 의해 2021년 1월 20일 승인된 화장품 기술 취득(Technical Regulation)이 발효됐다. 이전까지 화장품은 SSUFSCP(State Service of Ukraine on Food Safety and Consumer Protection)기관에서 위생역학검사(Sanitary epidemiological control)를 받으면 수입/유통이 가능하도록 했다. 화장품 기술 취득(Technical Regulation)은 2026년 8월 3일 이전까지 2년의 유예 기간을 두고 화장품 기술 취득 없이도 수입/유통이 가능하다. 그러나, 2026년 8월 3일부터는 화장품 기술 취득(Technical Regulation)한 제품만이 수입/유통 가능하다.

 

화장품 기술 취득(Technical Regulation) 위해서는 책임자 지정, 정보 전자 신고 시스템, 제품 정보 파일, 제품 안전성 보고서, GMP 요구사항 준수 등이 필요하다. 2026 8 3일부터 시장에 출시될 모든 화장품에 적용된다.

 

(1) 책임자 지정

우크라이나 유통되는 화장품은 책임자(대리인) 있어야 한다. 책임자는 화장품이 우크라이나 규정의 요건을 준수하도록 보장할 책임이 있다. 책임자는 개인 또는 법인일 있으며, 상황에 따라 제조업체, 수입업자 또는 TR취득이 가능한 개인일 있다. 화장품의 용기 포장에는 책임자의 연락처 정보(이름 주소) 표시돼 있어야 한다.

 

(2) 정보 전자 신고 시스템

보건부가 운영하는 화장품 정보 전자 신고 시스템에 제품을 등록해야 한다. 홈페이지(https://moz.gov.ua/uk/gromadskeobgovorennja) 아직 운영되고 있지 않다. EU CPNP (Cosmetic Product Notification Portal) 시스템을 기반으로 개발됐다. 화장품 유형, 제품명, 책임자 정보, 원산지 정보, 연락처 정보, CMR(생식독성물질) 함유여부, 나노 물질 함유 여부, 프레임 포뮬레이션, 포장 사진 등의 정보를 기재해야 한다. 신고된 화장품에 관한 정보 변경이 있을 바로 시스템에 정보를 업데이트해야 한다.

 

(3) 제품 정보 파일

책임자는 제품 정보 파일을 준비해야 한다. 제품 설명, 제품 사용 방법, 원자재 공급업체, 제품 제조업체, 유통 기한, 포장에 대한 정보, 화장품 안전 보고서 등의 정보가 포함돼 있어야 한다.

 

(4) 제품 안전성 보고서

화장품 안정성 보고서는 제품 정보 파일에서 가장 중요한 문서다. 책임자는 제품이 시장에 출시되기 전에 인체 건강에 안전한지에 대한 안정성 평가를 수행하고 제품 안정성 보고서를 작성해야 한다. 화장품 안전성 보고서는 A파트와 B 파트로 두 가지로 구성되는 파트 A 안정성 정보, 파트B 안정성 평가로 구성된다. 안전성 보고서는 정기적으로 업데이트되어야 한다. 파트 A 책임자가 작성하고 파트B 파트 A 기반으로 전문가가 평가를 수행하고 작성해야 한다.

 

(5) GMP 요구사항 준수

화장품 생산은 제조품질관리기준(GMP)표준을 준수해야 한다. GMP EN ISO 22716 2007 인증을 요구하지는 않지만, 기준에 맞추도록 의무화하고 있다.

 

(6) 라벨링 요구 사항

유통되기 전에 우크라이나 언어로 필요한 정보를 화장품 포장에 기재해야 한다. 우크라이나어와 함께 다른 언어 부착도 가능하다.

 

시사점

 

현지 인증기관 관계자에 따르면, 향후 우크라이나에서 화장품 기술 규정(Technical Regulation) 본격 시행될 경우, 제품 가격이 20~50% 상승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제품의 성분, 포장, 제조설비, 인증 요건 등을 검토·준수하는 상당한 비용이 소요되기 때문이다. 또한, 인증기관에 따르면, 우크라이나 기술 규정은 2019, 2020 EU 화장품 규제를 기초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추후에 변경이 가능성도 높아 현재 적용되고 있는 EU화장품 규제 표준에 맞춰 대비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한편,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의 장기화에 따른 경제 불안정, 인플레이션 심화, 현지 통화 가치 하락, 세금 인상 등의 요인도 화장품 가격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있는 리스크 요소로 꼽힌다.

 

한 바이어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 헤어 케어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중상급 및 프리미엄급 제품군의 수요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단순한 샴푸·린스 브랜드보다는 트리트먼트, 세럼 등 다양한 제품군을 갖춘 브랜드가 더 높은 선호를 받고 있으며, 스킨케어와 유사한 단계별 헤어케어 방식에 대한 소비자 관심도 확대되고 있다. 현재 우크라이나 시장에서는 한국 브랜드를 포함한 전문 헤어 케어 브랜드들이 인기를 얻고 있으며, 그 외에도 Hadat(이스라엘), BJÖRN XÉN(스위스), DAVROE(호주), REF(스웨덴) 등의 브랜드가 현지 시장에서 선호되고 있다. 대부분의 우크라이나 기업들이 한국 제품의 품질과 브랜드 경쟁력을 높이 평가하고 있기 때문에,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한 두발용 전문 기업의 경우, 현지 시장에서 충분한 진출 가능성과 성장 잠재력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Cratia, ISEI, Makeup, Euromonitor, 통계청, GTA, KOTRA 키이우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우크라이나 두발용 제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