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붐과 함께 성장하는 말레이시아 아스팔트 슁글 시장
- 트렌드
- 말레이시아
- 쿠알라룸푸르무역관 최혜민
- 2025-07-23
- 출처 : KOTRA
-
말레이시아 건설 시장 호황으로 아스팔트 슁글 지붕재 수요 증가
브랜드 신뢰도와 기능성 기반의 시장 구도 파악 필요
말레이시아 지붕재 시장에서 아스팔트 슁글(asphalt shingles)이 주목받고 있다. 2024년 말레이시아의 아스팔트 슁글 수입액은 141만 7,410달러(약 6,100만 MYR)로 전년 대비 86.8% 증가했으며, 특히 미국, 캐나다,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이 전체의 76.8%를 차지하는 등 특정 국가 의존도가 높게 나타났다.
HS Code 680790에 해당하는 아스팔트 슁글은 석유, 역청, 석탄타르피치 등 유사 물질로 구성된 방수 지붕재로, 롤 형태가 아닌 판형으로 유통된다. 주거용 및 상업용 건축물에서 널리 사용되며, 설치가 간편하고 유지관리 비용이 적다는 점, 비교적 저렴한 단가 덕분에 가격 민감도가 높은 소비자층에서 선호된다. 평균 수명이 20~30년에 달하며, 일부 제품은 재활용 소재로 제조돼 친환경 건축재로도 주목받고 있다.
<아스팔트 슁글 이미지>
[자료: 챗GPT AI생성]
시장 동향 및 수입 증가 배경
2025년 1분기 말레이시아 건설 시장은 총 36억4000만 달러(약 156억5000만 MYR) 규모의 국내 공사 계약이 체결되며 전년 동기 대비 135% 성장하는 등 강세를 보였다. 이러한 성장세는 정부 주도의 인프라 프로젝트와 민간의 데이터센터 신축 수요 증가에 따른 것으로, 아스팔트 슁글 수요 역시 이에 따라 급증한 것으로 분석된다. 주요 수요처로는 페낭 경전철(Penang LRT), 페낭 국제공항 증축공사, 병원 신축공사 등이 있으며, 이들 프로젝트에는 다양한 형태의 지붕재가 사용된다.
특히 아스팔트 슁글은 외형적으로 고급스러운 질감과 패턴을 구현할 수 있고, 시공이 용이한 장점 때문에 고층 아파트와 주택, 상업 건물 등 다양한 건축 유형에 적용되고 있다.
<2020~2025년 말레이시아 아스팔트 슁글 수입 추이>
[자료: S&P Global,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가공]
2024년 기준 말레이시아의 아스팔트 슁글 수입은 전년 대비 86.8% 증가한 141만7410달러(약 6100만 MYR)를 기록했다. 국가별 수입 비중은 미국이 28.9%(약 1760만 MYR)로 1위, 캐나다 25.5%(약 1550만 MYR), 중국 22.4%(약 1370만 MYR) 순이었다. 한국은 4.9%(약 300만 MYR)로 5위를 차지했으며, 2025년 3월 기준 수입 비중이 10.5%까지 확대돼 4위 수출국으로 부상했다.
말레이시아는 아스팔트 슁글 대부분을 해외에서 수입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 GAF, 캐나다 IKO, 인도네시아 CTI 브랜드가 유통되고 있다. 이러한 수입 중심의 시장구조는 현지 시공사 및 유통업체들이 검증된 브랜드와 성능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이에 따라 한국 제품도 품질 인증 및 가격 경쟁력을 갖출 경우 추가적인 시장 진입 여지가 있다는 평가다.
유통 구조 및 경쟁 구도
말레이시아의 아스팔트 슁글 유통 시장은 해외 브랜드 기반 수입 제품 중심으로 형성돼 있으며, 시장 내 유통 및 시공은 일부 전문 기업들이 주도하고 있다. 주요 유통업체로는 Probuild Venture Sdn Bhd, BMI Roofing Systems Sdn Bhd, Aathaworld Sdn Bhd, Edaran Prestasi Sdn Bhd, Premium Rooftop Marketing (M) Sdn Bhd 등이 있다. 이들은 말레이시아 시장에서 널리 알려진 해외 브랜드인 미국 GAF, 캐나다 IKO, 인도네시아 CTI 제품을 주력으로 유통하고 있으며, 제품 특성에 따라 다양한 주거 및 상업 건축 프로젝트에 납품되고 있다.
<말레이시아 유통 아스팔트 슁글 주요 브랜드 및 특징>
브랜드
주요 유통업체
대표 제품
특징
GAF (미국)
Probuild Venture Sdn Bhd
Royal Sovereign, Timberline HD 등
평생 보증, Class A 화재등급, 고풍속·방부 기능
IKO (캐나다)
Belleza Dulce, Yongyang, Builtory 등
IKO Cambridge, Dynasty, Nordic
내풍압성, 조류저항성
CTI (인도네시아)
Edaran Prestasi Sdn Bhd
CTI5, CTI6
접착성 아스팔트 뒷면에 보호필름을 부착해 자체 접착 기능
시공 편의성 강화
[자료: 각 홈페이지,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종합]
말레이시아에서 건축 자재를 유통하는 Premium Rooftop Marketing (M) Sdn Bhd의 비즈니스 개발부서 관계자는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지붕재 시장은 경쟁이 매우 치열하며, 말레이시아의 물가 상승에 따라 소비자들이 제품 가격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는 가격 대비 품질이 뛰어난 제품에 대해 항상 열린 자세를 갖고 있으며, 다양한 고객층에 맞는 경쟁력 있는 가격의 지붕재를 선호한다”고 강조했다. 이 회사는 미국 GAF 브랜드를 중심으로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일부 고객은 한국, 중국 등 아시아 브랜드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건축 자재 유통사 Aathaworld Sdn Bhd의 구매 부서 관계자는 “말레이시아 지붕재 시장에는 다양한 제조사와 유통업체가 존재하며, 기능성과 차별화된 장점을 갖춘 제품이 시장에서 생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단순히 가격 경쟁에만 집중하는 제품보다는 방수성, 내후성, 친환경성 등 실질적인 기능성을 갖춘 혁신적 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며,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기술 차별화가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처럼 말레이시아 아스팔트 슁글 시장은 가격과 기능을 동시에 고려한 복합적 제품 선호 성향을 보이고 있으며, 단순한 저가 경쟁에서 벗어나 브랜드 신뢰도와 기능성 기반의 시장 구도가 점차 자리 잡고 있다. 특히 유통업체들은 합리적인 가격과 더불어 내구성과 친환경성, 설치 용이성을 갖춘 제품을 찾고 있어, 기능성과 품질 인증을 갖춘 제품이 향후 경쟁력을 갖출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사점
말레이시아 아스팔트 슁글 시장은 건설 수요 확대와 더불어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시장 진입을 위한 전략적 고려가 필요하다. 특히 미국, 캐나다 등 북미 브랜드에 대한 시장 선호도가 높고, 가격에 민감한 소비자 특성이 뚜렷한 만큼 단순한 가격 경쟁보다는 기능성과 인증을 갖춘 고부가가치 제품 전략이 요구된다.
한국 제품의 경우, 방수성, 내후성, 시공 용이성 등에서 충분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말레이시아 기준의 품질 인증 확보와 현지 레퍼런스 구축을 통해 시장 신뢰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2025년 3월 기준 한국 제품의 수입 점유율이 급등하여 4위 수출국으로 올라선 것은 시장 확대 가능성을 시사하며, 이를 계기로 현지 유통 파트너십 확대 및 브랜드 가시성 강화 전략을 추진할 수 있다.
또한, 말레이시아 정부의 ‘Green Technology Master Plan 2017–2030’과 ‘NIMP 2030’ 등 산업 고도화 및 친환경 정책 흐름에 맞춰, 재활용 소재 기반 제품, 태양광 패널 부착형 슁글, 열 차단 기능성 제품 등으로의 제품 다각화도 고려해야 한다. 이는 단순한 지붕재를 넘어 친환경·에너지 효율 지붕재로의 진화를 통해 차별화된 시장 포지셔닝을 확보하는 전략이 될 수 있다.
현지 유통망이 비교적 폐쇄적이고 주요 유통사가 북미 브랜드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도 간과할 수 없는 현실이다. 따라서 초기 진입 시에는 현지 대형 프로젝트 중심의 B2B 채널 확보, 공공·민간 공동주택 개발사업 참여, 현지 건축사무소 및 시공사 대상 제품 설명회 개최 등 직접 유통 진입보다는 전략적 제휴 및 간접 유통망 활용을 병행할 필요가 있다.
자료: thestar, iproperty, ihsmarket, cidb, mobilityforesights, nikkata, GAF, CTI, IKO 등 KOTRA 쿠알라룸푸르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건설붐과 함께 성장하는 말레이시아 아스팔트 슁글 시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쿠웨이트, 프리미엄 유아·아동용품 수요 확대
쿠웨이트 2025-07-23
-
2
전력 수요 늘어나는 베트남... 장비 수출 및 프로젝트 진출 기회 확대
베트남 2025-07-22
-
3
스마트시티로 진화하는 멕시코, 치안이 부른 보안 기술
멕시코 2025-07-23
-
4
전력망 개편 나선 필리핀, 고사양 변압기 수입 수요 급증
필리핀 2025-07-22
-
5
중국 반려동물용 공기청정기 시장 동향
중국 2025-07-23
-
6
인도네시아 절연전선케이블 시장동향
인도네시아 2025-07-22
-
1
2025년 말레이시아 반도체산업 정보
말레이시아 2025-06-10
-
2
말레이시아 전기차 산업 현황과 향후 전망
말레이시아 2024-08-13
-
3
2024년 말레이시아 스마트 농업 산업 정보
말레이시아 2024-04-09
-
4
2021년 말레이시아 ICT산업
말레이시아 2022-01-14
-
5
2021년 말레이시아 자동차 산업 정보
말레이시아 2022-01-13
-
6
2021년 말레이시아 신재생에너지 산업
말레이시아 2022-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