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태국 베이커리 시장동향
- 상품DB
- 태국
- 방콕무역관 김지현
- 2025-07-23
- 출처 : KOTRA
-
2024년 태국 베이커리 시장은 약 15억 달러 규모로 성장
한국산 제품은 전년 대비 15.6% 증가한 383만 달러를 기록
디저트 전문점, 소셜미디어 홍보가 활발하며 고급 베이커리 수요 주도
상품명 및 HS코드
HS Code 1905.90은 ‘기타 빵·과자류’로 분류되며, 포장빵, 케이크, 페이스트리, 냉동 베이커리류, 디저트 믹스, 타르트 등 다양한 베이커리 제품을 포함한다. 이들 제품은 아침 식사, 간편식, 간식, 디저트 등 다양한 목적으로 소비되며, 특히 가공·포장된 형태로 유통되는 제품들이 중심이다. 해당 품목은 태국 내 주요 소매유통 채널뿐만 아니라 외식업 및 관광산업에서도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어 시장 분석의 대표 코드로 활용될 수 있다.
<상품명 및 HS 코드>
HS 코드
품목명
1905
빵ㆍ파이ㆍ케이크ㆍ비스킷과 그 밖의 베이커리 제품(코코아를 함유했는지에 상관없다), 성찬용 웨이퍼ㆍ제약용에 적합한 빈 캡슐ㆍ실링웨이퍼(sealing wafer)ㆍ라이스페이퍼(rice paper)와 그 밖에 이와 유사한 물품
Bread, pastry, cakes, biscuits and other bakers' wares, whether or not containing cocoa; communion wafers, empty cachets of a kind suitable for pharmaceutical use, sealing wafers, rice paper and similar products.
1905.90
기타, 베이커리 제품Other, Bakers' wares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태국 관세청(Thai Customs)]
시장동향
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2024년 태국 베이커리 시장은 소매 판매 기준 약 483억 바트(약 15억 달러) 규모로 성장했으며, 전년 대비 약 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포장빵과 케이크류는 빠르고 간편한 식사를 선호하는 소비자의 수요에 힘입어 특히 강한 성장세를 보였으며, 편의성과 경제성을 중시하는 아침 식사 대용 제품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슈퍼마켓 및 편의점의 자체브랜드(PB) 제품이 품질과 가격 측면에서 균형을 이뤄 인기를 끌고 있다.
<2023~2029년 태국 베이커리 제품 시장 규모>
(단위: 백만 바트)
[자료: 유로모니터(Euromonitor)]
태국 관광체육부에 따르면, 2024년 한 해 동안 태국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 수는 3500만 명을 넘어섰으며, 이에 따라 외식업과 호텔, 디저트 카페 등에서의 베이커리 제품 수요도 동반 확대됐다. After You, Le Café Louis Vuitton 등 소셜미디어(틱톡,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를 통한 홍보가 활발한 디저트 전문점들은 고급 베이커리 수요를 주도하고 있으며, 특히 페이스트리(Pastries) 부문은 2024년 한 해 동안 8.1%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시장 내 가장 두드러진 성과를 보였다. 이러한 트렌드는 소셜미디어에 공유하기 좋은 비주얼과 건강·프리미엄 이미지를 결합한 제품에 대한 소비자 선호를 반영하고 있다.
수입규모
조사기관 Global Trade Atlas에 따르면, 태국의 베이커리 제품(HS Code 1905.90) 수입은 2020년 이후 꾸준히 증가해 2024년에는 전년 대비 2.3% 증가한 약 1억3662만 달러를 기록했다. 말레이시아는 2024년 기준 약 6301만 달러 수출로 태국 최대 수입국 지위를 유지했지만, 수입액은 전년 대비 5.6% 감소하며 하락세를 보였다. 반면, 2024년 기준 한국산 베이커리 제품 수입은 전년 대비 15.6% 증가한 383만 달러로 집계되며, 전체 수입국 중 6위를 차지했다.
<2020~2024년 태국 베이커리 제품(HS Code 1905.90) 수입액 규모>
(단위: US$ 천, %)
순위
국가
2020
2021
2022
2023
2024
증감률
('23/'24)전체
86,909
94,689
115,112
133,542
136,618
2.30
1
말레이시아
55,933
52,845
58,582
66,786
63,011
-5.65
2
중국
4,393
11,747
13,002
16,127
22,126
37.19
3
베트남
7,062
6,089
10,101
13,727
15,890
15.76
4
인도네시아
752
1,838
4,165
8,500
7,599
-10.60
5
일본
5,132
5,621
7,090
7,393
7,537
1.95
6
한국
2,343
2,563
3,253
3,316
3,834
15.62
7
프랑스
1,504
3,101
3,445
1,986
2,317
16.65
8
스페인
993
1,249
1,814
1,938
2,004
3.41
9
이탈리아
658
747
1,092
1,839
1,959
6.51
10
영국
1,000
1,144
1,235
1,301
1,312
0.85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07.18.)]
유통구조
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태국의 베이커리 제품은 다양한 유통채널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된다. 슈퍼마켓, 하이퍼마켓(Big C, Lotus’s, Makro 등)은 포장빵과 냉동 디저트의 주요 판매처로, 대량 유통과 프로모션을 통한 소비자 유입이 강점이다. 편의점(7-Eleven 등)은 자체 브랜드 중심으로 단품형 베이커리류 판매를 확대하고 있으며, 간편한 소비를 원하는 직장인 및 학생층에 인기를 끌고 있다.
한편, 2024년 기준 태국 내 베이커리 제품의 오프라인 유통망 중 소규모 식료품점을 통한 유통 비중이 26.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어서 식품 전문점이 25.6%, 대형마트 22.1%, 편의점 18.5%, 슈퍼마켓 6.0% 순으로 조사됐다. 반면, 이커머스(1.1%)와 기타 비식료품점(0.1%)의 비중은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2024년 기준 태국의 베이커리 제품 유통 비중>
(단위: %)
[자료: 유로모니터(Euromonitor)]
경쟁동향
태국 베이커리 시장은 대형 제조사와 로컬 브랜드, 수제 베이커리, 유통채널 자체브랜드(PB) 상품이 혼재된 다층적 경쟁구조를 보이고 있다. 2024년 기준, President Bakery PCL은 자사 브랜드 ‘Farmhouse’를 앞세워 소매 가치 기준 19.6%의 시장 점유율로 1위를 차지했으며, CPRAM Co Ltd(Le Pan)가 14.5%로 뒤를 이었다. S&P, Euro, Cubic 등의 중견 브랜드도 각각 고유의 제품 라인업과 마케팅 전략으로 시장 내 입지를 유지하고 있다.
<태국 주요 베이커리 제품 업체 현황>
회사명
PRESIDENT BAKERY PUBLIC COMPANY LIMITED
본사
태국
설립일자
2002년 7월 19일
지분 구조
태국 99.8%, 외국 0.2%
매출액(2024)
약 77억222만 바트(약 2억3778만 달러)
브랜드 및 로고
주요 판매제품
홈페이지
https://www.farmhouse.co.th/home
회사명
CPRAM CO., LTD.
본사
태국
설립일자
1988년 12월 12일
지분 구조
태국 100%
매출액(2024)
약 314억5161만 바트(약 9억7081만 달러)
브랜드 및 로고
주요 판매제품
홈페이지
https://www.cpram.co.th/th/index.php
회사명
S & P SYNDICATE PUBLIC COMPANY LIMITED
본사
태국
설립일자
1994년 4월 20일
지분 구조
태국 99.8%, 외국 0.2%
매출액(2024)
약 58억2640만 바트(약 1억7983만 달러)
브랜드 및 로고
주요 판매제품
홈페이지
https://www.snpfood.com/en/home
회사명
EUROPEAN BAKERY CO., LTD.
본사
태국
설립일자
1991년 11월 25일
지분 구조
태국 100%
매출액(2024)
약 3억2204만 바트(약 994만 달러)
브랜드 및 로고
주요 판매제품
홈페이지
[자료: Corpus X, 사업개발부(DBD), 각 기업 홈페이지 및 KOTRA 방콕 무역관 정리]
수제 제과점 및 PB 제품은 전체 시장의 약 36% 이상을 차지하며 강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들은 기존 대형 브랜드와는 차별화된 재료, 계절 한정 메뉴, 독창적 비주얼 등을 무기로 틈새 소비층을 공략하고 있다. 특히 Z세대 및 밀레니얼 세대는 건강함과 함께 소셜미디어의 ‘공유 가치’까지 중요시하며, 인스타그램, 틱톡 등에서 유행하는 베이커리 카페가 새로운 트렌드 형성에 영향을 주고 있다.
이 외에도 After You, Koff & Bun, April Trees 등 프리미엄 디저트 카페 및 로컬 수제 베이커리점은 신제품 및 트렌디한 맛·비주얼을 앞세워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최근에는 라자다(Lazada), 쇼피(Shopee), GrabMart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을 통한 냉동 베이커리 배송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태국 주요 프리미엄 베이커리 브랜드>
회사명
AFTER YOU PUBLIC COMPANY LIMITED
본사
태국
설립일자
2016년 3월 28일
지분 구조
태국 97%, 외국 3%
매출액(2024)
약 15억3357만 바트(약 4737만 달러)
브랜드 및 로고
주요 판매제품
홈페이지
https://www.afteryoudessertcafe.com/th/
회사명
BTM (THAILAND) COMPANY LIMITED
본사
태국
설립일자
2014년 7월 17일
지분 구조
태국 100%
매출액(2024)
약 3억8982만 바트(약 1205만 달러)
브랜드 및 로고
주요 판매제품
홈페이지
https://www.breadtalk.com/
회사명
BAKEHOUSE COMPANY LIMITED
본사
태국
설립일자
2013년 10월 31일
지분 구조
태국 100%
매출액(2024)
약 1억6874만 바트(약 521만 달러)
브랜드 및 로고
주요 판매제품
홈페이지
https://www.paulthailand.com/
[자료: Corpus X, 사업개발부(DBD), 각 기업 홈페이지 및 KOTRA 방콕 무역관 정리]
관세율 및 인증
베이커리 제품(HS 1905.90)은 일반적으로 30%의 기본 관세율이 적용되지만,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FTA) 또는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을 활용할 경우 관세 면제 혜택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수입 전에는 태국 식약청(FDA)의 수입허가 및 제품 등록 절차를 반드시 이행해야 한다.
<태국 베이커리 제품(HS 1905.90) 수입관세>
HS 코드 품목명
1905.90 기타(Other)
수입관세
- 일반 세율: 30%
- 한-아세안 FTA 협정세율: 면제- RCEP 협정세율: 면제(원산지 증명서 제출 필요)
부가가치세
7%
[자료: 태국 관세청 통합관세조회시스템]
태국은 식품법(The Food Act, B.E. 2522)에 따라, 대부분의 수입식품에 대해 태국 식약청(FDA)을 통한 수입허가 및 제품 등록 절차를 의무화하고 있다. 식약청은 식품을 ① 구체적 통제 식품(Specific Controlled Food), ② 표준 식품(Standardized Food), ③ 라벨 부착 의무 식품(Food Requiring Labeling), ④ 일반 식품(General Food)의 4가지 범주로 분류하며, 일반적인 포장 베이커리 제품은 ‘라벨 부착 식품’에 해당된다.
해당 제품을 수입하려면, 수입업체는 수입업체 등록 신청서, 제품 등록 신청서, 필요시 특수목적식품 등록 신청서 등을 제출해야 하며, 신규 업체의 경우 사업자 등록과 제조사 정보도 함께 등록해야 한다. 행정 처리 기간은 수입업체 등록 약 7영업일, 제품 등록 약 1~2영업일이다. 제품 등록은 1회 등록으로 영구 유효하며, 수입자 등록(수입허가)은 3년마다 갱신해야 한다.
시사점
태국 베이커리 시장은 빠른 라이프스타일, 외식 및 관광산업 성장, 소셜미디어 기반 소비 트렌드에 힘입어 지속적인 확장세를 보이고 있다. 수입 측면에서도 베이커리 제품의 수입액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한국산 제품도 전년 대비 15.6% 증가하며 시장 내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오프라인 유통망에서는 소형 식료품점과 전문점 중심의 유통이 여전히 강세이지만, 프리미엄 디저트 카페 및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소비도 빠르게 증가 중이다. 시장 경쟁은 대형 브랜드, 자체브랜드(PB), 수제 베이커리 간 다층화돼 있으며, 건강·비주얼·한정성 등의 요소를 갖춘 제품이 Z세대 및 밀레니얼 세대의 주요 선택지로 부상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자료: 관세법령정보포털, 태국 관세청(Thai Customs), 태국 관세청 통합관세조회시스템, 유로모니터(Euromonitor), Global Trade Atlas, Corpus X, 사업개발부(DBD), 현지 언론, 각 기업 홈페이지 및 KOTRA 방콕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태국 베이커리 시장동향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디지털로 태어나 팬덤을 만들다, 미국 신생 브랜드의 성공 전략
미국 2025-07-24
-
2
딥테크 국가 전략이 바꾼 풍경...스위스, 재해를 예측하다
스위스 2025-07-24
-
3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희토류 산업 현황 및 전망
남아프리카공화국 2025-07-23
-
4
스마트 농업의 진화, 미국 무토양(Soilless) 재배 시장 동향
미국 2025-07-23
-
5
중국 소비 진작 정책 그 후, 통계로 알아보는 2025년 상반기 중국 소비
중국 2025-07-24
-
6
건설붐과 함께 성장하는 말레이시아 아스팔트 슁글 시장
말레이시아 2025-07-23
-
1
2025년 태국 데이터 센터 산업 정보
태국 2025-05-30
-
2
2025년 태국 보석산업 정보
태국 2025-03-06
-
3
2024년 태국 금융산업 정보
태국 2024-05-10
-
4
2024 태국 물류산업 정보
태국 2024-04-11
-
5
2024 태국 건설산업 정보
태국 2024-04-09
-
6
2024년 태국 관광산업 정보
태국 2024-01-24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