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라오스 헤어케어 시장 동향
  • 상품DB
  • 라오스
  • 비엔티안무역관 정태연
  • 2025-07-23
  • 출처 : KOTRA

퍼스널 케어 열풍 속 라오스 헤어케어 시장 성장

‘K-뷰티’ 효과로 한국 브랜드, 라오스 시장 점유율 상승세

상품명 및 HS코드


HS CODE 330590: 기타 두발용 제품(헤어린스, 헤어크림 등)

 

헤어케어 시장 동향

 

동남아시아 전역에서 퍼스널 케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라오스의 헤어케어 시장 역시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 3년간 Big C몰, 콕콕마트, 세븐일레븐 등 유통망이 확장하며 샴푸, 컨디셔너 외에 헤어 트리트먼트, 세럼, 천연오일 등의 다양한 제품군이 유통되고 있다.

 

라오스는 여타 제품과 마찬가지로 상당수의 헤어케어 제품을 태국을 통해 수입하고 있다. 최근에는 라오스 소비자들이 SNS로 접한 태국의 뷰티 트렌드에 빠르게 반응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헤어케어 시장에서 태국 브랜드의 영향력도 한층 강화되고 있다.

 

한편, 태국 제품의 강세에도 불구하고 젊은 소비자를 중심으로 K-헤어케어 제품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라오스 내 대표 뷰티 스토어(VIISA BEAUTY) 구매 담당자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최근 한국산 헤어제품 중 헤어스프레이와 헤어 오일이 좋은 향기로 인기를 얻고 있다고 한다. 이러한 인기는 틱톡, 페이스북 등을 통해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 태국 인플루언서들이 한국에서 올리브영 쇼핑 브이로그를 통해 추천하는 제품들이 주목받고 있다고 답했다.

 

소비 동향

 

라오스는 열대 기후 특성상 연중 모발 건강 관리가 요구된다. 고온, 강한 자외선, 건기에 악화되는 대기오염 등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곱슬거림, 지성 두피, 비듬, 모발 손상 등이 자주 발생한다. 이러한 이유로 라오스 소비자들은 건기와 우기 등 계절에 따라 헤어케어 방식을 달리하는 경향을 보이며, 신제품에 대한 수용성도 높은 편이다. 특히, 제품이 기능적인 효과를 충족할 경우, 높은 브랜드 충성도를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연령대에 따라 선호하는 헤어케어 제품이 다른 것도 특징이다. 라오스 젊은 층은 머릿결을 예쁘고 향기 좋게 유지해 주는 제품을 선호하며, 이에 따라 케라틴·비타민·미셀라 워터 등의 기능성 성분과 향수 성분이 함유된 제품을 찾는 경향이 있다. 반면, 35세 이상 소비자들은 탈모 예방과 모발 성장에 도움을 주는 유기농 및 허브 제품에 관심이 높으며, 천연 원료가 함유된 제품을 구매하는 편이다.

 

수입 동향

 

라오스 시장에는 로컬 제품 외에도 태국, 미국, 프랑스, 한국 등 다양한 국가의 수입 제품이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 3년간 꾸준히 증가하던 수입 규모는 2024년에 처음으로 감소세를 보였다. 이는 환율 급등에 따른 수요 조정, 공급 과잉으로 인한 재고 우선 소진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더해, 코로나 기간 국경이 봉쇄되면서 태국으로의 직접 쇼핑이 어려워졌고, 그로 인해 공식 수입통계에 잡히지 않는 온라인 구매가 늘어난 점도 주요한 원인 중 하나로 작용했을 가능성이 있다.

 

특히 최근에는 인스타그램, 틱톡, 페이스북 등 SNS를 기반으로 한 개인 또는 소규모 셀러들이 태국 등에서 제품을 소량 수입해 비공식적으로 유통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인플루언서의 실사용 후기 등을 참고해 SNS를 통해 사전 주문하거나, 공동 구매 또는 직구 방식으로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태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중은 87.4%로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있으며, 태국 자체 브랜드보다 Sunsilk, Dove, Clear, Rejoice 등의 글로벌 브랜드가 태국 현지에서 제조돼 라오스로 수입되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산 제품의 비중도 꾸준히 확대돼 2024년 기준 수입대상국 중 2위를 차지했다.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등을 유통하는 Be Beauty Shop 대표와의 인터뷰에 따르면, 한국 제품은 매장 내 꾸준한 매출 상승을 이어가고 있다고 한다. 탈모 방지 헤어영양 등의 중저가 고기능 헤어케어 제품이 인기가 많으며, 해당 업체는 Etre Doux 한국산 브랜드를 수입해 유통하고 있다.

 

<최근 5개년 라오스 국별 헤어케어 제품 수입동향>

 (단위: US$, %)

국가

2020

2021

2022

2023

2024

비중

태국

2,465,151

2,595,678

2,896,014

3,809,024

3,363,667

87.4

한국

9,048

37,749

56,155

169,239

251,107

6.5

일본

33,561

78,483

89,055

284,365

142,947

3.7

인도네시아

141,997

79,926

97,700

118,694

78,082

2.0

인도

-

-

2,601

-

6,078

0.2

독일

19,423

41,981

5,176

-

4,523

0.1

중국

15,567

-

780

130,925

2,592

0.1

이탈리아

28933

-

-

-

-

-

미국

-

-

16000

-

-

-

러시아

9258

-

-

-

-

-

전 세계 총합

2,728,555

2,834,085

3,163,835

4,512,531

3,848,996

100

주: HS CODE 330590 기준, 비중은 2024년 기준으로 산출 및 정렬

[자료: Global Trade Atlas]

 

유통 동향

 

태국 및 라오스 브랜드는 50ml~500ml 기준 개당 1~10달러로 가장 저렴한 편이다. 최근에는 태국 브랜드를 중심으로 향이 오래 지속되는 프리미엄 제품이 출시되며, 3~12달러로 가격대가 소폭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태국 수입 제품은 현지 수입업체가 전문 유통업체나 도매상에 납품 후, 편의점, 슈퍼마켓, 드럭스토어, 미용실, 뷰티숍 등 다양한 소매 채널을 통해 소비자에게 판매된다.


라오스 자체 생산 제품의 경우, 제조업체가 직접 유통하거나 지역별 대표 유통망을 통해 시장에 공급되며, 최근에는 페이스북, 틱톡 기반 온라인 판매도 활발히 활용되고 있다.

 

한국 브랜드의 경우 400~600ml 대용량 기준 3~10달러에 판매되고 있으며, 두피 강화, 탈모 예방, 저자극 기능을 갖춘 제품이 현지 소비자들 사이에서 인기를 얻고 있다. 주로 콕콕마트 등 한국계 유통망을 통해 시장에 공급되고 있다.

 

일본 브랜드는 프리미엄 제품으로 분류돼 일본 슈퍼마켓 및 고급 매장에서 주로 판매되고 있으며, 개당 10~15달러의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주로 완성도 높은 제조 품질과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를 선호하는 고소득층 소비자들로부터 호응을 얻고 있다.

 

<주요 헤어케어 제품>

제품 사진

브랜드

제품명

가격(US$) 및 용량

국가

컨디셔너

Dove

Micellar vitamin conditioner

가격: USD 6.22

용량: 410 ml

미국

Pantene

Micellar detox & hydrate rose water extract conditioner

가격: USD 4.84

용량: 530 ml

프랑스

헤어 트리트먼트

Lolane

Nourish colored hair by Color Shield System from Sunflower

가격: USD 4.19

중량: 500 g

태국

L’oreal

Elseve Hair Mask Cream Color Protection

가격: USD 9.22

용량: 310 ml

프랑스

Tsubaki

Premium Ex Repair Mask

가격: USD 11.16

중량: 180 g

일본

Fino

Premium Touch Hair Mask

가격: USD 11.85

중량: 230 g

일본

Caring Hair Expert

Original Hair Treatment

가격: USD 4.05

용량: 500 ml

태국

Thongsuk

Butterfly pea, Litsea glutinosa, Thai Herbal Treatment

가격: USD 1.75

용량: 250 ml

태국

헤어 토닉

Bergamot

Extra Hair Tonic

가격: USD 9.91

용량: 100 ml

태국

Wanthai

Ginseng Hair Tonic Spray

가격: USD 7.24

용량: 100 ml

태국

헤어 오일 및 헤어 세럼

미쟝센

(Mise en scène)

Perfect serum

(Hair essence)

가격: USD 10.60

용량: 80 ml

한국

주: 환율은 2025년 6월 27일 BCEL 은행 기준

[자료: KOTRA 비엔티안 무역관 직접촬영]

 

경쟁동향

 

Unilever Laos, CI Trading 등 주요 유통업체는 Sunsilk, Dove, Clear, Rejoice, Head & Shoulders, Pantene 등의 글로벌 인기 브랜드를 중심으로 태국에서 수입해 유통하고 있다. 이들 브랜드는 가격 경쟁력과 인지도, 유통 편의성을 바탕으로 라오스 현지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다.

 

Kok Kok M은 대표 한국계 유통업체로, 헤어케어 분야에서 한국산 제품의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Phin Tokyo는 일본산 제품 전문 유통업체로, 자체 매장뿐만 아니라 타 소매점 및 슈퍼마켓에도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라오스 내 주요 유통업체>

로고

기업명

정보

Unilever Services Laos (Sole) Co., Ltd

Unilever Laos는 Unilever Thailand의 자회사로, Dove, Sunsilk, Clear 등의 헤어케어 브랜드를 보유한 글로벌 소비재 기업

CI Trading Import-Export Sole Co., Ltd.

P&G, Head & Shoulders, Rejoice, Pantene 등 브랜드의 유통업체

Kok Kok M Company Limited

한국산 제품을 비롯한 소비재를 판매하는 유통 및 소매 전문 기업

Phin Tokyo Plaza

일본 제품을 판매하는 유통 및 소매업체

 [자료: KOTRA 비엔티안 무역관 자체조사]

 

인증 및 관세

 

라오스 보건부 화장품 품질관리규정(Decision No. 2580/MoH, 2003년 11월 12일)에 따라, 헤어케어를 포함한 화장품을 수입하는 기업은 라오스 보건부 식품의약국에 정식 신고(Notification) 절차를 이행해야 한다.

 

<화장품 수입신고 필수서류>

라오스 보건부 식품의약국

(Food and Drug Department, Ministry of Health)

홈페이지: www.fdd.gov.la

필요 서류:

  • 제품성분분석표(Formulation)
  • 허가서(Authorization Letter)
  • 분석증명서(Certificate of Analysis)
  • 라벨 및 일괄 배치(Labels and Batch Coding System)
  • 라오어 표기 라벨 또는 스티커(Labels or Stickers in the Lao language)
  • 클레임 서포트 보고서(Claim Support Summary
  • 부작용 사례 보고서(Undesirable Health Effects Summary)
  • 안전성 평가 보고서(Safety Assessment Summary)

참고 : GMP 인증서는 업체가 자체 보관해야 함

[자료: 라오스 보건부 식품의약국]

 

HS 코드 3305 기준 헤어케어 제품의 일반 관세율은 20%,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에 따라 한국산 제품에는 0% 관세율이 적용된다.

 

<헤어케어 제품 관세율표>

연번

관세 코드

그룹 설명

구분

세율

단위

1

Normal

일반 관세율

Import

20

KG

2

MFN

최혜국대우(WTO)

Import

6.5

KG

3

ATIGA

아세안 상품무역협정

Import

0

KG

4

AKFTA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

Import

0

KG

[자료: Lao Trade Portal]


시사점

 

라오스 헤어케어 시장은 고온, 자외선, 대기오염 등 열대 기후로 인한 환경적 요인에 따라 두피 케어 및 손상모 개선 제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으며, 기능성 중심의 소비 성향도 점차 뚜렷해지고 있다.

 

현재 시장은 Unilever Laos, CI Trading 등을 통해 유통되는 글로벌 브랜드(Sunsilk, Dove, Clear, Rejoice, Head & Shoulders 등)가 높은 브랜드 인지도와 접근성, 경쟁력 있는 가격을 기반으로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MZ세대를 중심으로 한국산 제품에 대한 관심이 빠르게 확산되며 새로운 시장 기회가 열리고 있다. 실제로 라오스 소비자들은 한국을 방문한 지인에게 제품 구매를 부탁하거나, 현지 온라인 스토어 및 SNS 기반 셀러를 통해 사전 주문 및 공동 구매 방식으로 한국산 제품을 적극적으로 소비하고 있다.

 

실제로 현지 유통 바이어인 Be Beauty Shop에 따르면, 한국산 헤어케어 제품은 라오스 시장에서 안정적인 판매 흐름을 보이고 있다. 특히 Etre Doux와 같은 브랜드는 두피 진정, 탈모 관리, 보습 등 실질적 기능성을 갖춘 제품으로 현지 소비자의 니즈에 부합하며 점진적이지만 지속적인 수요를 유지하고 있다.

 

이러한 판매 흐름을 기반으로, Be Beauty Shop은 한국 기업의 라오스 시장 진출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도 함께 제시했다. 첫 번째는, 인기 제품과 유사한 효능을 갖춘 ‘가성비 중심 제품’의 개발이다. 이는 최근 MZ세대 사이에서 확산되고 있는 ‘Dupe(듀페)’ 트렌드와도 일치한다. 명품 브랜드와 유사한 효과를 제공하면서도 가격은 훨씬 합리적인 제품을 찾는 소비 성향이 두드러지며, 이는 헤어케어 제품군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한국 기업은 고가 글로벌 브랜드와의 단순 경쟁보다는, 유사한 효능·감성·패키징을 갖춘 전략 제품으로 MZ세대의 심리와 수요를 공략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두 번째 전략은, 거래 조건 측면에서의 유연성 확보다. Be Beauty는 품질과 가격 경쟁력뿐 아니라 최소 주문 수량(MOQ)을 중요한 진출 요소로 지적했다. 이는 한국 기업이 라오스에 진출할 때, 단순한 제품력만으로는 바이어와의 협력을 지속하기 어렵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중소 유통업체가 많은 라오스 시장 구조를 고려할 때, 초기 진입 단계에서는 소량 주문 대응, 샘플 제공, 유통 마진 조정 등 실무적 협상력이 중요한 경쟁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파트너사와의 유연한 협력 조건 마련이 필요하다.

 

세 번째는, 디지털 기반 마케팅 전략의 강화다. Be Beauty는 매장 내 판매사원을 통한 체험 중심 마케팅을 운영하고 있지만, 동시에 디지털 플랫폼을 통한 브랜드 확산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 실제로 헤어 오일, 세럼 등 일부 품목에서는 올리브영, 태국 뷰티 블로거, SNS 콘텐츠 등을 통해 전파된 K-뷰티 이미지가 소비자의 구매 결정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인플루언서 협업, 실사용 리뷰, 쇼트폼 콘텐츠 등 온라인 기반 마케팅 전략을 병행하는 것이 유효하다.

 

결론적으로, 한국 기업은 가성비 제품 개발, 유연한 거래 조건, 디지털 마케팅 강화를 중심으로 라오스 시장에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전략을 기반으로 할 경우, 기존 태국산 중심의 시장 구도 속에서도 한국 브랜드가 안정적인 입지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년 4월 조회) , Lao Trade Portal, 라오스 보건부, KOTRA 비엔티안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라오스 헤어케어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