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희토류 산업 현황 및 전망
- 투자진출
- 남아프리카공화국
- 요하네스버그무역관 최다은
- 2025-07-23
- 출처 : KOTRA
-
글로벌 공급망의 새 대안으로 주목받는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지속 확대되는 희토류 수요와 서구권의 전략적 투자 가속화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희토류 산업 현황
희토류는 전기차 배터리, 풍력 터빈, 스마트폰, 군사용 정밀 무기에 필수 핵심 소재로 쓰이며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네오디뮴과 프라세오디뮴은 강력한 영구자석 제조에 사용돼돼 고효율 모터 생산에 핵심적인 요소이다. 이들 원소는 소량으로도 강력한 기능을 발휘해 소형화, 경량화가 요구되는 첨단 기술 산업에서 그 중요성이 높다. 이런 희토류는 제한적이고 정제 공정이 까다로워 전략 광물로 분류되며 공급망 안전성이 각국의 국가안보 및 산업 정책과 직결된다. 이에 희토류는 탄소중립, 4차 산업혁명, 첨단 국방산업 등 미래 핵심 산업의 기반 자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아프리카에도 희토류가 매장돼 있으며 생산이 조금씩 늘어나고 있다. 2025년 2월에 발표된 In On Africa(IOA)의 보고서 “The growing importance of rare earth minerals in African mining)에 따르면 사하라이남 아프리카(SSA)는 전 세계 핵심 광물 매장량의 약 30%를 보유하고 있으며 희토류 또한 상당한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다. 미국 국방분석연구소(IDA: Institute for Defense Analyses) 2022년 보고서에서는 모리타니, 잠비아, DR콩고, 소말리아, 말리, 카메룬, 콩고공화국, 가봉, 가나, 기니, 라이베리아, 남수단, 짐바브웨 등 SSA 많은 국가들이 희토류 개발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건 아니지만 희토류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고 언급하고 있다.
<아프리카 희토류 매장지 및 보유국 지도>
[자료: 미국 국방분석연구소(IDA) – Rare Earth Elements in Africa]
IOA는 2020년에는 전 세계 희토류 공급량 전체에서 SSA가 차지하는 비중은 1% 미만에 불과했으나 2025년을 기점으로 생산이 본격화되며 2030년에는 전 세계 공급량의 10%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한다.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의 희토류 수출 규모는 2024년 기준 487만 달러를 기록했다. 미국이 429만 달러로 전체의 88% 비중을 차지했으며 그 다음은 한국이 52만 달러로 11%의 비중을 차지했다. (한국은 남아공으로부터 52만 달러 규모의 희토류를 수입함)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희토류 수입국>
(단위: 천 달러, %)
순위
국가명
2022년
2023년
2024년
비중
23/24 증감률
합계
4,484
5,849
4,874
100
-16.15
1
미국
4,401
5,144
4,287
88
-16.67
2
한국
0
166
523
11
214.93
3
독일
-
29
36
1
24.86
4
태국
3
11
16
0
42.26
5
영국
1
-
12
0
-
[자료: Global Trade Atlas 25.7.21 검색]
희토류 주요 생산국
아프리카 연합(AU: African Union)의 African Minerals Development Centre(AMDC) 정보에 의하면 2021년 기준 SSA에서 희토류를 생산하는 국가로는 마다가스카르와 부룬디, 탄자니아 3개국밖에 없었던 것으로 확인된다. 당시 마다가스카르 희토류 생산량은 6800톤으로 전 세계 생산국 중 6위를 차지했으며 부룬디는 200톤으로 11위를 차지했다. 탄자니아는 89만 톤으로 아주 소량 생산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국 지질 조사국(USGS: United Stateds Geological Survey) 2025년 자료에 의하면 나이지리아가 새로운 생산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2024년 희토류 생산국 중 마다가스카르와 나이지리아는 1만3000톤을 생산하면서 중국과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많은 생산량을 기록했다. 나이지리아는 주요 희토류 매장국으로 알려지지 않았지만 최근 채굴과 가공 역량을 빠르게 발전시키고 있다. 정부 주도 광물 가치 사슬 현지화 전략을 추진하면서 외국인직접투자(FDI)를 받아 희토류 가공 플랜트를 건설하고 있다.
마다가스카르 역시 꾸준히 희토류를 생산하고 있다. 주로 네오디뮴을 포함한 경희토류가 매장돼 있는데 광산에 따라 다양한 희토류 원소가 존재한다. 특히Toliara 프로젝트에서는 2028년부터 모나자이트가 생산될 예정이다. 모나자이트는 세륨, 란탄, 네오디뮴, 프라세오디뮴 등 다양한 희토류를 함유하고 있다. 또 현재 사전 타당성 조사 중인 Tantalus 프로젝트에서는 중희토류 생산 가능성도 있다.
반면 남아공은 27만 톤의 매장량이 확인돼 있지만 생산되지는 않는 것*으로 보인다. 남아공의 Steenkampskraal 광산은 네오디뮴 함량이 높아 좋은 등급의 희토류산화물을 보유하고 있으며 Zandkopsdrift 광산 역시 대형 광산으로 모나자이트 광석으로 경희토류와 중희토류 등 다양한 희토류가 매장돼 있다. 하지만 가공 기술이 복잡하고 전력 공급 문제 등으로 대규모 상업 희토류 생산국으로 부상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현재 Steenkampskraal 광산은 모나자이트(특히 네오디뮴, 디스프로슘) 생산을 재개를 결정하고 2026년 중반 생산을 목표로 진행 중이다.
* Phalaborwa 프로젝트로는 산업 폐기물에서 희토류를 재처리로 회수하고 있음.
이외에도 말라위는 올해 다양한 희토류를 생산할 예정이고, 우간다에서는 중희토류를 2026년부터 생산할 계획이며, 앙골라에서는 네오디뮴, 프라세오디뮴이 2029년 생산을 목표로 하고 있다. 부룬디의 네오디뮴, 프라세오디뮴은 현재 시범 생산하며 상업적 생산 가능성을 타진 중이고, 나미비아에서는 중희토류 생산을 위한 프로젝트는 사전 타당성 조사와 시험 생산 시설 테스트를 완료하여 최종 투자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 케냐는 니오븀 매장량이 상당한 것으로 알려져 개발 중에 있으며, 모잠비크에서도 희토류 탄산염 생산을 목표로 사전 타당성 조사 중이다.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희토류 산업 투자 국가
다양한 기업과 국가들이 SSA 희토류 산업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투자하고 있는데 특히 서구권 국가들이 중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미국 기업 Energy Fuels는 마다가스카르 Toliara 프로젝트를 소유하고 개발 중이며 여기서 생산되는 희토류는 미국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호주 기업 Lindian Resources, Ionic Rare Earths는 말라위와 우간다에서 희토류 프로젝트를 개발하고 운영을 주도하고 있다. 영국 기업 Pensana Rare Earths는 앙골라 희토류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으며 Harena Resources는 마다가스카르 희토류 프로젝트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캐나다 기업 Namibia Critical Metals는 나미비아에서 중희토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남아공 현지 기업들도 남아공에서 희토류 생산을 추진하고 있기도 하다.
기업 외에도 서구권 국가 및 국제 기관들이 SSA 희토류 산업에 투자하고 지원하고 있다. 미국의 개발금융공사(DFC)는 남아공 Phalaborwa 희토류 프로젝트에 투자했으며, 억만장자(빌 게이츠, 제프 베조스 등)가 후원하는 광업 스타트업들(KoBold Metals 등)도 아프리카 희토류 탐사 및 개발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 유럽연합(EU)은 공급망 다변화 전략의 일환으로 말라위 희토류 프로젝트를 전략적 프로젝트로 지정하고 지원하고 있다.
아시아에서는 과거부터 아프리카 광물 자원 최대 투자국인 중국이 현재도 상당한 영향력을 보유하고 있는데, 기술 제공, 인프라 건설, 원광 수입을 통해 아프리카 희토류 가치 사슬에 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직접적인 협력으로는 앙골라 희토류 프로젝트 개발에 중국 기업이 참여한 사례가 있다. 일본의 석유천연가스금속광물자원기구(JOGMEC: )는 나미비아 희토류 프로젝트 개발에 협력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희토류 산업 문제점
SSA는 희토류가 매장돼있고 등급도 높은 것으로 알려져있지만, 각국의 정련과 가공 능력이 매우 미미하다. 대부분 채굴된 원광은 중국 등 역외 다른 국가로 수출되어 가공된다. 희토류의 복잡한 화학적 특성 상 분리 및 정련 기술은 고도의 전문성과 막대한 투자가 요구되다보니, 아프리카가 광물 자원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부가가치를 극대화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보통 중국이 전 세계 희토류 정련 및 가공의 대부분을 담당하고 있는데 아프리카 국가들 역시 중국으로 희토류 원광을 수출하고 있다.
또한 현지 낙후된 인프라로 도로나 철도 등 물류 조건이 열악하고 전력 공급도 불안정해 채굴된 광물의 운송이나 가공 비용이 높고 생산 효율성이 낮다. 게다가 정치적 불안정성과 환경단체들의 반발도 엮여있다보니 세계적 수준의 잠재력을 가지고 있지만 발전이 더딘 상황이다.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희토류 산업 강점과 기회
이러한 리스크들이 있지만 그럼에도 SSA에는 아직 탐사되지 않은 희토류 매장량이 더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 가운데, 전기차, 풍력 터빈,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 친환경 기술에 필수적인 희토류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바SSA는 향후 글로벌 공급의 주요 대안으로서의 잠재력이 크다.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 및 특정 국가에 대한 의존도 감소를 목표로 하는 서구권 국가들에게는 SSA가 매력적인 투자 지역이기도 하다.
아프리카 국가들이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이 분야를 통한 경제 성장을 도모하고자 주력하고 있기 때문에, 원광 수출을 넘어 정련과 가공 및 제조를 위한 투자자들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 기업의 기회 및 시사점
희토류 정련은 복잡한 화학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술이 부족한 SSA에서는 이러한 기술에 대한 관심이 크다. 우리 기업들 중 희토류 분리 정제 기술을 보유한 기업이 있다면 아프리카 현지에 소규모 정제 시설(모듈형)을 구축하거나 그에 필요한 기술과 장비를 제공하면서, 생산물의 일부를 장기 계약으로 확보, 즉 자원 개발 연계형 오프테이크(Offtake) 계약을 추진한다면 희토류 공급망 안보에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희토류 채굴과 가공은 환경 오염 문제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SSA에서도 폐기물 처리나 오염 물질 저감, 수질 관리 등 친환경 솔루션 수요가 높을 수밖에 없다. 프로젝트를 기획하는 단계이거나 진행 중인 기업들에게 친환경 솔루션을 제안한다면, 탄소 배출 관련 환경 규제가 강화되는 국제 정세 속에서 프로젝트의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적 가치가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런 모든 과정은 믿을 수 있고 역량있는 현지 파트너를 먼저 발굴하고, 기술적 경제적 타당성 조사, 리스크 조사 등 철저한 실사가 선행돼야 한다. 그리고 한국 정부나 공공기관의 지원을 알아보고 활용하는 것도 추천한다.
자료:In On Africa(IOA),미국 국방분석연구소(IDA),Global Trade Atlas,아프리카 연합(AU: African Union),미국 지질 조사국(USGS: United Stateds Geological Survey) 등 KOTRA 요하네스버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희토류 산업 현황 및 전망)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실리콘밸리 빅테크 현직자들이 말하는 미국 취업 전략
미국 2025-07-22
-
2
말레이시아 전력 요금 개편안 및 전력시장 진출 기회요인 분석
말레이시아 2025-07-22
-
3
2025년 남아공 농업 정보
남아프리카공화국 2025-07-22
-
4
케냐 전력 시장 동향과 기회 요인
케냐 2025-07-21
-
5
데이터센터가 바꾸고 있는 미국의 전력시장, 전력 인프라 수출 기회 열린다
미국 2025-07-25
-
6
중국 소비 진작 정책 그 후, 통계로 알아보는 2025년 상반기 중국 소비
중국 2025-07-24
-
1
2025년 남아공 ICT 산업 정보
남아프리카공화국 2025-08-06
-
2
2025년 남아공 농업 정보
남아프리카공화국 2025-07-22
-
3
2025년 남아공 인프라 산업 정보
남아프리카공화국 2025-07-07
-
4
2025년 남아공 광업 정보
남아프리카공화국 2025-03-27
-
5
2025년 남아공 방위산업 정보
남아프리카공화국 2025-03-27
-
6
2024년 남아공 수소 산업 정보
남아프리카공화국 2024-12-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