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덜란드 의료기기 시장동향
- 상품DB
- 네덜란드
- 암스테르담무역관 한문갑
- 2025-07-31
- 출처 : KOTRA
-
재수출·환적 중심지 네덜란드, EU 의료기기 유통의 허브
디지털 전환과 고령화가 이끄는 수요 확대
상품명 및 HS Code
HS Code 9018.90에 해당하는 제품은 임신진단기, 외과수술용 기기, 레이저 작동식 기기, 산부인과용 기기, 내시경류(위내시경, 복막경, 방광경 등), 인공신장기(투석기 포함), 경피전기신경자극기, 수의과용 기기, 피부과용 기기 등을 포함하며, 이들의 부분품 및 부속품도 포함된다.
시장 동향
2023년 유럽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약 1600억 유로로 추산되며, 이는 세계 시장의 26.1%를 차지한다. 미국(47.2%)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이다. 독일, 프랑스, 영국, 이탈리아, 스페인이 유럽 내 상위 5대 의료기기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네덜란드는 5.1%의 점유율로 6위를 기록하고 있다.
<2023년 EU 국가별 의료기기 시장 규모 비율>
* 주: 좌측부터 순서대로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스페인, 네덜란드, 스위스, 벨기에, 폴란드, 오스트리아, 기타
[자료: medtecheurope.org]
네덜란드는 유럽 내 의료기기 수출입 허브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의료기기 산업은 영상진단기기, 디지털헬스, 재활의료기기, 수술로봇 등 다양한 분야로 구성된다. 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에 따라 의료기기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ICT 기반의 진단·치료 솔루션이 빠르게 도입되고 있다.
Statista에 따르면, 네덜란드 의료기기 시장은 2025년 기준 약 54억9796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2030년까지 연평균 4.6%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 중 심장질환 진단기기 시장은 7억4993만 달러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분석된다.
<네덜란드 의료기기 부문별 매출액 및 성장률>
(단위: US$ 백만)
[자료: Statista]
주재국 수출입동향 및 대한 수입규모
2023년 EU 국가별 의료기기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네덜란드는 372억 유로 수출로 1위를 기록했으며, 수입액은 289억 유로로 독일(219억 유로), 벨기에(115억 유로)를 앞섰다. 이는 네덜란드의 우수한 물류 인프라와 글로벌 기업들의 유럽 공급망 중심지 역할을 반영한 결과다.
<2023년 EU 국가별 의료기기 수출입>
(단위: € 백만)
[자료: medtecheurope.org]
네덜란드는 유럽 최대 항만인 로테르담 항, 스히폴 국제공항 등 최첨단 물류 기반을 바탕으로 유럽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에 24시간 내로 접근할 수 있다. 이러한 인프라 강점을 바탕으로 의료기기 재수출 및 환적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2024년 기준, 네덜란드의 HS Code 9018.90 품목 수입액은 64억3518만 달러로 전년 대비 5.0% 증가했다. 주요 수입국은 미국(38.0%), 멕시코(10.6%), 독일(9.1%)이며, 도미니카공화국은 52.2%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 한국은 1008만 달러(전년 대비 35.0% 증가)로 31위를 기록했다.
<네덜란드 의료기기(HS Code 901890 기준) 수입 동향>(단위: US$ 만, %)
순위
국가명
수입액
비중
증감률
'24/'23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전 세계
538,153
613,045
643,518
100.0
100.0
100.0
5.0
1
미국
226,636
254,993
244,739
42.1
41.6
38.0
-4.0
2
멕시코
45,585
56,877
68,489
8.5
9.3
10.6
20.4
3
독일
42,860
47,135
58,389
8.0
7.7
9.1
23.9
4
코스타리카
33,509
44,313
49,135
6.2
7.2
7.6
10.9
5
영국
20,758
26,165
28,218
3.9
4.3
4.4
7.9
6
벨기에
31,650
26,810
27,803
5.9
4.4
4.3
3.7
7
아일랜드
14,763
22,267
23,104
2.7
3.6
3.6
3.8
8
중국
22,044
20,806
23,062
4.1
3.4
3.6
10.8
9
도미니카
11,786
14,018
21,339
2.2
2.3
3.3
52.2
10
프랑스
15,159
15,031
15,042
2.8
2.5
2.3
0.1
31
한국
1,117
747
1,008
0.2
0.1
0.2
35.0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7.9.)]
한국의 주요 수출 품목은 기타 의료기기(90189084, 79.1%), 마취기기(90189060, 16.3%), 수혈장치(90189050, 1.9%) 등이며, 수혈장치의 경우 전년 대비 378.8%의 증가세를 보였다.
<네덜란드의 의료기기 대한국 수입 현황(HS Code 901890 기준)>
(단위: US$ 천, %)
HS Code
품목명
수입액
비중
증감률
'24/'232023
2024
2023
2024
901890
그 밖의 의료기기
7,466
10,080
100.0
100.0
35.0
90189084
기타
5,157
7,973
69.1
79.1
54.6
90189060
마취 장치와 기기
1,248
1,639
16.7
16.3
31.4
90189050
수혈 장치
40
191
0.5
1.9
378.8
90189020
내시경
306
135
4.1
1.3
-55.8
90189010
혈압 측정 기기 및 장치
184
121
2.5
1.2
-34.0
90189040
열 투과성 장치
2
20
0.0
0.2
914.8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7.9.)]
경쟁 동향
네덜란드에선 세계적 수준의 경쟁력을 갖춘 다양한 의료기기 전문기업들이 활동하고 있다. 대표적으로는 Philips, Pie Medical Imaging, Enraf-Nonius, Microsure 등이 있다.
Royal Philips N.V.는 영상진단(CT, MRI, 초음파), 환자 모니터링, 헬스케어 IT 등 다양한 분야에서 세계적 기술력을 보유한 글로벌 기업이다. 2024년 기준 매출은 186억 유로에 달하며, 환자 중심의 디지털 헬스케어 솔루션과 혁신적 의료기기를 선도하고 있다.
Pie Medical Imaging은 심혈관 영상 분석 및 진단 솔루션에 특화된 기업으로, 혈관 내 초음파(IVUS)와 3D 영상 기술을 활용한 첨단 장비를 개발하고 있으며, 글로벌 심장질환 진단 분야에서 높은 신뢰도를 확보하고 있다.
Enraf-Nonius는 물리치료 및 재활의료기기에 특화된 기업으로, 전기치료기, 초음파 치료기, 재활 로봇 등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있으며 병원과 재활센터, 스포츠 클리닉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Microsure는 정밀 수술용 로봇 기술을 개발하는 선도기업으로, 세계 최초로 CE 인증을 받은 미세 수술 로봇 보조장치 ‘MUSA’를 통해 고난도 수술의 정확성과 안전성을 높이고 있다. 이 회사는 첨단 로봇공학과 의료 기술의 융합에 기반해 정밀 의료기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관세율 및 인증
HS Code 901890에 해당하는 의료기기의 EU 내 관세는 0%이며, 한국 기업은 한-EU FTA에 따라 무관세 적용을 받을 수 있다.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해서는 CE 마크 취득이 필수이며, 2021년부터 시행된 EU 의료기기 규정(MDR, Medical Device Regulation)을 반드시 준수해야 한다.
외국 기업이 CE 인증을 획득하려면 유럽연합 인증기관(Notified Body)을 통한 기술문서 심사와 품질시스템 검증을 받아야 하며, 이후 네덜란드의 의료기기 등록기관(Farmatec)에 등록해야 유통할 수 있다.
유통 구조
네덜란드 내 의료기기는 주로 글로벌 기업의 현지 법인, 전문 수입상, 유통업체 등을 통해 병의원에 직접 공급되며, 교육·A/S·임상연계 등의 전문 서비스를 제공한다. ICT 기반 진단기기, 디지털 치료 기기 등은 병원 외부의 B2C 유통도 활성화되는 추세다.
시사점
네덜란드는 연구중심 대학(12개), 병원(82개), 정부-산업-학계 간 긴밀한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연간 20억 유로 이상의 의료기기 연구개발(R&D)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연구 기반은 의료기기 산업의 기술 혁신과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밑거름이 되고 있다.
한편, 고령화 심화와 만성질환 증가, 의료비 지출의 지속적 상승, 의료 인력 부족 등의 구조적 문제로 인해 네덜란드의 의료시스템은 효율성 제고가 시급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디지털 헬스케어, 재택 진료 솔루션, 수술용 로봇 등 첨단 기술의 도입 수요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ICT 기반의 진단 및 치료기기, 환자 맞춤형 모니터링 솔루션 등 B2C 영역에서도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국 기업은 CE 인증 기반의 품질 경쟁력을 바탕으로 유럽 전역을 겨냥한 진출 전략 수립이 가능하다. 특히 스마트 진단기기, 디지털 재활기기, 헬스케어 IT 플랫폼 등 고부가가치 품목 중심의 시장 확대가 기대된다. 또한 네덜란드는 유럽 의료시장으로의 교두보이자 물류 중심지로서의 이점을 갖고 있어, 한국 기업의 유럽 시장 진입 시 전략적 거점으로 적극 활용할 수 있다.
자료: rijksoverheid.nl, farmatec.nl, brainporteindhoven.com, medtechnederland.nl, ec.europe.eu, acm.nl, nefemed.nl, fme.nl, health-holland.com, euromonitor.com, GTA, 각 회사 홈페이지, KOTRA 암스테르담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네덜란드 의료기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원전 해체, 가동 중단 원전을 업싸이클링하다…미국 원전 해체 산업
미국 2025-07-30
-
2
중국 농업용 트랙터 시장 동향
중국 2025-07-30
-
3
미국 에폭시수지 시장동향
미국 2025-07-30
-
4
독일 그린 에너지 전환의 핵심 동력: 재생에너지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독일 2025-07-31
-
5
베트남 천연고무 시장 동향
베트남 2025-07-30
-
6
스페인 전기자동차 시장 동향
스페인 2025-07-31
-
1
2024년 네덜란드 모빌리티 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4-03-29
-
2
2023년 네덜란드 화학 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3-10-20
-
3
2023년 네덜란드 물류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3-08-01
-
4
2021년 네덜란드 물류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2-01-03
-
5
2021년 네덜란드 반도체 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1-12-31
-
6
2021년 네덜란드 화학 산업 정보
네덜란드 2021-12-31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