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베트남 천연고무 시장 동향
  • 트렌드
  • 베트남
  • 호치민무역관 박규리
  • 2025-07-30
  • 출처 : KOTRA

베트남, 세계 3대 천연고무 생산국으로 한국 주요 공급망 거점

글로벌 공급 축소와 가격 변동성 확대로 수입 시 지속적인 동향 모니터링 필요

천연고무(Natural Rubber)는 고무나무에서 채취한 라텍스를 가공해 만든 천연 탄성 소재로, 타이어, 산업용 부품, 의료기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핵심 원료로 사용된다. 베트남은 1897년 프랑스에 의해 고무나무가 처음 도입된 이후, 동나이, 빈즈엉(현 호치민시), 빈프억(현 동나이), 떠이닌 등 남동부 지역을 중심으로 고무 재배가 확산됐다. 현재는 태국과 인도네시아에 이어 세계 3대 천연고무 생산국 중 하나로 성장했다.


<베트남 주요 고무생산 지역 지도>

[자료: B-compnay]


베트남 천연고무 시장은 크게 표준 베트남 고무(SVR), 리브드 스모크 시트(RSS), 농축 라텍스 등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이 중 SVR 제품이 전체 생산량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베트남 고무 기업은 SVR 및 라텍스를 중심의 생산 구조를 갖추고 있다. 국내 수입업체들이 주로 취급하는 천연고무 품목은 SVR 3L, SVR 10, SVR CV60, SVR CV50, SVR 20를 포함하며, 농축 라텍스, RSS 3, 고무 혼합물 등도 주요 품목으로 유통되고 있다.


<베트남 천연고무 주요 유형 비교표>

구분

제품 형태

주요 용도

주요 특징 및 공정 요약

SVR

(표준 베트남 고무)

블록형

(과립·막대)

타이어, 산업용 부품, 내수·수출용 원자재

컵 덩어리 등 고형 고무 원료를 세척·파쇄 후 심층 건조하여 블록화 (TSR 방식)

RSS

(훈연 시트 고무)

시트형 (판상)

수출용 원자재, 가공고무 제조 등

라텍스를 응고·압연·건조 후 훈연 처리해 수분 제거, 보존성 우수

농축 라텍스

액상

(60% 고형분)

장갑, 의료·위생용품 등 정밀 제조

라텍스를 보존 처리 후 원심분리로 농축, 순도 높고 가공용도 다양

[자료: VIEGO Global, KOTRA 호치민 무역관 재구성] 



상품명 및 HS코드


베트남산 천연고무는 일반적으로 HS Code 4001호에 해당하며, 제품의 형태나 가공 방식에 따라 세부 분류가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천연 라텍스는 HS 4001.10, 스모크드 시트(RSS)는 HS 4001.21, 블록 고무(SVR 계열)는 HS 4001.22로 분류된다. 

특히 베트남은 SVR 3L, SVR 10, SVR CV60 등 다양한 등급의 블록 고무가 주로 HS 4001.22 코드에 해당한다. 한국 기업이 천연고무를 수입할 경우, 주요 수입 품목 역시 이 코드에 집중돼 있어 수입 통관 및 품목 관리 시 유의할 필요가 있다.


HS Code

제품

4001

천연 고무(natural rubber), 발라타(balata), 구타페르카(gutta-percha), 과율레(guayule), 치클(chicle) 및 이와 유사한 천연 수지로서, 원상태이거나 판, 시트 또는 스트립 형태인 것

4001.10

천연 고무 라텍스 (가황 여부 불문)

4001.21

리브드 스모크 시트 (RSS)

4001.22

공업 규격화된 천연고무 (TSNR)

4001.29

기타 천연고무



수출 규제 및 관세율


베트남산 천연고무(HS Code 4001.22.00)는 현재 수출 쿼터나 금지 조치 등 직접적인 수출 제한이 없다. 고무 산업은 베트남 정부의 전략 수출 산업으로 지정돼 있으며, 국가 차원에서 수출이 적극 장려되고 있다. 한국은 베트남 천연고무의 3대 주요 수출국 중 하나로, 타이어 및 자동차 부품 제조 등 핵심 산업의 공급망 파트너로 자리잡고 있으며, 한국향 수출에 별도 규제나 제한은 적용되지 않는다.


관세 측면에서도 베트남산 고무 수입을 위해 무관세가 적용된다. 현재 베트남은 2014년 고무류 수출세를 1%에서 0%로 인하한 이래, HS Code 4001.22.00 품목에 대해 수출세를 부과하지 않고 있다. 한국 역시 한-베트남 자유무역협정(VKFTA) 및 한-아세안 FTA(AKFTA)에 따라 수입 관세를 면제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천연고무(HS CODE 4001.22.00) 수입 관세율>

(단위: %)

HS Code

한-아세안 자유무역협정

(FAS1)

한-베트남 자유무역협정 

(FVN1)

WTO

협정세율

3102.10.00

0

0

2

[자료: 대한민국 관세법령정보포털]



가격 동향 


베트남고무협회(VRA)에 따르면, 2024년 베트남 천연고무의 평균 수출 가격은 톤당 1701달러로, 전년 대비 약 26% 상승하며 최근 10년 사이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2025년 1월에는 평균 수출 가격이 톤당 1859달러에 도달하며 고점 흐름이 이어졌다. 이러한 가격 상승은 글로벌 공급 부족에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이로 인해, 국제 고무 시세가 전반적으로 상승했고, 베트남 천연 고무 가격 또한 직접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 내 유통시장에서도 가격 상승세가 반영되고 있다. 농산물 유통 플랫폼 Selina Wamucii에 따르면, 2025년 소매 가격은 kg당 1.85~1.91 USD(약 39,700~41,000 VND) 수준이며, 도심지역에서는 이보다 최대 5% 더 높은 가격이 책정된다. 베트남 천연고무는 수요 탄력성이 낮아 가격이 10% 상승하더라도 소비는 약 3%만 감소하는 수준이다. 도매 부문 가격은 톤당 1,850~1,900 USD로 국제 현물 시세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생산 동향


베트남은 약 93만 8천 헥타르에 달하는 고무 재배 면적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 세계 고무 재배 면적의 약 7.2%에 해당한다. 이러한 기반으로 베트남은 세계 3위의 천연고무 생산국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2024년 기준 생산 면적은 약 91~93만 ha, 연간 생산량은 128만~130만 톤 수준으로 추산된다.


최근 5년간 베트남의 천연고무 생산은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다. 2019년 약 118만 톤에서 2022년 약 133만 톤으로 증가한 뒤 2023년에는 127만 톤으로 감소했다. 천연고무생산국협회(ANRPC)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천연고무 공급량은 수요에 비해 약 124만 톤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글로벌 공급난은 베트남 생산량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베트남을 포함한 태국, 인도네시아 등 주요 동남아 고무 생산국은 최근 기후 변화와 이상 고온 현상으로 인해 생산 차질을 겪고 있으며, 베트남의 천연고무 저생산 기간(2~5월)이 장기화 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건조한 날씨와 높은 기온은 고무 수액 채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 생산량의 변동성을 키우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베트남 천연고무 생산동향>

(단위: 1000 톤)

[자료: FAO(유엔 식량농업기구)] 


베트남 천연고무 생산의 상당량은 고무나무 재배, 수확, 가공, 수출까지 일괄 수행하는 대형 생산업체를 통해 이뤄진다. 이들 기업은 대부분 국영 기업 또는 그 계열사로 구성돼 있으며, 수직계열화된 산업 구조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품질과 공급망을 확보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고무그룹(Vietnam Rubber Group, VRG)은 연간 약 32만 톤의 고무를 생산해 베트남 고무 생산량의 25% 이상을 차지하며, 세계 4위 규모의 고무 생산 기업으로 평가된다. 약 41만 헥타르에 달하는 재배 면적과 100여개 자회사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전 세계 70여 개국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다. VRG 산하에는 푸옥화고무(PHR), 탄비엔(Tabiruto), 동푸(DORUCO), 호아빈(HORUCO) 등의 자회사가 포함되며, 각 기업은 독립적으로 농장을 운영하면서도 VRG의 품질 기준과 유통망을 공유하고 있다.


이들 기업은 SVR 3L, SVR 10, SVR CV60 등 다양한 표준 베트남 고무(SVR) 등급 제품과 라텍스를 생산하고, ISO 9001 품질 인증과 풍부한국제 수출 경험을 갖추고 있다. 주요 수출 시장은 중국, 인도, 한국, 유럽, 미국 등으로, 글로벌 수요 변화에 민감하게 대응하며 안정적인 수출 기반을 유지하고 있다.


<베트남 주요 천연고무 생산 업체>

기업명

로고

세부사항

Vietnam Rubber Group

(VRG)

  • 베트남 최대 국영 고무 기업

  • 재배 면적: 약 41만 ha

  • 연간 생산량: 약 32만 톤

  • 홈페이지 : https://rubbergroup.vn/

Phuoc Hoa Rubber JSC

(PHR)

  • VRG 계열 상장사

  • 재배 면적: 약 1만 5천 ha

  • 연간 생산량: 약 2.7만 톤

  • SVR 3L, SVR 10, SVR CV60 등 다양한 등급의 고무 생산

  • 홈페이지 : https://noibo.phr.vn/

Tan Bien Rubber Joint Stock Company

(Tabiruto)

  • VRG 계열사

  • 국내외(캄보디아 포함) 농장 보유

  • 재배 면적: 약 2만 ha

  • 홈페이지 : https://www.tabiruco.vn/

Dong Phu Rubber JSC

(DORUCO)

  • VRG 계열 상장사

  • 재배 면적: 약 1.7만 ha

  • 연간 생산량: 약 2.3만 톤

  • 라텍스 및 고체 고무(SVR 등급) 가공 및 수출

  • 홈페이지 : https://doruco.com.vn/

Hoa Binh Rubber JSC

(HORUCO)

  • 중형 규모 고무 생산업체

  • 재배 면적: 약 7천 ha

  • 홈페이지 : http://www.horuco.com.vn/

[자료 : 각 기업 홈페이지, KOTRA 호치민 무역관 정리]




천연 고무 수출 동향

2024년 베트남의 천연고무(HS Code 4001.22) 수출액은 총 7억8278만 달러로, 전년 대비 18.4% 증가하며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HS Code 4001.22는 SVR 3L, SVR 10, SVR CV60 등 주요 건고무 제품이 포함돼 있으며, 천연고무 수출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다.

국가별 수출 실적을 보면, 인도가 최대 수출국으로 1억7325만 달러(점유율 22.1%)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33.1% 증가했다. 중국은 1억1819만 달러(점유율 15.1%)로 2위를 기록했으며 전년 대비 103.3%의 큰 증가폭을 보였다. 대한민국은 약 7293만 달러로 3위를 유지하며 전년 대비 15.3% 증가했으나, 점유율은 9.6%에서 9.3%로 소폭 하락했다. 반면 대만(-61.9%), 독일(-45.2%) 등 일부 국가에서는 수요 둔화로 큰 폭의 감소세를 보였다.


2024년 수출 물량은 약 200만 톤으로 전년 대비 6% 감소했으나, 글로벌 공급 부족과 국제 시세 상승으로 단가가 상승(톤당 1701달러, 전년 대비 +26%)하며 전체 수출액 증가세를 유지했다. 특히 2025년 1월에는 단가가 1859달러로 오르며 상승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베트남 천연고무(HS Code 4001.22) 수출 동향>

(단위: US$ 천, %)

순위

국가명

수출액

시장 점유율

2023년 대비

2024년 증감률

2023

2024

2023

2024

1

인도

130,190

173,250

19.7

22.1

33.1

2

중국

58,137

118,193

8.8

15.1

103.3

3

대한민국

63,260

72,933

9.6

9.3

15.3

4

독일

97,294

53,360

14.7

6.8

-45.2

5

대만

117,041

44,598

17.7

5.7

-61.9

총합

661,160

782,784

100.0

100.0

18.4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07.07)]




유통 동향


베트남의 천연고무 유통 시스템은 원자재 수급부터 가공, 국내 유통, 해외 수출에 이르기까지 수직적으로 통합된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특히 빈프억(Binh Phuoc), 닥농(Dak Nong) 등 주요 고무 재배지에는 유통·무역업체의 자체 가공 공장이 밀집해 있으며, 이곳에서 고무 수액을 확보한 후 SVR 3L, SVR 10, CV60 등 국제 표준 제품으로 1차 가공돼 국내외로 공급된다. 유통업체들은 자체 품질관리 체계와 물류망을 구축하고 있으며, 일부는 ISO 9001 및 ISO 14001 품질·환경 인증을 보유하고 있다. 


<베트남 천연고무 유통 업체>

기업명

로고

세부사항

APT Rubber

  • ISO 9001/14001 인증 보유

  • 공장 위치 : Bình Phuoc, Kon Tum

  • 연간 40,000톤 처리 능력

  • SVR 3L, 10, CV50/60, SVR 5 등 다양한 등급 생산

  • 전 세계 30여국 수출

  • 홈페이지 : https://aptrubber.com/en/

Nam Dat Trading & Production Co.

  • 2011년 설립

  • 공장 위치 : Dak Nong

  • 연간 약 15,000톤 처리

  • SVR 3L/10/20, CV50/60, 컴파운드·라텍스 취급

  • 환경친화적 설비와 OEM·ODM 방식 유통·수출 진행

  • 홈페이지 : https://namdatrubber.com/

Thuận Lợi Rubber Co., Ltd.

  • 2004년 설립

  • 공장 위치 : Bình Phuoc, Kon Tum

  • 연간 라텍스 60,000톤 생산

  • 베트남 최대 규모 라텍스 기업

  • ISO 9001 인증 완료, 중국·미국·유럽 등으로 직접 수출

  • 홈페이지 : https://thuanloirubber.vn/

Ngoc Chau Rubber

  • 2008년 설립

  • SVR·RSS·라텍스 등 다양한 천연고무 생산 및 유통

  • 연간 약 20,000톤 규모 처리

  • 20여 개국 수출, ODM·OEM 대응 가능

  • 홈페이지 : https://ngocchausupplier.com/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KOTRA 호치민 무역관 정리]



정책 및 제도 입법동향


베트남 정부는 고무 산업이 원자재 수출 중심의 산업 구조와 국제 시세에 대한 높은 가격 의존도 등 구조적 취약성이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여기에 국제 시장 내 경쟁 심화가 더해지면서 산업 경쟁력이 약화될 우려가 있어, 이를 극보하기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베트남 농업농촌개발부(MARD)는 「2030년까지 핵심 산업작물 개발 프로젝트」(결정 431/QĐ-BNN-TT)를 통해 재배 구조 개선, 품종 개량, 유통 추적 시스템 구축, 심층 가공 확대 등 고무 산업 전반의 구조 고도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베트남 천연고무 산업 정책 정리>

구분

내용

재배 면적 조정

- 전국 총 고무 재배면적: 80~85만 ha 

- 동남부: 48~50만 ha 

- 중부 고원: 18~20만 ha 

- 기타 지역(북중부·북서부 등): 14~15만 ha

재배 구조 개선

- 비적합 재배지 전환, 노후지 재식재 추진 

- 100% 표준 인증 품종 사용

- 대규모 농장 중심 구조로 재편

지속 가능성 강화

- 재배면적의 70% 이상 소비 연계 시스템 편입 

- 25~30만 ha 지속가능 산림경영 인증(FSC 등) 확보 목표

추적 시스템 구축

- 라텍스·목재에 전 생산 단위 고유 코드 부여 → 100% 원산지 추적 가능

가공 인프라 확대

- 국내 라텍스 가공 비중 40% 이상 목표 

- 신규 및 현대화된 가공 공장 투자 

- 품질 분석 및 인증을 위한 실험실 인프라 구축

심층 가공 확대

- 타이어, 매트리스, 장갑 등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 확대 

- 제품 다양화 및 내수·수출 시장 대응 전략 강화

고무 목재 활용

- 국내외 목재 수요 대응 위한 시장 조사 및 제품 개발 지속 추진

[자료: 베트남 농업농촌개발부(MARD), 결정번호 431/QĐ-BNN-TT, KOTRA 호치민 무역관 정리]



시사점


천연고무 시장은 최근 기후 변화와 글로벌 수급 불균형으로 인해 가격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도 베트남은 블록 고무, SVR 계열을 중심으로 안정적인 수출 기반을 유지하고 있으며, 한국과의 FTA 협정을 통해 가격 경쟁력과 수급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 정부가 추적 가능 시스템 및 국제 인증 확대, 심층 가공 능력 강화 등 공급망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어 한국 기업 입장에서는 신뢰성 높은 공급처로서의 매력이 강화되고 있다.


또한 유럽을 중심으로 환경·지속가능성 관련 고무 수입 규제가 강화되면서 베트남의 기존 수출 대상이 위축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 기업은 베트남과의 협력 기회를 선점할 필요가 있다. 베트남 생산지와의 추적 가능 시스템 연계, 장기계약 및 OEM 협력 체계 구축, 재고 분산 운영 등을 통해 공급 안정성을 확보하는 전략이 중요하다. 세계 3대 고무 생산국인 베트남을 전략적 파트너로 삼아 중장기 공급망 다변화 및 가격 리스크 관리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자료: B-Company, VIEGO Global, Selina Wamucii, Chemanalyst, 베트남 고무협회(VRA), 천연고무생산국협회(ANRPC), 유엔 식량농업기구(FAO), 각 기업 홈페이지, Global Trade Atlas, 베트남 농업농촌개발부(MARD), 현지언론(MOIT, Dien dan Doanh Nghiep 등), KOTRA 호치민 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베트남 천연고무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