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중국 농업용 트랙터 시장 동향
  • 상품DB
  • 중국
  • 샤먼무역관
  • 2025-07-30
  • 출처 : KOTRA

정부 보조금과 기술 혁신이 이끄는 고마력·고급형 트랙터 수요 확대

지역별 수요 특성과 인증·유통 장벽을 고려한 맞춤형 진입 전략 필요

HS CODE 및 상품명

HS CODE

품목명

8701.92.1000

트레일러 견인용의 도로주행식 트랙터


시장 동향: 대형 트랙터 수요 증가세 지속중소형은 교체 수요 감소로 위축


2025년 중국 농업용 트랙터 시장은 정부의 강력한 정책 지원과 농업 현대화 정책 추진에 따라 전반적으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특히 대형 트랙터 시장은 안정적인 수요 기반과 정책 수혜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는 반면, 중소형 트랙터는 교체 수요 포화로 감소세가 이어지고 있다.


중국 정부는 국가 보조금을 통해 농기계 보급 노후 장비 교체를 적극 추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매년 약 3000억 위안 규모의 농기계가 교체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은 고출력·고기능 대형 트랙터에 대한 소비자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


2024년 기준 대형 트랙터 생산량은 전년 대비 4.67% 증가한 11만2000대를 기록한 반면, 중형 트랙터는 13.19% 감소한 23만7000대, 소형 트랙터는 16.57% 감소한 14만1000대로 나타났다. 2025년에는 각각 12만7000대, 24만7000대, 15만1000대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제품 고도화와 대형화 흐름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0~2025년 중국 트랙터 생산량 현황>

 (단위: 만 대)


[자료: 중상산업연구원(中商产业研究院)]


시장 구성: 트랙터, 농기계 판매액 비중 1전체의 30.77% 차지


2023년 중국 농기계 장비 판매액 기준으로 트랙터가 30.77%의 점유율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옥수수 수확기(11.6%), 쌀 수확기(7.25%), 밀 수확기(4.94%)가 그 뒤를 이었으며, 트랙터가 여전히 농기계 산업의 중심 품목임을 확인할 수 있다.


<2023년 중국 농업기계 장비 판매액 비중>

 

[자료: 중상정보망(中商情报网)]


산업 구조: 중국 트랙터 산업, 원자재부터 A/S까지 수직계열화


중국 트랙터 산업은 상류(원자재·부품) → 중류(제조·조립) → 하류(유통·서비스)로 이어지는 유기적인 수직계열화 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상류는 철강·유색금속, 엔진 등 핵심 부품 생산을 담당하며, 중류는 트랙터 제조와 조립, 유통을 통해 품질을 확보한다. 하류는 농가, 협동조합 등 트랙터 수요처로 구성되며, 유지보수와 기술 교육 등 사후 서비스 체계를 갖추고 있다.


<트랙터 산업 체인>

상류

중류

하류

원재료 (철강, 유색금속, 고무 등)부품

(엔진, 전동부품, 주행부품)

트랙터 제조업체

농업기계 사용자
(농기계 협동조합, 농가, 농장 등)

[자료: 지연컨설팅(智研咨询)]


경쟁 동향: 고가 대형 트랙터 시장, 글로벌 브랜드 강세 지속


2025년 상반기 글로벌 기업의 프리미엄 전략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존디어(John Deere)654(4억4000만 위안), 케이스 뉴홀랜드(Case New Holland)191(1억8700만 위안)를 판매했으며, 평균 단가는 각각 68만 위안, 98만 위안으로 중국 제조사 대비 6~7배 수준이다. 이는 기술력·신뢰도 기반 고급 제품군의 지속적인 수요 확대를 보여준다.


<20251~6월 트랙터 기업별 판매 실적(보조금 집계 기준)>

(단위: 만 위안, )


[자료: 농기통(农机通) 웹사이트]


중국 로컬 농업용 트랙터 제조기업으로는 다음과 같은 주요 업체들이 있으며, 각 기업은 자체 브랜드를 기반으로 다양한 제품군을 보유하고 국내외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중국 주요 트랙터 기업>

회사명

홈페이지

소개

웨이차이레이워지혜

농업과기주식유한회사

WEI CHAI LOVOL HEAVY INDUSTRY CO.,LTD.

柴雷沃智慧农业科技

有限公

 

https://www.lovol.com/

 수확기계, 트랙터 등 다양한 제품 보유

 다년간 업계 선두 유지

 국내에서 현대 농업 전체 기계화 솔루션을 제공할 있는 소수의 브랜드 하나

제일트랙터주식유한회사

FIRSTTRACTOR COMPANY LIMITED

第一拖拉机股有限公

 

http://www.first-tractor.com.cn/

1955년에 설립

주력 제품은 둥팡훙()’ 시리즈의 궤도식 트랙터,  트랙터, 디젤 엔진  품목임

우수한 품질을 바탕으로  세계 140  국가  지역에 성공적으로 수출 중

중련중과

Zoomlion Heavy Industry Science & Technology

Co., Ltd.

 

https://www.zoomlion.com

1992년에 설립

건설기계, 광산기계, 농업기계  첨단 장비의 연구 개발  제조를 주력으로 

제품에는  트랙터, 궤도식 트랙터 등이 포함됨

장쑤창파농업장비주식

유한회사

Jiangsu Changfa Agricultural Equipment Co., Ltd.

 

https://www.changfanz.com/

농기계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를 통합한 대형 농업 장비 제조기업

주요 제품으로 트랙터, 옥수수 수확기, ·밀 수확기, 이앙기 등이 있음

창저우동펑농기집단유한회사

Changzhou Dongfeng Agricultural Machinery Group Co., Ltd.

常州东风农有限公

 

https://www.dfamgc.com/

1952년에 설립

‘장쑤성 트랙터  농기계 공정기술 연구센터’로 지정됨

주요 제품으로 중대형  트랙터, 보행식 트랙터, 이앙기, 농기구 등이 있음

둥펑농기(东风农) DF-12 보행식 트랙터는 1982년과 1986년에 국가 금상을 2 수상한 이력이 있음

[자료: 각 회사 공식 웹사이트, 샤먼무역관 정리]


정책 동향: 농기계 보급·교체 정책 가속연간 3000억 위안 규모 시장 형성


중국 정부는 농업기계 현대화를 위한 보조금 정책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100~200마력 이상 트랙터에 대해 최대 10~25만 위안까지 보조금을 지원하고 있으며, 산간·구릉지형에 적합한 소형 트랙터에도 보조금 비율을 최대 40%까지 확대하고 있다.


최근 발표된 주요 정책에는 《디지털 농촌 발전 계획(2022~2025), 《농기계 구매 보조금 집행 지침(2024~2026), 《농업강국 건설 가속화 계획(2024~2035)》 등이 포함되며, 전통 농기계의 폐기·갱신 지원도 강화되고 있다.


<트랙터 관련 주요 정책>

정책명

발표기관

발표시기

주요내용

展行动计划(2022-2025年)》

(디지털 농촌 발전 행동계획)

중앙사이버정보국농업농촌부 

2022

농기계 장비 기술 혁신 강화. 200마력급 무인 트랙터, 대형 유압식 회전쟁기, 정밀 파종기, 복합 작업기 등 핵심 농기계와 그 운용 기술의 단계적 기술 돌파 추진

20242026

补贴实施意

(농기계 구입  활용 보조금 시행에 관한 의견)

농업농촌부

재정부

2024

단일 기계 보조금 상한 설정. 100마력 이상 트랙터는 최대 10 위안, 200마력 이상 파워시프트 또는 무단변속 트랙터는 최대 25 위안 보조금 지원. 궤도식 트랙터  지역별 수요가 급한 기종은 보조금 비율 최대 40%까지 상향

《加快建设农业规划20242035年)》

(농업강국 건설 가속화 계획)

국무원

2025

농기계 장비의  과정·전면적 고도화 추진. 대형 고급 스마트 농기계, 산간·구릉 지역 적합 소형 장비, 핵심 부품의 개발·응용 강화, 노후 농기계 폐기·교체 촉진, 장비 구조 최적화

2025年加力扩围实

设备更新和消

旧换新政策的通知》

(2025 대규모 설비 교체  소비재 교체 확대 시행 통지)

국가발전개혁위원회재정부

2025

노후 화물차  농기계 교체 지원 확대. 면화 수확기 폐기·구매  단일 기계당 보조금 상한 36 위안, 20마력 이하 트랙터 폐기  보조금 1,0001,500위안으로 상향

2025农业机械报废

更新补贴政策》

(2025 농기계 폐기·갱신 보조 정책)

농업농촌부국가발전개혁위원회재정부국가식량비축국

2025

노후 농기계 폐기 보조 대상 확대. 에너지 소모가 크고, 환경 오염이 심하거나 안전성이 낮은 농기계의 조기 퇴출을 유도하며, 지방정부가 자율적으로 보조금을 지급할 수 있는 농기계 기종 수를 기존 6종에서 12종으로 확대(트랙터 포함)

[자료: 각 정부 사이트, 샤먼무역관 정리]


수입 동향: 2024년 중국 트랙터 수입 18.1% 증가프랑스 1, 미국은 급등세


2024년 중국의 트랙터 수입 규모는 152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18.1% 증가했다. 본 조사는 HS Code 870191~870195에 해당하는 농업용 트랙터 전반을 기준으로 분석했으며, 대형·고출력 기계 수요 증가와 디지털 농업 확산이 수입 확대의 주요 배경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수입국별로는 프랑스가 6800만 달러(점유율 44.5%)를 기록하며 1위 자리를 유지했다. 미국은 6500만 달러(42.9%)로 전년 대비 109.8% 급증해 프랑스를 바짝 뒤쫓으며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이 외에도 영국(84.1%), 태국(348.8%), 일본(51.9%) 등 주요국으로부터의 수입이 큰 폭으로 증가했다.

※ 한국은 2022년 2만1863 달러 규모의 중형 트랙터(HS 870193)를 수출하며 10위를 기록함. 2023~2024년 수치는 없음.


<중국의 국가별 트랙터(HS Code: 870191~870195) 수입 현황>

(단위: US$, %)

순위

국가

2022

2023

2024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금액

증감율

1

프랑스

44,185,786

8.04%

75,916,375

71.84%

67,875,703

-10.59%

2

미국

16,207,944

-34.38%

31,186,341

92.42%

65,420,864

109.81%

3

영국

5,063,928

56.68%

5,679,323

12.15%

10,457,841

84.14%

4

독일

5,327,574

148.23%

13,005,089

144.13%

4,669,598

-64.09%

5

오스트리아

-

-

606,062

신규진입

3,447,545

468.85%

6

핀란드

-

-

-

-

299,758

신규

7

태국

21,914

신규진입

28,216

28.76%

126,639

348.82%

8

일본

364,175

136.81%

50,717

-86.07%

77,085

51.98%

9

인도

77,830

76.26%

55,800

-28.30%

63,258

13.37%

10

루마니아

-

-

-

-

24,718

신규

[자료: Global Trade Atlas, '25.7.29.]


통관·관세: -FTA 활용 시 중국 수출 트랙터 관세 0%…원산지증명서 발급 필수

 

한국 기업이 HS Code 87019210에 해당하는 트랙터(18kW 초과 37kW 이하)를 중국에 수출할 경우, -중 자유무역협정(FTA)을 활용하면 수입관세 0%를 적용받을 수 있다.

 

중국의 일반 수입세율상 품목은 기본세율 20%, 최혜국(MFN) 세율 8%가 적용되며, 별도로 13%의 부가가치세(VAT)가 부과된다. 그러나 대한민국 관세청에서 발급한 한-FTA 전용 원산지증명서(Certificate of Origin, Form for China-Korea FTA)를 제출하면, 중국 측 수입관세는 전액 면제(0%)된다.

 

<중국 트랙터(HS CODE: 87019210) 관세율>

(단위: %)

해관코드

상품명

수입 일반세율

수입최혜국세율

한중 자유무역협정

부가가치세

87019210

기타 엔진 출력이 18킬로와트 초과 37킬로와트 이하인 트랙터

0.2

0.08

0

0.13

[자료: 중국해관총서]


인증·제도: 중국에 트랙터 수출 시 CCC 인증 및 농기계 보급 허가 필수


우리 기업이 트랙터(HS Code: 8701)를 중국에 수출하기 위해서는 제품 안전성과 정부 정책 기준에 따라 여러 인증 절차를 반드시 충족해야 한다. 특히 일부 인증은 중국 내 판매와 정부 보조금 지급과 직접 연계되기 때문에 사전 준비가 중요하다.


1. CCC 인증(중국 강제 인증 제도, China Compulsory Certification)


중국의 강제 인증 목록에 따라, 25마력 이상 휠 트랙터 또는 일부 궤도식 트랙터는 CCC 인증을 필수적으로 취득해야 한다. 해당 인증이 없을 경우 통관 및 판매가 불가능하며, 지방정부의 보조금 지원 대상에서도 제외된다.

 

2. 농업기계 보급 허가증(农业机械推广许可证)


중국 농기계 보조금 정책과 연계되는 핵심 인증으로, 수입업체 또는 중국 현지 대리상이 성()급 농기계 시험 인증소에 신청해야 한다. 인증을 취득한 제품만이 농민 대상의 정부 보조금 지급 대상이 된다.

 

3. ISO CE 인증 (권장사항)


ISO 14990(농기계 안전 기준) 또는 EU CE 인증을 보유한 한국산 트랙터는 일부 중국 내 기술 시험을 생략하거나 간소화할 수 있다. 필수 인증은 아니지만, 수입업체 신뢰 확보와 인증 절차 간소화에 유리하다.

 

4. 수입 자격 지역 대응 조건


우리 기업은 반드시 중국 농업기계 경영 허가증(农业机械经营许可证)을 보유한 수입업체와 협력해야 하며, 해당 수입업체가 공식적인 통관 및 인증 신청의 주체가 된다. 또한 일부 지방정부(: 푸젠성)는 지역 내 유지보수망 구축 또는 부품 공급 계약서 제출을 정부 보조금 지급 요건으로 요구하는 경우가 있어, 지역별 정책 확인이 필수적이다.

 

유통 구조: 중국 트랙터 유통, ‘온라인 직영부상전통 농기계 시장은 점차 약화

 

중국 트랙터 산업의 유통 채널은 전통적인 대리점·직영점 중심에서 온라인 기반 직거래 플랫폼 중심으로 점차 재편되고 있다. 현재 시장은 대리점(经销商), ▲직영점(直营店), ▲전문 농기계 시장(专业农机市场) 등 세 가지 유형이 공존하고 있으며, 채널별로 유통 전략 및 고객 접근 방식에 차별화가 이뤄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제조사 직영 온라인 판매 플랫폼이나 라이브커머스를 통한 직접 판매 방식이 확대되면서, 일부 전통 농기계 시장의 기능이 약화되고 있는 추세다.

 

<트랙터 유통 채널별 특징 및 대표 사례>

유형

주요 특징

대표 사례

대리점 / 经销

지역 기반 다단계 유통망, 전통적 유통 방식 유지. 

단일 브랜드 또는 복수 브랜드 취급

존디어(John Deere)는 현급(县级) 단위 대리점과 복수 브랜드 판매망을 통해 전국 판매망을 구축함

직영점 / 直

제조사가 직접 운영해 유통 통제력이 우수함. 

비용은 높지만 마진율이 높고 브랜드 경험 일관성 유지

일부 업체는 오프라인 직영점을 설치해 유통단계를 축소하고 원가를 절감함. 동시에 온라인 플랫폼(자사몰, 라이브커머스)을 통해 고객과 직접 접촉하고, 오프라인 직영점에서 인도 및 A/S를 제공함

전문 농기계 시장

专业农机市

다수 브랜드가 집결된 지역 중심형 유통 채널. 

구매, 금융, 수리 등 부대서비스가 집중돼 있음. 그러나 디지털 전환에 따라 유통력 약화

대표 사례로는 산둥성 웨이팡()의 농기계 시장이 있으며, 전국 농기계 물류의 중심 역할을 수행 중

[자료: 2025 샤먼공업박람회(厦门工业博览会) 참가기업 인터뷰, 먼무역관 정리]


시장 영향: 중국 농기계 산업 전환 가속한국 기업의 기술 경쟁력 기반 진입 전략 필요

 

중국 농기계 시장은 최근 정부 정책과 기술 변화에 힘입어 빠르게 전환·고도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한국 트랙터 제조기업들도 보다 전략적인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1. 정책 지원을 통한 산업 고도화기술 경쟁력 기반 진입 전략 필요

 

최근 년간 중국 정부는 농기계 구매 보조금 정책을 중심으로 고성능·친환경·지능형 장비 도입을 적극 장려하고 있다. 특히 인공지능, IoT, 5G 등 첨단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무인 자율주행 트랙터 등이 본격적으로 등장하며, 노동력 의존도는 낮추고 생산 효율성은 높이는 방향으로 산업 구조가 빠르게 전환 중이다이러한 구조 속에서 기술 우위를 보유한 한국 기업은 현지 보조금 정책과 제품 인증 체계를 고려하고, 고출력·고기능 대형 트랙터 중심의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는 등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2. 지역 특성 기반의 차별화된 시장 진입 전략 필요

 

중국은 광대한 국토와 다양한 지형을 가진 국가로, 지역별 농업환경과 수요에 따라 트랙터 제품에 대한 요구가 상이하다. 예를 들어, 남부 지역은 산림과 구릉지가 많아 기동성과 경사 대응력이 뛰어난 소형·경량 트랙터에 대한 수요가 높은 반면, 북부 평야 지역은 대형·고출력 트랙터 중심의 수요가 형성돼 있다이에 따라 우리 기업은 자사 제품 라인업과 전략 방향에 따라 진입 지역을 세분화하고, 지역별 유통 파트너 및 인증 전략을 차별화할 필요가 있다.

 

3. 소비자 구매 결정 요인: 지역 적합성과 정부 보조금

 

KOTRA 샤먼무역관이 2024년 공업박람회에서 인터뷰한 현지 농기계 유통업체(厦门重工)에 따르면, 중국 소비자가 트랙터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는 지형 특성에 따른 제품 적합성과 정부 보조금 적용 여부다. 지형 특성에 따른 제품 수요는 위 내용에서 다루었으며, 정부 보조금 적용 여부는 보조금 대상 제품이나 지원 비율이 높은 모델이 소비자에게 높은 관심을 받으며, 실제 구매전환율도 높게 나타남을 뜻한다. 

 

-FTA 활용도 검토해야 한다. 향후 중국 트랙터 시장은 스마트 농업 확산과 함께 더욱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기술력과 현지화 전략을 겸비한 한국 기업들이 세 혜택을 통한 가격 경쟁력까지 확보한다면 성공적으로 중국 시장에 진출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중국 해관총서, KITA, 농기통, 중상산업연구원, KOTRA 샤먼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농업용 트랙터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