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미국 에폭시수지 시장동향
  • 상품DB
  • 미국
  • 달라스무역관 이재인
  • 2025-07-30
  • 출처 : KOTRA

韓, ’24년 美 에폭시 수지 수입 시장 점유율 36.9%… 최대 수입국 위상 지속

글로벌 에폭시수지 시장, ’29년까지 연평균 9.7% 성장 전망… 인프라·전자·자동차 산업 수요가 견인

2025년 현재 미국은 에너지전환, AI 인프라 확충, 제조업 리쇼어링(Reshoring) 등에 따른 산업의 구조적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특히 반도체, 배터리, 전기차, 우주항공, 청정에너지 등 차세대 첨단 산업의 제조 인프라를 미국 내에 구축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어 산업별 핵심 소재·부품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고기능성 화학 소재 수요가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내열성, 접착력, 절연성 등에서 우수한 물성을 지닌 에폭시수지는 고부가가치 산업을 뒷받침하는 필수 기초 소재로 부상하고 있다.

 

상품명 및 HS 코드

 

에폭시수지(Epoxide resins)의 HS 코드는 3907.30이다.

 

시장 동향

 

에폭시수지는 우수한 접착력과 내열성, 절연성을 갖춘 열경화성 수지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핵심 소재로 사용된다. 자동차, 항공, 선박, 건축, 토목 분야에서는 페인트 및 코팅재의 원료로 활용되며, 전기·전자 및 청정에너지 산업 등 고기능성 복합소재 수요가 필수인 분야에서도 그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다.

 

최근 미국에서는 에폭시수지를 활용하는 주요 전방산업(자동차, 건설, 전기전자 등)이 확대되고 기술 적용 분야가 다양해짐에 따라 지속적인 수요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제조에는 차체 도장, 부품 절연, 전장 부품 접착 등 다양한 공정에서 에폭시수지가 활용되며, 경량화와 연비 개선을 위한 소재로도 주목받고 있다. 미국 신차 판매 흐름을 보여주는 계절조정 연간 판매율(SAAR, Seasonally Adjusted Annual Rate)에 따르면, 2025년 6월 말 기준 미국의 신차 판매는 전년 동월 대비 2.3% 증가한 약 1534만 대를 기록했다. 팬데믹 이전 (2015~2019년) 5년 평균(약 1650만 대)에는 다소 못 미치지만, 수요 회복세가 이어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흐름은 차량용 복합소재인 에폭시수지의 수요 증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건설 및 인프라 산업 또한 교량, 터널, 건축물의 내구성 강화 및 방수·방청 목적의 코팅에 에폭시수지를 사용하고 있는 주요 산업군이다. 미국 인구조사국(U.S. Census Bureau)과 미국 건설업 협회(Associated Builders and Contractors, ABC) 분석에 따르면, 건설 지출은 2025년 기준 팬데믹 이전(2019년) 대비 약 1.5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실질적인 건설 수요 확대와 자재 가격 상승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건설용 에폭시수지 수요 또한 일정 수준 이상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2015~2025년 미국 비거주부문 건설 지출 추이>

(단위: US$ 십억)

* 연 환산기준

[자료: U.S. Census Bureau, Associated Builders and Contractors(2025.7)]

 

한편, 에폭시수지는 반도체 산업의 핵심 소재로 반도체 칩을 외부 충격이나 습기로부터 보호하는 몰딩 컴파운드 및 패키징 공정, 회로기판과의 접합 및 절연, 고온 환경이나 전기적 스트레스에 견디게 하는 절연막 형성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팬데믹 이후 더욱 가속화되고 있는 미국 정부의 제조업 리쇼어링 정책과 반도체법(CHIPS and Science Act)에 따라, 미국 내 반도체 제조 시설은 최근 몇 년간 빠르게 확대됐다. 미국 반도체산업협회(Semiconductor Industry Association, SIA)에 따르면, 현재 미국 전역 28개 주에서 추진 중인 반도체 관련 투자 프로젝트는 100건 이상으로, 총 민간 투자 규모는 5000억 달러를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32년까지 미국의 반도체 제조 용량은 2022년 대비 203%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와 같은 대규모 제조 기반 확대는 미국 내 에폭시수지 수요를 확대시키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된다.

 

<2012~2022, 2022~2032년 미국 및 글로벌 반도체 제조 용량 증가율 비교>

(단위: %)

[자료: Semiconductor Industry Association(2025.7)]

 

이처럼 자동차, 건설, 반도체 등 첨단산업의 성장에 따라 에폭시수지 수요는 앞으로도 계속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시장 조사기관 더비즈니스리서치컴퍼니 (The Business Research Company)의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에폭시수지 시장 규모는 2025년 137억6000만 달러 수준에서 연평균 9.7% 성장해 2029년에는 199억3000만 달러 수준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2024~2029년 글로벌 에폭시수지 시장 전망>

(단위: US십억)

[자료: The Business Research Company(2025.1)]

 

수입규모 및 수입동향

 

미국은 내수 생산 역량에도 불구하고 고기능성 수지 및 특정 등급 제품에 대해서는 여전히 수입 의존도가 높은 편이며 주요 수입국은 한국, 독일, 일본, 캐나다, 태국 등이다. 2024년에는 미국의 에폭시수지(HS Code 3907.30 기준) 수입 규모가 전년 대비 1.8% 감소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한국으로부터의 에폭시수지 수입 규모도 전년 대비 0.7% 감소한 2억313만 달러를 기록했으나 전체 수입액의 36.9%를 차지하며 2023년에 이어 1위를 기록했다. 이는 고기능·고순도 등급 에폭시수지 시장에서 한국의 기술력과 경쟁력을 보여주는 지표다. 한편, 동일 기간 중 이탈리아로부터의 수입은 무려 184% 급증해 수입 대상 지역 중 가장 두드러진 증가세를 보였고, 인도로부터의 수입 또한 39.5% 증가했다.

 

<수입 현황(HS 코드 3907.30 기준)>

(단위: US$ 백만, %)

순위

국가/지역

금액

점유율

증감률

2023

2024

2025.5

2023

2024

2025.5

2023/2024

전체

560.8

550.7

196.4

100

100

100

△1.8

1

한국

204.5

203.1

64.8

36.5

36.9

33.0

△0.7

2

독일

81.9

91.4

29.3

14.6

16.6

14.9

11.6

3

일본

43.6

48.6

20.2

7.8

8.8

10.3

11.5

4

캐나다

45.1

43.9

16.6

8.0

8.0

8.5

△2.7

5

태국

19.8

21.7

14.8

3.5

3.9

7.5

9.6

6

대만

51.4

24.8

7.7

9.2

4.5

3.9

△51.8

7

네덜란드

26.7

21.3

7.1

4.8

3.9

3.6

△20.2

8

스위스

13.6

15.5

6.6

2.4

2.8

3.4

14.0

9

이탈리아

5.0

14.2

4.6

0.9

2.6

2.3

184.0

10

인도

7.6

10.6

4.6

1.4

1.9

2.3

39.5

 [자료: U.S. Census Bureau(2025.7.)]

*주요 수입국 순위는 2025년 5월까지의 누적 기준

 

경쟁 동향

  

미국 내 에폭시수지 시장은 자국 기업과 글로벌 수입업체가 공존하는 구조로, 최근 들어  글로벌 주요 제조사 간의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국면이다. 미국 현지의 대표적인 생산업체로는 올린(Olin), 웨스트레이크(Westlake) 헌츠만(Huntsman), 헥시온(Hexion) 등이 있으며, 이들 기업은 미국 내 전통적 공급 기반을 유지하면서도 수입 제품에 대한 견제를 강화하고 있다. 대표적인 수입기업으로는 우리 기업인 국도화학과 일본의 DIC 등이 자동차, 전자, 친환경, 건설 등 전략 산업별 특화 제품을 중심으로 기술 및 마케팅 경쟁을 본격화하고 있다.

 

<미국 내 주요 에폭시수지 공급사>

기업명

국적

특징

비고

Olin

미국

 북미 최대 에폭시수지 및 염소계 화학 전문 기업

’25년 1분기 실적 발표 중 에폭시 수지 판매는 회복세지만,
아시아산 과잉 공급 영향으로 수익 압박이 지속되고 있다고 밝힘

Westlake

텍사스·일리노이 등에서 대형 생산 시설 운영

’22년 Hexion의 에폭시 사업 인수(전 세계 8개 공장, 5개 R&D 센터 포함)

Huntsman

항공·복합소재용 고기능성 에폭시 생산에 강점

-

Hexion

산업용 접착제와 복합소재용 에폭시수지에 강점

’22년 에폭시 사업 부문 Westlake 사에 인수합병

Kukdo Chemical

한국

에폭시 글로벌 점유율 1위

미국 현지 법인(Kukdo Chemical America) 보유

DIC Corporation

일본

코팅·포토레지스트 등 폭넓은 화학소재 사업 보유

-

Blue Cube

이탈리아

정밀 화학 및 코팅·경화제 분야 전문

밀라노·Pisticci 공장에서 에폭시 수지 생산, 북미 시장 수출 확대 추진

 [자료: 각 사, KOTRA 달라스 무역관 자료 종합]

 

유통구조

 

미국 에폭시수지 시장은 제품의 물성, 최종 수요처의 산업적 특성, 프로젝트 규모 등에 따라 다양한 유통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아래와 같은 경로를 통해 유통된다.

 

<미국 에폭시수지 유통 구조>

[자료: KOTRA 달라스 무역관 자료 종합]

 

에폭시수지는 산업용 코팅, 전자소재, 복합재료 등에 폭넓게 사용되는 특수화학제품으로, 유통 단계에서 고도의 기술 상담과 제품 선택 지원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대형 화학제품 유통업체나 특수소재 전문 유통업체를 통해 공급되는 경우가 많으며, 미국 내 에폭시수지 제품을 유통하는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브랜텍(Brenntag), 유니바솔루션(Univar Solutions), 넥시오 플라스틱(Nexeo Plastics) 등이 있다. 중소 규모의 코팅·접착제 제조사나 전자소재 가공업체 등은 이러한 유통업체를 통해 정량 포장된 제품으로 구매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자동차, 항공우주, 풍력 관련 OEM, 대형 인프라 프로젝트 등 일정 규모 이상의 수요처는 제조사와 직접 거래를 통해 맞춤형 스펙 공급 계약 또는 장기공급계약(Long-term supply agreement)을 체결한다.

 

관세율, 인증

 

미국 국제무역위원회(USITC)에 따르면, 에폭시수지에 해당하는 HS 코드 3907.30에 대한 일반 관세율은 6.1%지만, 한국산 제품의 경우 한미 FTA에 따라 일반 관세는 면제된다. 다만, 2025년 3월 31일 미국 상무부(DOC)는 한국, 중국, 인도, 대만, 태국산 에폭시수지 제품에 대한 반덤핑·상계관세 최종 판정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한국산 제품에는 기업별로 상이하나 합산 기준 6.69~9.44%의 반덤핑·상계관세가 부과되고 있다. 한편, HS 코드 3907.30인 에폭시수지는 올해 4월 발표된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 부과 제외 품목이다.

 

미국 수입 시장에서 유통되는 에폭시수지는 사용처에 따라 다양한 안전성과 환경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산업별 주요 인증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전자 및 전기 부문에서는 UL 인증(Underwriters Laboratories Certification)이 거의 필수적으로 요구되며, 자동차 부문에서는 ISO/TS 16949 및 AEC-Q200 인증, 건설 분야에서는 적용 용도에 따라 ASTM, ANSI, LEED 인증 등이 필요할 수 있다. 이들 인증은 제품의 사용처, 납품처, 조달 조건에 따라 필수 또는 권고 수준으로 요구된다.

 

한편, 미국 환경청(EPA)의 TSCA(유해물질규제법) 준수 여부와 탄소발자국 인증, ESG 관련 인증 등을 미국 내 유통 및 고객사의 공급망 관리 기준에 따라 추가로 요구할 수 있다.

 

시사점

 

미국 시장에서 에폭시수지 수요는 자동차, 반도체, 전자, 건설 등 다양한 산업의 확장에 힘입어 점진적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특히 미국 정부 차원의 반도체 리쇼어링, 인프라 사업 확대는 관련 산업 전반의 자재 수요 확대를 동반하고 있어, 기능성 화학소재인 에폭시수지에 대한 중장기적인 수요도 함께 커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고강도·고절연 특성이 요구되는 산업 부문에서의 수요 확대는 국내 기업에는 긍정적인 기회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에폭시수지 관련 우리 기업들은 미국 시장에서 필요로 하는 인증 요건 확보와 유통 구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산업별 고객 요구에 부합하는 기술영업 역량 확보가 중요할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전략적 접근을 통해 미국 내 에폭시수지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도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자료: U.S. Census Bureau, Associated Builders and Contractors, Semiconductor Industry Association, The Business Research Company, Olin, Westlake, Huntsman, Hexion, Kukdo Chemical, DIC Corporation, Blue Cube, KOTRA 달라스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에폭시수지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