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카타르 기초 화장품 시장 동향
  • 상품DB
  • 카타르
  • 도하무역관 조지훈
  • 2025-08-25
  • 출처 : KOTRA
Keyword #중동 #뷰티

한국산 수입 급증… 카타르 기초화장품 시장의 신흥 강자 부상

‘프리미엄 대비 합리적’… 한국 제품의 가격 경쟁력 부각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기초 화장품

HS Code

3304.99


시장 동향


카타르의 기초 화장품 시장은 전체 인구 대비 실제 수요층이 제한적임에도 불구하고, 일정 규모의 고정 수요를 기반으로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카타르 인구 약 300만 명 중 과반수가 20~40대 남성 단순노동자로 구성돼 있어 기초 화장품에 대한 직접적인 수요는 낮은 편이지만, 이외 중산층 이상의 여성 소비자, 특히 현지 여성과 외국인 거주 여성들 사이에서는 피부 보습, 미백, 자외선 차단 등의 기능성 기초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하다.


무알콜, 무향료, 저자극 등 피부 자극을 최소화한 ‘클린 뷰티’ 제품에 대한 선호가 확산되는 가운데, 한국산 기초 화장품은 이러한 트렌드에 부합하여 점차 인지도를 높이고 있다. 한류 영향과 함께 주요 쇼핑몰, 뷰티 전문점, 이커머스 플랫폼을 통한 노출 증가도 소비자 접근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현지 유통기업들이 대형 오프라인 채널 및 자사 온라인몰을 통해 한국 제품을 적극적으로 수입‧판매하면서, 한국 브랜드의 시장 진출 기반도 마련되고 있다. 구매 결정 시 인증, 성분, 효능에 대한 신뢰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어, 기업들은 제품의 기능성과 투명한 정보 제공 전략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수입 동향 


<최근 3년 카타르 기초 화장품 수입동향>

(단위: US$ 백만, %)

순위

구분

수입액

비중

2022

2023

2024

2022

2023

2024

총계

113

122

139

100

100

100

1

랑스

25

24

27

22

19

19

2

미국

17

19

21

15

15

14

3

이탈리아

10

11

11

8

9

7

4

3

5

11

2

4

7

5

UAE

0

3

11

5

7

6

6

스페인

7

9

9

0

0.8

2

7

독일

6

6

5

5

4

3

8

폴란드

5

5

5

4

4

3

9

스위스

5

5

5

0

0.8

2

10

중국

3

3

5

2

2

3

(주: 순위는 2024년 기준)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7.)]


카타르의 기초 화장품(HS Code 330499 기준) 수입시장은 최근 3년간 뚜렷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으며, 한국 제품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총 수입액은 2022년 1억1300만 달러에서 2023년 1억2200만 달러, 2024년 1억3900만 달러로 증가하며, 매년 두 자릿수 비율로 확대되고 있다. 프랑스는 전통적인 강세를 유지하며 2024년 기준 2700만 달러(비중 19%)로 1위를 지켰고, 미국이 2100만 달러(14%)로 그 뒤를 이었다. 눈에 띄는 점은 UAE가 2024년 기준 1100만 달러(8%)를 기록하며 6위에 오른 것이다. 이는 두바이 등 UAE 내에 다수의 글로벌 브랜드의 중동 지역 본부 및 총판이 위치해 있어, 이들 제품이 카타르로 재수출되는 구조 때문으로 해석된다. 


한편, 한국의 기초 화장품은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였다. 2022년 300만 달러(2%)에 불과하던 수출은 2023년 500만 달러(4%), 2024년에는 1100만 달러(7%)로 수직 상승했다. 2년 만에 수입 규모가 무려 2배 이상 증가하며, 기존 강국인 이탈리아(1100만 달러)와 어깨를 나란히 할 만큼의 경쟁력을 입증했다. 특히 카타르 내 유통사들과의 협업 확대, 이커머스 진출, 한국 브랜드에 대한 긍정적 소비자 인식이 맞물리며 수요가 급증한 것으로 분석된다. 한국산 기초 화장품의 상승세는 '대안 브랜드'를 넘어서는 '주류 브랜드'로의 전환기에 진입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경쟁동향


<카타르 대표 기초 화장품>

사진

제품정보

사진

제품정보

La Roche Posay Effaclar Duo+M Acne Treatment Cream for Oily and Acne Prone Skin 40ml

제품명: La Roche Posay Effaclar Duo +M Acne Treatment Cream for Oily and Acne Prone Skin
가격: 131 QAR
원산지프랑스
특징: 민감성 피부트러블케어

QV Face Gentle Facial Cleanser 250 ML

- 제품명: QV Face Gentle Facial Cleanser
가격: 67 QAR

- 원산지: 호주

- 특징: 민감 피부용

Buy Cetaphil Moisturizing Cream Dry to Normal Skin 250 GM Online - Kulud Pharmacy

- 제품명: Cetaphil Moisturizing Cream Dry to Normal Skin 
가격: 110 QAR
원산지: 미국

특징: 보습(48시간), 피부장벽 개선

Vichy Liftactiv Collagen Specialist Day Cream Anti Aging Face Moisturizer 50ml

제품명: Vichy Liftactiv Collagen Specialist Day Cream Anti Aging Face Moisturizer
가격: 202 QAR

원산지프랑스

특징: 안티에이징, 피부 탄력

앉아있는, 테이블, 목재의, 검은색이(가) 표시된 사진 자동 생성된 설명

제품명: Bielenda Carbo Detox Moisturizing and Mattifying Carbon Face Cream
가격: 75 QAR
원산지:  폴란드
특징:   성분보습모공수축


제품명: NIVEA SUN UV FACE ANTI-AGE ANTI-PIGMENTS
가격: 48 QAR
원산지독일
특징노화 방지자외선 차단(SPF 50)

Buy BIODERMA PHOTO. MAXFLUID SPF100 CLAIRE 40ML Online - Kulud Pharmacy

제품명: Bioderma Maxfluid Spf100 Claire
가격: 110 QAR
원산지: 프랑스
특징자외선 차단(SPF 100)  

Buy Soskin Clarifying Cleansing Foam 100ML Online - Kulud Pharmacy

제품명: Soskin Clarifying Cleaning Foam
가격: 111 QAR
원산지프랑스
특징: 피부 진정

Eucerin Dermo Purifyer Oil Control Adjunctive Cream 50 ML

제품명: Eucerin Dermo Purifyer Oil Control Adjunctive Cream
가격: 104 QAR

원산지: 독일

특징: 지성피부, 피부 트러블

음식이(가) 표시된 사진 자동 생성된 설명

제품명: Beesline Apitherapy After Sun Cooling Lotion

가격: 46 QAR
원산지레바논
특징애프터 쿨링 기능보습 

*주: 1 USD = 3.64 QAR
[자료: Kulud Pharmacy, Carrefour, Myriad Beauty, Adoony Beauty 등]


카타르 기초 화장품 시장에서는 유럽과 미국 프리미엄 브랜드가 여전히 강세를 보이며, 상대적으로 가격대가 높은 제품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대표적으로 프랑스 브랜드 La Roche PosayBioderma, 미국 브랜드 Cetaphil은 현지 소비자들에게 인지도가 높고 약국 및 대형마트 등 다양한 유통채널을 통해 판매되고 있다. 이들 제품은 100~130QR(30~40달러) 수준의 가격대로 형성돼 있으며, 민감성 피부용, 자외선 차단 기능 제품이 주력이다.


예를 들어, La Roche Posay의 여드름 전용 크림은 131 QAR(약 36달러), Bioderma의 자외선 차단제는 110 QAR(약 30달러), Cetaphil 보습 크림은 110 QAR 수준으로, 기능성 제품에 프리미엄 가격이 매겨지는 경향이 뚜렷하다. 또한, 고가 라인업으로는 미국산 Derma Doctor의 여드름 앰플이 370 QAR(약 101달러)에 판매되고 있어, 일부 소비자층을 타깃으로 한 고가 제품도 시장에서 일정 수요를 확보하고 있다.


반면 한국산 기초 화장품은 대체로 80~100 QAR 수준으로 형성돼 있어 프랑스 및 미국 브랜드 대비 가격 경쟁력이 있다. 이로 인해, 가성비와 성분 안정성을 중시하는 소비자들 사이에서 가심비 높은 대안 브랜드로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 실제로 소비자들은 한국 제품의 효능, 텍스처, 성분 투명성에 대한 만족도가 높으며, 현지 뷰티 인플루언서나 약사들 사이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이 확산되고 있다.


즉, 한국산 제품은 프리미엄 브랜드 대비 소폭 낮은 가격대를 유지하면서도 인지도와 충성도 면에서 오히려 더 강한 소비자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이는 가격 대비 효과를 중시하는 현지 소비자 심리와도 맞물려, 향후 유통 확대 및 브랜드 홍보에 따라 시장 점유율 확대 여지가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


유통구조  


<카타르 기초 화장품의 유통 구조>

 [자료: KOTRA 도하무역관 자체 조사 자료]


카타르 기초 화장품의 유통 구조는 해외 제조사 및 수출업체로부터 현지 수입업체가 제품을 수입한 뒤, 온·오프라인 채널을 통해 소비자에게 전달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오프라인 유통은 약국 및 드럭스토어, 뷰티살롱, 대형마트, 화장품 전문매장, 프랜차이즈 브랜드 매장 등으로 다양하며, 기능성 제품은 약국 위주로, 프리미엄 제품은 전문매장 중심으로 판매된다. 온라인 유통은 인터넷 쇼핑몰,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SNS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특히 젊은 소비층과 외국인 거주자들 사이에서 높은 접근성과 편리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한국산 화장품은 SNS와 모바일 앱 기반 마케팅을 통해 인지도를 넓히고 있으며, 오프라인 입점도 점차 확대되는 추세다. 최근에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유통 전략이 강화되고 있다.


바이어 인터뷰


카타르의 대형 유통망을 보유한 화장품 수입·유통업체 A 사 관계자는 KOTRA 도하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과거에는 당사 내 한국 제품 비중이 매우 낮았으나, 최근 2~3년 사이 현지 소비자들의 한국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면서 전략적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그는 “한국 제품에 대한 진입은 비교적 늦은 편이었으나, 2년 전 처음으로 소규모 라인업을 도입한 이후, 현재는 전체 취급 제품의 약 30~40%가 한국제품으로 채워질 정도로 확대됐다"며 "수입량도 매년 전년 대비 2-3배 증가하고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현지 소비자들이 품질과 성분, 효능 면에서 한국 제품을 직접 찾는 경우가 많아지면서, 이러한 수요를 반영해 브랜드와 품목을 꾸준히 늘려가고 있으며, 매출 면에서도 매우 긍정적인 결과를 보고 있다”라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이 같은 흐름에 따라 당사는 향후에도 한국 제품 라인업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수입규제  관세율


HS 330499에 해당하는 기초 화장품 제품은 5% 관세가 적용되며, 현지 수입업체는 카타르 공공보건부(Ministry of Public Health, MoPH) 사전 제품 등록을 필수적으로 거쳐야 한다. 등록 절차는 일반적으로 1~3개월이 소요되며, 수입업체 1개사당 월 최대 15개 제품까지 등록 신청이 가능하다. 이 과정에서 일부 제품군(예: 헤어케어, 아이브로우 제품, 향수 등)은 제품 안전성 검증을 위한 테스트 결과 보고서 제출과 함께 카타르 표준청(QGOSM)의 승인이 추가로 요구될 수 있다. 


MoPH 등록 시에는 품목 리스트, 원산지, 용처, 제조일자, 유통기한, 제품 성분 등이 포함된 제품 검사 신청서, 품목별 실물 샘플 1개, 수입자의 사업자 등록증, 제품 포장 디자인 파일 등을 제출해야 하며, 포장에는 영어 또는 아랍어로 제품명, 보관방법, 제조사, 원산지, 연락처, 사용방법 및 유의사항, 제조일자 및 유통기한이 반드시 표기되어야 한다.


시사점


카타르 기초 화장품 시장에서 한국산 제품은 단순히 ‘선택지 중 하나’를 넘어, 주요 유통사들이 핵심 브랜드로 인식하는 수준까지 도약하고 있다. 특히 최근 2년간의 수입 증가율과 유통망 내 점유율 확대는, 한국산 제품이 기능성, 성분 안정성, 가격 대비 품질 등 다방면에서 현지 소비자 기대를 충족시킨 결과이다. 과거에는 프랑스, 미국 브랜드에 집중돼 있던 소비 수요가 이제는 ‘비교 후 선택’이 아닌, ‘처음부터 한국 브랜드를 찾는’ 구매 행동으로 전환되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카타르 기초 화장품 시장에서 한국 기업은 제품 다변화, 가격 전략, 유통 협력, 인증 대응, 디지털 마케팅, 브랜드 자산 구축 등 다양한 측면에서 전략적 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 현지 시장에서는 고보습, 미백, 여드름 케어, 자외선 차단 등 기능별 제품군이 주류를 이루고 있으며, 무알콜·무향료·비채색 등 이슬람 문화권 특성에 부합하는 제품이 선호되는 만큼, 민감성 피부용, 클린뷰티 인증, 남성 전용 제품 등 현지 맞춤형 라인업 개발이 요구된다. 


또한, 한국 제품은 유럽·미국 브랜드 대비 소폭 낮은 가격대로 포지셔닝돼 있으나, 온라인 리뷰, 체험단, 인플루언서 마케팅을 적극 활용한 품질 홍보로 ‘저가’가 아닌 ‘가성비 높은 프리미엄’이라는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 유통 측면에서는 빠른 리드타임과 공급 안정성이 중요한 만큼, 현지 유통사와의 독점 계약, 물류 파트너 연계, 창고 운영 등을 통한 유통 체계 안정화가 필요하다. 


아울러, 제품 수입을 위해 보건부 등록 절차 및 MSDS, 성분표 등 문서 요건에 대응할 수 있는 인증 전문 인프라 확보도 필수적이다. 더불어, 카타르 젊은 소비자층은 SNS 콘텐츠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TikTok, Instagram 등에서의 인플루언서 마케팅과 온라인 인지도 제고를 통한 초기 진입 전략이 효과적이며, 장기적으로는 현지 소비자 대상 체험 마케팅, 약국·뷰티살롱과의 공동 프로모션, 라마단·내셔널데이와 같은 시즌 마케팅을 통해 브랜드 자산을 축적해야 한다. 이처럼 카타르 시장은 한국 제품이 ‘핵심 브랜드’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춘 유망 시장으로, 현지화 전략과 통합적 시장 접근을 통해 장기적 선점이 충분히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주요 일간지(Gulf Times, Qatar Tribune, Peninsula), Instagram, PSA(Planning & Statistics Authority), KOTRA 도하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카타르 기초 화장품 시장 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