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인도네시아 콘택트렌즈 시장동향
  • 상품DB
  • 인도네시아
  • 자카르타무역관 도희수
  • 2025-07-01
  • 출처 : KOTRA

뷰티 액세서리로서 수요 증가에 따라, 콘택트렌즈 시장 확대 전망

상품명 및 HSCODE

 

Hscode 900130은 콘택트렌즈를 포함하며, 이는 시력 교정 또는 미용 목적으로 눈에 착용할 수 있는 의료용 광학기기를 의미한다. 대개 하이드로겔이나 실리콘 하이드로겔로 만들어지며, 근시, 원시, 난시 등 다양한 시력문제를 치료하는 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일회용, 장기간 착용을 위한 목적, 컬러렌즈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안경 대신 사용되기도 한다. 

 

시장동향 및 규모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인도네시아의 콘택트렌즈 시장규모는 2020년부터 2024년까지 안정적인 증가세에 있다. 2020년 1980만 달러에서 매년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2023년에는 2940만 달러, 2024년에는 3300만 달러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시장 성장은 계속돼 2029년까지 약 4620만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인도네시아 보건부에 따르면, 약 1000만 명에 달하는 인구가 근시, 원시 등 다양한 유형의 시력 이상을 겪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디지털 기기 사용 증가로 인한 눈 관련 질환의 증가가 주요 원인 중 하나이다. 이로 인해 시력교정 기기로서의 콘택트렌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으며, 착용감을 개선한 제품들이 많아지면서 점점 소비자들의 선택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 

 

특히 미용 목적의 콘택트렌즈의 인기가 젊은 연령대를 중심으로 높아지고 있다. 인도네시아 패션디자이너협회(APPMI)는 콘택트렌즈의 수요 증가가 뷰티 및 패션트렌드에 따라 변화하고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실제로 인스타그램, 틱톡과 같은 소셜미디어 플랫폼 내 영상이나 유행에 따라 컬러렌즈, 서클렌즈 등에 대한 제품에 대한 관심이 크게 늘었으며, 이는 스타일을 중시하는 소비자들의 수요가 판매자들에게는 동시에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다.

 

아울러 최근 몇 년 사이 온라인 판매채널도 크게 성장했으며, 작은 도시들에도 인터넷망이 연결되면서 온라인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높아졌다. 인도네시아 정보통신부에 따르면 70% 이상의 인구가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커머스 플랫폼의 대상 지역 또한 확장되고 있다. 온라인 쇼핑이 간편해지면서 구매자들은 제품의 리뷰와 가격을 손쉽게 비교하고 있다.

 


<2020~2029년 인도네시아 콘텍트렌즈 시장 규모>

(단위: US$ 백만)

 

[자료: 유로모니터(Euromonitor)]

(*주: 2025~2029년은 추정치)

 

단, 해외 콘택트렌즈 제품의 경우 프리미엄 브랜드가 많으며, 높은 수준의 기술이 탑재된 경우가 많다. 이 경우 제품의 가격이 높아 일반 안경과 비교했을 때 쉽게 구매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인도네시아 소비자 보호 협회(YLKI)는 현지 생산 콘택트렌즈와 수입 콘택트렌즈의 가격 차이가 큰 점에 대해서 지적하기도 했다.

 

또한 도시를 제외한 지역에서는 아직 콘택트렌즈라는 제품에 대한 이해도가 낮다. 자카르타와 같은 주요 도시의 경우 콘택트렌즈의 사용은 증가하고 있지만, 시골 지역은 제품에 대한 인식과 접근성이 모두 낮다. 인도네시아 통계청(BPS)에 따르면, 인구의 약 43%가 농촌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농촌 지역에는 콘택트렌즈에 대한 선택지가 제공되지 않아 결과적으로 콘택트렌즈 사용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 지역들은 보건의료 인프라가 부족하고, 안과 전문 인력도 부족하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어 주민들이 시력검진 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렵다. 이 지역에서 접근성과 보급을 개선하는 것이 큰 과제로 남아있다.

 

택트렌즈 수입동향 및 국가별 수입규모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자료에 따르면, HS Code 900130에 해당하는 제품의 수입은 최근 5개년 동안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21년도 1148만7000달러에서 2024년 3227만1000달러로 증가했다. 2021, 2022년도의 경우, 전년 대비 90%가 넘는 수준으로 수입 규모가 크게 증가했으나 2023, 2024년도에 그 증가 폭이 12%~27% 정도로 줄어들었다.


전체 수입량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곳은 싱가포르로, 2024년 기준으로 전체 수입량의 약 45.6%를 차지한다. 뒤이어 말레이시아에서 19.2%를 수입하고 있으며, 한국이 15.7%로 세 번째를 차지하고 있다. 2021년도 기준 전 세계 수입 규모의 약 64%가 한국산으로, 한국이 인도네시아의 제1위 수입국이었지만, 최근 3년 사이 수입량이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로부터 크게 역전됐다. 인도네시아 보건부 시스템 등록기준으로 보았을 때, 싱가포르 및 말레이시아에서 Alcon사 제품이 생산되고 있어 해당 수입이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인도네시아 HS Code 900130 수입 현황>

(단위: US$ , kg, %)

연도

수입규모(USD)

수입규모(kg)

증감율

2020

5,996

111

-53.9%

2021

11,487

174

91.5%

2022

22,604

320

96.7%

2023

25,370

380

12.2%

2024

32,271

498

27.2%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콘택트렌즈(HS Code 900130) 수입 규모>

(단위: US$ 천, %)

순위

구분

수입 규모

비중

증감율

2021

2022

2023

2024

2024

23/24

 

전 세계

11,487

22,604

25,370

32,271

100.00

27.2

1

싱가포르

820

2,461

10,126

14,714

45.59

45.3

2

말레이시아

261

8,380

4,348

6,204

19.23

42.7

3

한국

7,386

7,010

6,385

5,071

15.71

-20.6

4

아일랜드

1,636

2,752

2,653

2,728

8.45

2.8

5

중국

22

38

290

1,412

4.37

386.9

6

미국

685

1,024

955

1,248

3.87

30.8

7

스위스

251

413

305

421

1.30

38.1

8

일본

33

78

141

200

0.62

42.1

9

독일

0

218

6

88

0.27

1366.7

10

대만

93

37

1

79

0.24

7800.0

[자료: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유통구조

 

인도네시아 무역부 규정에 따라, 자국 외 기업이 자사의 제품을 인도네시아 내에서 유통할 때 현지의 에이전트 혹은 유통업체와 계약을 체결해야 한다. 수입 콘택트렌즈는 일반적으로 제조업체에서 시작하며, 해외 브랜드가 지정한 독점 파트너인 총판(Sole Distributor)이나 수입사로 이어진다. 이후 제품은 다시 지역 유통업체나 병원, 클리닉과 같은 의료기관에 공급된다. 의료기관에 납품된 제품은 안과 전문의를 통해 소비자에게 직접 제공되는 방식의 유통이 이뤄진다.

 

<콘택트렌즈 유통 구조>

 [자료: 유로모니터,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콘택트렌즈 유통사 리스트>

회사명

설명

PT. Creative Management Optical

콘택트렌즈를 포함한 안과용 의료기기 유통업체로, 글로벌 옵티컬 제품 유통업체

PT. Aquavue Vision International

시력관리 및 의료기기 유통업체로, 안경, 렌즈, 의료장비 등을 취급하며 3PL 서비스도 제공함

Optik Melawai

규모가 크고 잘 알려진 옵티컬 브랜드로, 주요 글로벌 브랜드 제품을 판매하며 매장 내에서 안경, 렌즈 제작 등의 서비스도 제공

[자료: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경쟁동향


<경쟁 동향> 

회사명

설명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미국)

콘택트렌즈 및 렌즈관련제품을 생산하는 제조사로 대표적인 브랜드로 아큐브(acuvue) 가 있음

Bausch Health Companies Inc. 

(미국/캐나다)

북미 기반의 아이케어 전문 기업으로SoftLens와 Biotrue 제품이 대표적임

Alcon Inc. 

(미국/스위스)

안과 수술제품과 다양한 종류의 콘택트렌즈 등을 전문으로 하는 브랜드로, Air Optix, FreshLock 제품으로 잘 알려져 있음

The Cooper Companies, Inc. 

(미국)

Coopervision제품의 렌즈를 생산하는 미국 기업으로 biofinity, Myday 등 난시용 및 다초첨렌즈가 잘 알려져 있음

Geo Medical Co., Ltd. 

(한국)

한국의 컬러렌즈 및 교정용 소프트렌즈 제조기업으로 Geo Super Angel, Geo Magic Color, Geo Magic Circle 등이 대표적임

PT. Vision Abadi 

(인도네시아)

인니의 광학 및 콘택트렌즈 기업으로, X2 와 Ecoticon과 같은 로컬브랜드가 대표적임

[자료: 홈페이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재가공]

 

관세율 및 인증

 

인도네시아는 의료기기를 위험도에 따라 저위험도인 A등급에서부터 고위험도인 D등급으로 분류하고 있으며콘택트렌즈는 위험 등급 C단계에 속한다인도네시아 보건부 규정에 따르면, 콘택트렌즈를 유통하기 위해서 인도네시아 보건부를 통해 의료기기 승인과 유통 등록번호를 받아야 한다. 이는 Kemenkes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진행할 수 있으며, 유통사는 의료기기 유통자격(IPAK)을 보유하고 있어야 한다.


HS Code

제품명

관세율

VAT

MFN

AKFTA

IKCEPA

90013000

Contact Lenses

5%

0%

0%

12%

[자료: 인도네시아 재무부]

 

시사점

 

최근 인도네시아 젊은 소비자들을 중심으로, 기호가 다양해지고, 패션과 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컬러렌즈를 패션 및 뷰티 액세서리로서 많이 소비하고 있다. 또한 시력교정용으로 사용하거나 찾는 사람들도 증가하고 있다. 다만, 동시에 도시지역을 중심으로 라식 등과 같은 시력교정 수술도 보편화되는 추세라 콘택트렌즈의 수요에는 복합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다양한 디자인과 시즌한정 제품, 브랜드 협업 등이 마케팅에 효과적일 수 있으며, 틱톡, 인스타그램과 같은 SNS를 활용한 인플루언서 마케팅, 라이브커머스 방식도 고려할 수 있다. 다만 상당수의 제품이 전문매장이나 병원 등을 통해 유통이 이뤄지므로, 적절한 수입사, 유통사 발굴도 중요하며 보건부 인증 등을 사전에 준비해 현지 유통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자료: 유로모니터, 인도네시아 통계청(BPS), 인도네시아 보건부, 각 사 홈페이지, 인도네시아 재무부, KOTRA 자카르타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인도네시아 콘택트렌즈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 뉴스를 본 사람들이 많이 본 다른 뉴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