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BIOFACH CHINA 2025 아시아 국제 유기농 전시회 참관기
  • 현장·인터뷰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5-06-27
  • 출처 : KOTRA

중국, 2023년 유기농 제품 판매액 최초로 1000억 위안 돌파

건강과 환경 모두를 챙길 수 있는 유기농 제품을 한눈에

유기농을 향해 커지는 관심! 규모를 늘려가는 아시아 국제 유기농 전시회

 

지난 611일부터 13일까지 총 3일간 상하이 푸동 신국제전람중심에서 아시아 국제 유기농 전시회(BIOFACH CHINA 2025)가 개최됐다.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유기농 관련 전시회 중 하나로 평가받는 전시회인 만큼 해가 바뀔수록 전시 규모와 전시 품목 범위를 더욱 확장하고 있다.

 

올해로 18번째 개최를 맞은 BIOFACH CHINA 2025200여 개사 기업이 참가해 유기농 식품, 천연 화장품, 유기농 관련 기술과 설비 그리고 지속가능 제품 등의 다양한 혁신 제품을 선보였다. 특히, ‘유기농 산업의 새로운 시대’, ‘저탄소 유기농과 지속가능 식품 산업등의 포럼과 전시회 내의 비즈니스 매칭 프로그램인 ‘Organic Link’가 신설돼 참가 기업 간 교류의 허브 역할을 다하기도 했다.

 

건강·환경에 대해 관심이 커지는 중국인들의 수요에 상응하여 중국 유기농 시장은 점차 규모를 늘려가고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BIOFACH CHINA는 중국 유기농 시장 동향을 확인할 수 있는 핵심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했다.

 

<BIOFACH CHINA 2025 아시아 국제 유기농 전시회 개요>

전시회명

아시아 국제 유기농 전시회 참관기(BIOFACH CHINA 2025)

亚洲国际有机产品博览会

개최 기간

2025611~ 613, 3

개최 장소

상하이 푸동 신국제전람중심(SNIEC, 上海新国际博览中心)

주최 기관

뉘른베르크 그룹(NürnbergMesse Group)

纽伦堡会展(上海)有限公司

개최 규모

전시 면적: 12,000이상

참가 기업: 200여 개사

관람객: 15,000명 이상

전시 분야

유기농 식품 및 음료 유기농 화장품 유기농 주류

유기농 유제품 유기농 관련 기술 및 설비

홈페이지

https://www.biofachchina.com/

[자료: 전시회 홈페이지]

 

<전시회장 전경>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7c000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00pixel, 세로 1067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7c000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00pixel, 세로 1067pixel

[자료: 전시회 홈페이지]

 

<전시회 구성>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7c03a9.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545pixel, 세로 363pixel

[자료: 전시회 홈페이지]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식품을 찾는 중국

 

중국에서는 건강을 중시하는 식품 소비 트렌드에 따라 유기농과 천연 식품에 대한 수요가 지속되고 있다. 중국 소비자는 유기농 식품이 건강에 좋고 영양이 우수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Statista의 조사에 따르면 약 80%에 육박하는 중국 소비자들이 유기농 식품에 대해 유기농이 아닌 식품보다 더욱 안전하고, 영양이 풍부한 식품이라고 답했다.

 

중국 소비자들의 이러한 인식은 유기농 제품 구매 행위로 이어져 중국의 유기농 식품 시장은 지난 10년간 빠른 성장을 보여주고 있다. 중국 국가시장감독총국이 발표한 <중국 유기농 제품 인증 및 유기농 산업 발전(2024)(中国有机产品认证与有机产业发展)>에 따르면 2023년 중국의 유기농 제품 판매액은 최초로 1000억 위안(한화 약 19조 원)을 돌파하며 전 세계 3위 수준으로 규모가 확대됐으며, 2018년부터 2023년까지 유기농 제품 판매 규모는 연평균 9.3% 성장했다.

 


<2020~2024년 중국 유기농 식품 산업 규모 추이>

(단위: 억 위안)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7c000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705pixel, 세로 690pixel

*2024년은 추산치

[자료: 국가시장감독총국]

 

유기농 식품과 함께 뜨는 라이징 스타 식물성 식품

 

식물성 식품이란 주로 곡물, 채소, 견과류, 콩류 등 식물에서 유래한 식품을 말한다. 식물성 식단은 동물성 식품 섭취를 최소화하고, 식물성 식품을 주로 섭취하는 식생활 습관을 의미한다. 중국인들의 생활 수준이 향상되고 건강에 이로운 성분으로 구성된 식품 수요가 증가하며 식물성 식품에 대한 관심도 유기농 식품과 함께 확대되는 추세이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에 따르면 2024년 중국의 식물성 식품 시장규모는 1230억 달러(한화 약 172조 원) 육박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2023년 대비 5.7% 증가한 수준으로 2028년에는 1515억 달러에 달한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2016년 중국 정부가 탄소중립 정책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기 시작하면서 국가 전체 육류 소비를 줄이겠다는 계획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중국 식물성 육류 및 우유 시장규모(2020~2024E)>

(단위: 백억 달러)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E

식물성 우유

1.49

1.79

1.99

2.13

2.37

식물성 육류

8.61

8.83

9.17

9.51

9.93

합계

10.1

10.62

11.16

11.64

12.30

[자료: 농수산식품유통공사]

 

다양해지는 유기농 식품의 판매 경로: 허마셴생(盒马鲜生) 사례

 

현재 중국 유기농 식품 시장에서는 다양한 품목의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가령, 유기농 식품 하면 쉽게 떠올릴 수 있는 과일, 채소, , 곡물 등이 있고 그 외에도 주류와 영유아 식품도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유기농 관련 제품들이 인기를 끌기 시작하면서 해당 제품의 판매 경로도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주로 대형마트, 편의점, 유기농 전문 판매 매장에 분포돼 있고, 특히 최근 온라인 채널의 비중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중국판 마켓컬리라고도 불리는 알리바바 그룹 산하의 허마셴셩(盒马鲜生)2016년 상하이에서 1호 오프라인 매장을 개장한 후, ·오프라인에 구애받지 않고 소비자가 주문하면 고품질의 신선 식품을 신속하게 배송해주는 시스템을 선보이고 있다.

 

허마셴셩(盒马鲜生)2020년 유기농 채소 판매를 주로 하는 신선유기농자체 브랜드를 선보였다. 또한 2022년에는 조금 더 확장하여 채소뿐만 아니라, 과일, 육류, 계란, 유아식품 등의 품목까지 포함된 허마유기농으로 개편하여 출시한 바 있다. 중국 내 최대의 유기농 식품 쇼핑 플랫폼이 되는 것을 목표로 두고 경영을 이어가고 있다.

 

<허마셴셩(盒马鲜生) 온라인 유기농 판매 플랫폼>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7c000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10pixel, 세로 772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7c000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10pixel, 세로 772pixel

[자료: 위챗 허마셴셩(盒马鲜生) 미니 프로그램]

 

 

전시회 현장 스케치

 

금번 전시회의 주제는 다가오는 미래를 기대하며였던 만큼, 다양한 기업들은 지속가능한 미래와 사람들의 건강을 고려한 제품들을 선보였다. 중국 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유기농 유제품 중에 하나인 터룬쑤(特仑苏)는 작년 동 전시회의 공식 스폰서로 참가한 바 있었고 올해도 어김없이 전시회의 공식 파트너로 기업 이름을 올렸다.

 

올해는 특별하게 전시회 일정에 ‘BIOFACH CHINA 2025 Organic Power Awards’가 개최됐다. 터룬쑤(特仑苏)는 지금까지 뛰어난 품질과 제품 다양성을 인정 받아 수상하는 쾌거를 이뤄냈다. KOTRA 상하이무역관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터룬쑤(特仑苏)의 관계자 L씨는 터런쑤(特仑苏)CHINA BIOFACH뿐만 아니라, Germany BIOFACH에서도 인정받아 12년 연속으로 금상을 수상한 바 있다"고 밝혔다. 글로벌 시장에서도 터룬쑤(特仑苏) 유기농 제품 품질이 뛰어나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터룬쑤(特仑苏)는 멍뉴유업(蒙牛乳业)의 대표 우유 브랜드로, 고급 프리미엄 우유 시장을 겨냥해 탄생했다. 2011년에는 중국 유기농 우유 시장에서 점유율 약 60%까지 육박한 바 있고, 중국 우주항공 공식 납품 브랜드로 선정됐다. 현재는 건강과 안전 이미지를 앞세워 중국 소비자들과 글로벌 시장에서 높은 신뢰와 인지도를 유지하고 있다.

 

<전시회 입구에 걸린 터룬쑤(特仑苏) 광고와 전시회 수상 제품>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7c0007.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280pixel, 세로 1707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7c0008.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00pixel, 세로 1066pixel

[자료: KOTRA 상하이무역관 자체 촬영 및 전시회 홈페이지]

 

중국인증인가협회(China Certification & Accreditation Association)

 

중국인증인가협회(CCAA)2005년 중국 내 인증·인정·검사 등 관련 산업의 발전과 자율관리를 목적으로 설립된 비영리 산업 단체이다. 현재 인증 인력 관리 및 교육과 국가 표준 제정 및 개정 등의 업무를 주로 진행하고 있다.

 

이번 전시회에서 중국인증인가협회는 부스를 마련하여 기업들에 유기농 인증제도, 인증 절차, 최신 정책 변화 등의 정보를 제공했다. 상담을 진행한 기업 및 바이어들은 유기농 인증 획득 방법과 절차 그리고 수출입 애로사항을 공유하는 기회를 가졌다.

 

<중국인증인가협회 전시회 부스에서 상담을 진행하고 있는 현장>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7c000b.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00pixel, 세로 1066pixel

[자료: 전시회 홈페이지]

 

유기농 가공식품 제조기업 A

 

중국 흑룡강성 하얼빈시에 소재한 종합 유기농 식품 기업 A사는 중국을 비롯해 프랑스와 일본 등지에서 유기농 인증을 받은 기업이다. KOTRA 상하이무역관과 진행한 인터뷰에서 관계자 Z씨는 유기농 원료 생산기지를 보유하여 유기농 곡물, 밀가루와 백주 등의 가공식품을 주요 제품군으로 생산하고 있다고 밝혔다.

 

Z씨는 이어서 부스에 전시돼 있는 제품을 설명하면서, BIOFACH CHINA 2025에서 수상한 제품을 홍보했다. 앞으로는 인기가 커지는 유기농 시장 흐름에 편승하여 사업을 더욱 확장하고 싶다며 포부를 드러냈다.

 

<A사의 전시 부스와 수상 제품>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7c000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00pixel, 세로 1067pixel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CLP0000357c000d.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1600pixel, 세로 1067pixel

[자료: 전시회 홈페이지]

 

시사점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건강과 환경을 신경쓰는 중국 소비자들이 점차 늘어나고 있다. 2023년 중국의 유기농 제품 판매액이 최초로 1000억 위안(한화 약 19조원)을 돌파하기도 했으며, 미래 중국 유기농 제품 시장에 대한 평가도 낙관적인 의견이 지배적이다. 많은 기업들은 이러한 기회를 포착하고 온라인 플랫폼을 적극 활용하여 유통망을 다양화하고 있으며, 제품군도 늘려가고 있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중국 유기농 시장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고, 앞으로도 유기농 관련 제품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우리 기업들에게도 매력적인 시장이 될 수 있다. 중국 유기농 시장에 관심 있는 우리 기업 관계자들은 중국 내 유기농 제품 인증 관련 정책을 이해하고, 인증 기준에 부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료: Statista, 중국 시장감독총국, 즈옌 컨설팅, 터룬쑤(特仑苏) 홈페이지, 국가인증인가협회(CCAA), 농수산식품유통공사 등 KOTRA 상하이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BIOFACH CHINA 2025 아시아 국제 유기농 전시회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