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가정용 미용기기 시장동향
- 상품DB
- 중국
- 선양무역관
- 2025-06-24
- 출처 : KOTRA
-
외모 관리에 대한 관심 증대로 가정용 미용기기 수요 증가
정부의 규제 강화로 대기업 집중 등 시장 재편 예상
상품명 및 HS CODE
상품명
HS Code
가정용 미용기기
854370
시장 동향
가정용 미용기기는 전동 피부마사지기를 비롯해 LED 마스크, 두피 관리기 등 소형 전기제품을 포함한다. 대부분 피부에 고주파, 미세 전류 등을 보내 피부의 콜라겐 생성을 촉진해 탄력을 개선하는 원리다. 피부과에서 쓰는 기기보다 전류의 출력 세기를 약하게 해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비전문가가 관리할 수 있도록 만든 제품들이다.
외모 관리에 신경 쓰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중국의 가정용 미용기기 시장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유로모니터(Euromonitor)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가정용 미용기기 시장 규모는 약 15억7800만 달러로 글로벌 미용기기 시장의 약 10%를 차지했다.
<중국 가정용 미용기기 사용현황 설문결과>
(단위: %)
[자료: iiMedia Research(艾媒咨询)]
수입 동향 및 對韓 수입 규모
2024년 중국의 가정용 미용기기(HS 코드 854370 기준) 수입 규모는 35억800만 달러였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독일(16.3%), 일본(14.2%), 미국(11.8%) 등의 순으로 수입 비중이 높으며, 이들 3개국이 전체 수입의 약 42.2%를 차지하고 있다.
<중국 가정용 미용기기 수입 현황(HS 854370 기준)>
(단위: US$ 백만)
[자료: 한국무역협회(KITA)]
<최근 3년 중국 가정용 미용기기 주요 국가별 수입 현황(HS 854370 기준)>
(단위: US$ 백만)
순위
국가
2022년
2023년
2024년
증감률('24/'23)
총계
4,616
4,072
3,508
-13.8
1
독일
574
563
571
1.6
2
일본
909
748
498
-33.5
3
미국
545
472
413
-12.5
4
말레이시아
244
177
195
10.0
5
멕시코
133
225
173
-23.5
6
헝가리
28
27
146
443.4
7
한국
195
156
144
-7.7
8
대만
548
143
131
-8.4
9
프랑스
50
109
122
11.3
10
루마니아
30
61
88
45.6
[자료: 한국무역협회(KITA)]
지난해 한국으로부터의 가정용 미용기기 수입은 전년 대비 7.7% 감소한 1억4400만 달러로, 전체 수입국에서는 7위를 기록하고 있다.
<한국산 가정용 미용기기 수입 현황(HS 854370 기준)>
(단위: US$ 백만)
[자료: 한국무역협회(KITA)]
경쟁 동향
중국 가정용 미용기기 시장에서는 외국 브랜드들이 절대우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차세대 기술로 갈수록 해외 기기의 점유율이 높다. 일본 브랜드 야만(YA-MAN), 리파(Refa), 닥터아리보(Dr.Arrivo), 이스라엘 브랜드 트리폴라(Tripollar), 미국 브랜드 누페이스(Nuface) 등이 높은 인지도를 자랑하며 중국 가정용 미용기기 시장에서 상위권을 차지하고 있다.
한편, 중국 로컬 업체들은 기술 혁신과 연구개발 역량을 강화하는 등 경쟁력 향상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시장 점유율을 점차 확대해 나가는 추세다. 아미로(AMIRO, 觅光), 플로썸(FLOSSOM, 花至), 킹도(Kingdo, 京度) 등 브랜드들이 고주파, LED 등 기술을 활용해 다양한 종류의 제품을 내놓으면서 가정용 미용기기 시장의 상위권에 진입했다.
<중국에서 인기 있는 가정용 미용기기 브랜드>
브랜드명
이미지
원산지
주요 제품
가격대(위안)
야만
(YA-MAN)
일본
고주파 마사지기
2,999~7,499
LED 마스크
1,699~5,999
리파
(Refa)
일본
EMS마사지기
699~1,390
닥터아리보
(Dr.Arrivo)
일본
고/중주파+EMS마사지기
2,499~4,399
트리폴라
(Tripollar)
이스라엘
고주파 마사지기
3,000~5,509
누페이스
(Nuface)
미국
미세전류 마사지기
680~740
AMIRO
(觅光)
중국
고주파 마사지기
1,399~4,599
LED 마스크
2,299
FLOSSOM
(花至)
중국
고주파 마사지기
2,599-~4,599
Kingdo
(京度)
중국
LED 마스크
2,399~3,699
[자료: iiMedia Research(艾媒咨询), 티몰(天猫)]
중국에서 가정용 미용기기 시장이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관리 기준이 없어 안전성이 취약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에 현지 당국은 관련 제품군의 안전성을 개선하고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무선주파수 미용기기 등록 심사 지침을 공식 발표했다. 이 지침에 따라 2026년 4월 1일부터 무선주파수 미용기기도 임상실험이 필요한 가장 높은 의료기기 등급인 ‘의료기기 3등급’에 포함되며, 의료기기 등록증을 취득하지 못한 무선주파수 미용기기는 중국 내 생산ᆞ판매가 금지된다. 기존 미용기기에서 의료기기로 품목이 변경되면서 의료기기 등록증 취득을 위한 연구개발 및 임상실험 비용 부담이 늘어날 것으로 예측됨에 따라 다수의 소규모 기업들은 향후 제품 생산 및 판매가 어려울 것으로 보이며, 고주파 미용기기 시장은 대기업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예상된다.
유통 구조
중국의 가정용 미용기기 판매는 온라인이 주된 채널이다. 특히 풍부한 제품군과 다양한 세일 행사를 자랑하는 온라인 쇼핑몰은 소비자들이 가정용 미용기기 구매 시 가장 선호하는 채널로 꼽힌다. 또한 라이브커머스와 왕홍 마케팅의 확산에 힘입어 샤오홍슈(小红书), 틱톡(抖音) 등 SNS 플랫폼을 중심으로 매출 증가가 지속되면서 전체 매출에서 온라인의 비중이 계속 늘어나는 추세다.
<중국 소비자 가정용 미용기기 구매채널 설문결과>
(단위: %)
[자료: iiMedia Research(艾媒咨询)]
수입인증과 관세율
가정용 미용기기의 HS코드는 854370이며 한국으로부터 수입 시 13%의 부가가치세가 부과된다.
<중국 가정용 미용기기 관세율(2025년)>
HS CODE
수입관세율(%)
부가가치 세율(%)
소비세율(%)
최혜국
한중FTA
RCEP
854370
0
0
-
13%
0
[자료: 취안룬퉁(全润通)]
현재 중국은 가정용 미용기기를 소형 가전제품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주로 적용되는 품질 표준은 ‘GB 4706.1-2005 가정용 전자제품 안전 요구’, ‘GB 4706.15-2008 가정용 전자기기의 피부 및 모발에 대한 안전 요구’ 등이 있다. 전문 가정용 미용기기 관련 표준 ‘GB/T 36419-2018년 가정용 피부 미용기기’가 있지만, 해당 표준은 단체표준으로 권장 사항이며 필수로 받아야 하는 인증은 아니다.
다만 가정용 미용기기 중 IPL(Intense Pulsed Light) 제모 기기(2023년 1월 1일부터)와 주파 마사지기(2026년 4월 1일부터)의 경우 의료기기에 분류돼 NMPA(국가약품감독관리총국) 인증이 없을 경우 중국에서 수입 및 판매가 불가하다.
지난해 중국 당국은 가정용 미용기기에 관한 최초의 국가표준인 ‘GB/T 4706.1-2024 가정용 및 유사 용도의 전자기기 안전 요구 제118부분: 피부미용관리도구에 대한 특별 요구사항’을 발표했다. 해당 국가표준은 2026년 8월 1일부터 시행된다.
시사점
경제 발전에 따른 소득수준 증가, 외모에 대한 의식 증대, 미용기기에 대한 인식 변화 등으로 중국 가정용 미용기기 시장은 앞으로도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여 시장 전망은 긍정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중국의 가정용 미용기기 시장 침투율(4%)이 지속 성장 중이나 일본(11%), 미국(20%) 등 국가에 비해 아직 낮은 편인 만큼, 업계는 가정용 미용기기 시장의 미래 발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우리나라 기업들은 중국 가정용 미용기기 시장의 잠재성을 주목하고 진출 기회를 모색해야 한다. 특히 가정용 미용기기에 대한 규제 강화에 따른 비용 부담 증대로 대부분의 소규모 기업들은 지속적인 시장 참여가 어려워질 것이며, 이들 기업이 보유하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기 위해 자금력이 있는 중국 기업의 제품 성능 향상 및 신규 제품 개발을 위한 선진기술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우수한 미용기술을 보유한 우리 기업은 현지기업과의 협력을 통한 틈새시장 공략으로 중국 진출을 모색해 볼 수 있다.
자료: iiMedia Research(艾媒咨询), Euromonitor International, 한국무역협회(KITA), 쯔옌컨설팅(智研咨询), 티몰(天猫), OFweek, 취안룬퉁(全润通), 중구품질뉴스(中国质量新闻网), iResearch(艾瑞咨询), KOTRA 선양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가정용 미용기기 시장동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편직물 시장 동향
중국 2025-06-24
-
2
중국 견과류 시장, 건강식 열풍에 힘입어 8년 만에 2배 성장 전망
중국 2025-06-24
-
3
프랑스 마스크팩 시장 동향
프랑스 2025-06-23
-
4
뷰티 웹사이트에 K-뷰티 메뉴 등장, 모로코 화장품 시장 트렌드
모로코 2025-06-24
-
5
미국 비만 치료제 열풍에 디지털 헬스가 황금알을 낳다
미국 2025-06-20
-
6
중국 굴착기 시장동향
중국 2025-06-24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
- 이전글
- 다음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