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Central Asia Beauty Expo 2025 참관기
  • 현장·인터뷰
  • 카자흐스탄
  • 알마티무역관 김민정
  • 2025-06-03
  • 출처 : KOTRA

중앙아시아 뷰티 전시회를 통해 알아보는 카자흐스탄에서도 뜨거운 K-뷰티의 인기

전시회 개요

 

‘Central Asia Beauty Expo’는 중앙아시아 지역을 대표하는 뷰티 및 화장품 산업 전문 전시회로, 2018년 첫 개최 이후 매년 규모를 확대하며 성장해왔다. 본 박람회는 알마티에 위치한 아타켄트 국제 전시장에서 개최되며, 중앙아시아 및 인근 국가의 유통업자, 무역회사, 소매 바이어들과 제조업체 간의 교류를 위한 플랫폼으로 기능하고 있다. 2025년에는 제7회를 맞이했으며, 529일부터 31일까지 3일간 개최됐다.

 

<7회 중앙아시아 뷰티 엑스포 개요>

행사명

Central Asia Beauty Expo 2025

기간

2024.5.29.() ~ 5.31.()

장소

알마티 아타켄트 국제전시센터

주최기관

NS EXPO(https://en.ns-expo.kz/)

참가규모

 35개국 500 기관업체 참가,  예상 방문객 약 15,000

홈페이지

https://cabeauty.kz/

[자료: 엑스포 홈페이지]

 

참가 기업 및 전시 품목

 

2025년 전시회에는 전 세계 35개국에서 약 500개 기업이 참가했으며, 15,000명의 전문 방문객이 현장을 찾았다. 참가국으로는 카자흐스탄, 러시아, 중국, 한국, 폴란드, 터키, 우즈베키스탄, 일본, 이탈리아 등이 있으며, 중국·이탈리아·러시아·한국은 국가관을 구성하여 자국 제품과 기술을 집중적으로 홍보했다. 특히 전체 참가업체의 약 63%가 해외 기업으로 구성되며, 중앙아시아 시장에 대한 높은 해외 관심을 반영했다.

 

<현장 사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SSI00007f0c4212.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8pixel, 세로 279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SSI00007f0c4213.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72pixel, 세로 291pixel

[자료: KOTRA 알마티무역관]

 

전시 품목은 기초화장품, 향수, 건강 보조 식품, 가정용 화학제품(세제, 청소용품), 화장품 제조·포장·라벨링 장비 등으로 구성됐으며, 3개 전시관(9~11)에 걸쳐 품목별로 구분·배치됐다. 9관은 미용 및 피부관리 제품, 10관은 헤어·네일·속눈썹·메이크업 전문 제품, 11관은 향수 및 포장재, 원료 등이 집중 전시됐다. 부대행사로는 화장품 분야의 전문 컨퍼런스, 네일 클래스, 메이크업 포디움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병행돼 참가자들의 정보 교류와 네트워킹이 활발히 이뤄졌다.

 

<현장 사진>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SSI00007f0c4214.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75pixel, 세로 330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SSI00007f0c4215.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63pixel, 세로 307pixel

[자료: KOTRA 알마티무역관]

 

중앙아시아 뷰티 엑스포 참가 기업 인터뷰

 

중앙아시아 뷰티전시회에서 단연 돋보였던 것은 대규모 한국관과 한국 뷰티제품의 높은 인기였다. 이들 기업은 스킨케어, 코스메톨로지, 헤어케어, 퍼스널케어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품을 전시했으며, 한국관을 구성하여 현지 바이어 및 유통업체들과 활발한 상담을 진행했다. 한국에서 최근 높은 인기를 구가하는 VT 코스메틱스, 메디큐브, 비플레인 등은 대형 개별 부스를 통해 자사 제품을 홍보하고 판매했다. 한국에서 입소문을 탄, 유명 인플루언서가 홍보한, 한국 대형 뷰티플랫폼에서 높은 순위를 기록하는 뷰티 제품들은 카자흐스탄 현지에서도 뜨거운 관심을 받으며 K-뷰티의 인기를 짐작케 했다. 동전시회에 참가한 A사의 해외영업 담당자 K씨는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중앙아시아 시장에서 000 제품의 인기가 높아 올해부터는 더욱 적극적인 마케팅을 통해 시장 내 입지를 확대하고, 전시회 참가를 통해 러시아와 중앙아시아 권역 유통을 담당할 대형 카자흐 바이어를 발굴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국 기업 전시 부스 모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SSI00007f0c421d.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3pixel, 세로 328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SSI00007f0c421e.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98pixel, 세로 361pixel

[자료: KOTRA 알마티무역관]

 

한국에서보다 카자흐스탄 및 CIS 권역에서 더 인기를 끄는 신생 브랜드들도 눈길을 끌었다. 현지 소비자들은 브랜드 전시관 앞에서 인증사진을 찍고, 신제품을 구경하고 또 구매했다. U사의 해외 마케팅 담당자 L이사는 CIS 지역을 타켓팅해 러시아권 인플루언서들을 통한 바이럴 마케팅으로 입소문을 타기 시작했다고 언급하며, 앞으로 현지 대형 바이어와의 협업을 통해 유통을 확대하고 싶다고 밝혔다. 한국관을 구성한 KOECO중앙아시아 시장을 향한 우리 기업들의 관심이 뜨겁고, 작년보다 기업들의 전시회 참가 수요가 증가한 만큼 올해 더 큰 한국관을 구성하게 됐다고 하며, 우리 기업의 현지 마케팅 지원을 통해 뷰티제품 수출 확대에 더욱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한국 기업 전시 부스 모습>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SSI00007f0c421a.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86pixel, 세로 335pixel

그림입니다.  원본 그림의 이름: SSI00007f0c421c.bmp  원본 그림의 크기: 가로 445pixel, 세로 352pixel

[자료: KOTRA 알마티무역관]

 

시사점

 

올해로 7회를 맞이한 2025 Central Asia Beauty Expo는 전년 대비 더욱 확대된 규모로 개최됐다. 35개국에서 약 500개 이상의 기업이 참가해 역대 최대 규모를 기록했으며, 이 중 45개의 한국 기업이 참가해 한국 화장품의 경쟁력을 현지에 적극적으로 알렸다. 한국 기업은 전체 참가사의 약 9%를 차지했으며, 이는 K-뷰티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수요를 반영하는 수치로 평가된다한국산 화장품은 높은 품질과 자연 유래 성분, 피부 자극이 적은 천연 기반 제품이라는 이미지로 현지 소비자들에게 각인돼 있다. 특히 K-, K-드라마 등 한류 콘텐츠의 확산과 맞물려 한국 화장품에 대한 브랜드 신뢰도와 구매 수요가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엑스포 기간 동안 한국관은 현지 바이어 및 유통업자들의 집중적인 관심을 받았으며, 많은 기업들이 유의미한 상담과 계약 논의를 진행했다.

 

<카자흐스탄 對 한국 뷰티·퍼스널 케어 제품 수입 동향>

(단위: US$ 천, %)

HS Code

품목상세

2020

2021

2022

2023

2024

수입액

증감률

3303

향수 및 화장수

6

6

3

4

765

18,701.1

3304

메이크업용 스킨케어 제품

6,841

14,666

9,482

15,493

17,856

15.3

3305

헤어용 제품

1,859

2,488

4,332

5,642

5,903

4.6

3306

구강 또는 치아 위생용 제품

183

526

921

1,752

841

-52.0

3307

기타 위생용 제품

76

61

286

171

68

-60.3

[자료: Global Trade Atlas(2025.5.10.)]

 

카자흐스탄의 한국산 뷰티 및 퍼스널케어 제품 수입은 지속 증가하고 있다. 특히 메이크업용 스킨케어 제품의 인기가 높다. 중앙아시아 시장의 잠재력을 고려할 때, 우리 기업들은 단순 진출을 넘어 지속가능한 현지화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 첫째, 제품 현지화가 요구된다. 건조한 기후와 다양한 피부 톤을 고려한 고보습 라인, 색조 다양성을 갖춘 제품 개발이 필수적이다. 둘째, 유통채널의 다각화가 필요하다. 전자상거래 및 SNS 플랫폼을 통해 젊은 소비층을 타깃으로 한 디지털 마케팅을 강화하고, 동시에 오프라인 유통망에도 안정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파트너십 전략이 중요하다. 셋째, 브랜드 스토리텔링과 한류 콘텐츠 연계를 통해 감성적 공감대를 구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마지막으로, 친환경 패키징, 비건 인증 등 ESG 가치를 반영한 제품을 통해 고급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고 장기적인 소비자 신뢰를 확보할 수 있다2025년 현재 중앙아시아 K-뷰티 시장은 높은 성장세와 브랜드 신뢰도를 기반으로 향후 수출 확대 및 현지 진출 확대의 핵심 시장으로 부상하고 있다. 한국 기업은 품질 기반의 제품력과 전략적 마케팅을 바탕으로 이 지역에서의 입지를 더욱 강화할 수 있으며, 중앙아시아 시장을 공략하려는 뷰티 및 퍼스널 케어 관련 기업들은 카자흐스탄과 중앙아시아 여러 지역에서 온 수천 명의 방문객과 주요 업계 전문가를 만날 수 있는 중앙아시아 뷰티 엑스포를 시장 탐색 및 진입의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 Global Trade Atlas, cabeauty.kz, KOTRA 알마티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Central Asia Beauty Expo 2025 참관기)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