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상하이 경제발전 목표의 중점은?
- 경제·무역
- 중국
- 상하이무역관
- 2025-06-10
- 출처 : KOTRA
-
9개 경제목표 중 소비촉진을 첫 번째 목표로 내세워
3대 선도산업의 심도 있는 발전, 5대 센터 건설 가속화
GDP 10위 성시(省市)중 유일한 시(市), 상하이
2024년 지역별 경제규모를 보면 광둥(广东), 장쑤(江苏), 산둥(山东), 저장(浙江), 쓰촨(四川), 허난(河南), 후베이(湖北), 푸젠(福建), 상하이(上海), 후난(湖南) 10개 지역이 중국 GDP의 60% 이상을 기여했다. 10개 지역 중 상하이가 유일하게 직할시이며, 2024년 GDP는 5조3900억 위안으로 중국에서 유일하게 5조 위안을 초과한 도시로, 세계 선두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2025년 상하이 경제성장 목표는 2024년에 이어 5%로 잡았다.
<2024년 중국 GDP 상위 10개 지역 및 성장률>
(단위: 억 위안, %)
#
지역
GDP
2024년 증감률
2025년 목표
1
광둥(广东)
141,634
3.5
5%내외
2
장쑤(江苏)
137,008
5.8
5%이상
3
산둥(山东)
98,566
5.7
5%이상
4
저장(浙江)
90,131
5.5
5.5%내외
5
쓰촨(四川)
64,697
5.7
5.5%내외
6
허난(河南)
63,590
5.1
5.5%내외
7
후베이(湖北)
60,013
5.8
6%내외
8
푸젠(福建)
57,761
5.5
5~5.5%
9
상하이(上海)
53,927
5.0
5%내외
10
후난(湖南)
53,231
4.8
5.5%내외
[자료: WESTERN 증권, 중국 일보망]
이러한 수치는 상하이가 중국 내에서 얼마나 중요한 경제적 위상을 갖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상하이는 10개 지역 중 유일한 직할시로서 행정적 독립성과 전략적 중요성을 동시에 지니고 있으며, 중국 경제의 방향성을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 역할을 한다. 따라서 중국 비즈니스에 관심이 있는 기업과 투자자라면 상하이의 경제정책을 면밀히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2025년 상하이시 주요과제는?
2025년은 '14차 5개년 계획'이 마무리되는 해이며, 동시에 세계적인 대격변과 함께 외부 환경의 불확실성 문제가 더욱 중대한 사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내·외부적인 상황에서 상하이시는 중국 최대의 경제중심도시로서, 개혁개방과 혁신 발전의 선두 주자라는 책임을 지고 있기도 하다.
동 배경을 바탕으로 상하이시 정부는 올해 초 공개한 업무보고에서 2025년 주요 과제에 대해 발표했다. 2025년 상하이시의 주요 과제는 고품질 발전을 실현하기 위한 “최우선 과제”와 새로운 발전 구조를 구축하기 위한 “전략 과제”로 나눌 수 있다.
상하이시는 소비촉진을 첫 번째 목표로 내세우며 내수 확대를 통해 시민들의 생활수준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키는 동시에, ‘15차 5개년 계획’ 목표 달성을 위한 탄탄한 기반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그 외에도 “5개 센터”의 구축을 당초 계획보다 앞당겨 추진함으로써 과학기술 혁신과 산업 혁신의 융합 발전을 가속화하려는 강한 의지도 드러내고 있다.
<2025년 상하이 핵심과제>
#
핵심과제
조치
1
내수 확대, 외부수요 안정, 경제의 안정적인 성장 유지
- 각종 소비 촉진 행사 진행: ‘양신(两新)’ 조치 강화, ‘5.5쇼핑 페스티벌’ 등
- 효율성이 높은 투자 적극 추진: ‘양중(两重)’건설 프로젝트 실행 및 준비, 연간 2400억 위안 투자
- 대외무역과 외자 안정에 주력: 디지털무역, 녹색무역 발전 촉진
일류 비지니스 환경 지속적으로 조성
2
높은 수준의 개혁개방을 심화하기 위해 노력
- ‘5개 센터’ 건설 가속화: 국제경제중심 핵심기능 강화, 국제 금융센터 서비스 수준 향상, 국제무역센터 품질 업그레이드 촉진, 국제 해운센터 자원 능력 향상, 국제 과학기술센터 기능 강화
3
새로운 질적 생산력 육성, 현대화 산업체계 구축
- 과학기술 혁신 능력 향상을 위한 연구 강화
- 산업의 고급화, 3대 선도 산업에 대한 새로운 ‘상하이 계획’을 구현
4
도시계획 건설 수준 제고, 초대형 도시발전 전환 방식 가속화
- 도시 개발 공간 최적화
- 도시 업그레이드 속도 가속화
- 도시의 디지털 전환 강화
5
농촌 활성화 전략 실시, 도시화 농촌 통합 발전 촉진
- 농촌 건설 수준 전면 향상
- 농민의 안정적인 소득 증가 촉진
6
문화 혁신 추진
- 고품질 문화 콘텐츠 및 서비스 공급 강화
- 문화와 관광 융합 촉진
- 대대적인 스포츠 산업 발전
7
아름다운 상하이를 건설하고, 친환경 전환을 가속화
- 오염방지 강화
- 탄소피크 및 탄소 중립 적극 추진
8
도시관리 현대화 집중 추진, 도시 안전 수준 업그레이드
- 15분내 사회 생활권 건설 지속 추진
- 사회 거버넌스 혁신 강화
- 도시 안전 생산 근본 대책 3개년 행동을 심도 있게 추진
9
민생 건설 강화, 민생 복지 지속 증진
- 일자리 안정과 확대
- 사회보장 시스템 개선
- 노임 돌봄 및 보육 서비스 품질 향상
- 건강한 상하이 건설
[자료: 상하이시 정부]
소비, 소비, 소비! 소비 확대와 함께 품질 향상 도모
양회에서 발표된 중국의 <정부업무보고>를 보면 ‘소비’라는 단어가 32번 등장했으며, 소비는 현재 중국경제 업무의 최우선 과제중 하나이다. <2025년 상하이시 업무보고>에서 상하이는 소비를 크게 활성화하고 내수, 특히 주민소비 수요를 확대하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명확히 지적했으며, 9개 경제목표 중 소비촉진을 첫 번째로 내세우고 있다.
2025년 상하이시는 2024년에 이어 관광, 문화, 스포츠 전시회 연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55쇼핑 페스티벌(五五购物节)", "상하이 최초 출시(首发上海)", "글로벌 신제품 출시(全球新品首发季)", "상하이 여름(上海之夏)" 등 행사를 개최하고, 이와 더불어 소비쿠폰 발행, "이구환신" 등의 지원 정책을 다양한 행사와 연계하여 소비확대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적극 노력 중에 있다.
상하이시는 △서비스 소비, △대량 소비, △외부 소비, △신형 소비를 적극적으로 촉진하고, △런칭 경제(Debut economy, 首发经济), △실버 경제, △야간 경제, △티켓 경제(票根经济)를 크게 발전시켜 수요가 공급을 견인하고 공급이 또 다른 수요를 창출하는 선순환의 구조 마련을 기대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형성된 고수준의 소비 확대 구도는 잠들어 있던 소비 잠재력을 더욱 자극하여, 상하이시 전체의 소비 품질 향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 런칭경제: 국내외 브랜드가 특정 지역이나 국가에서 신제품을 최초로 출시하거나, 새로운 개념의 매장을 처음 선보이는 소비 경제 트렌드
* 티켓경제: 영화 티켓, 콘서트 티켓, 관광지 티켓 등을 연결고리로 하여 다양한 소비 영역을 연결하고, 소비자에게 혜택과 할인을 제공하여 소비증가를 촉진하는 소비 경제 트렌드
<2025년 상하이시 소비 확대 방안>
#
소비 확대 조치
주요 행동
1
상품소비 교체 조치
- 가전제품의 이구환신 지원 강화(정수기, 핸드폰, 건재 등 14가지 제품 보조금 범위에 포함)
- 자동차 갱신 소비 촉진, 보조금 정책 시행
- 중고차 온라인 예약 및 방문 픽업 서비스 지원
2
서비스 소비의 질 개선
- 실버 소비 적극 발전('실버 라이프 페스티벌(银发生活节)' 개최, 실버경제의 '100대 브랜드' 육성)
- 외식 및 가사 서비스 소비 촉진
* 2-3개의 특색 있는 외식 단지 건설, 직원제 가사 서비스기업 시범사업 실시, 고급 가사 서비스 인력 교육 지원
- 문화, 관광, 스포츠, 정보, 교통, 건강 서비스 소비 확대
- '乐·上海(러·상하이)' 소비 쿠폰 주기적으로 발행
* 최대 5억 위안의 소비쿠폰 발급계획(외식, 관광, 영화 및 스포츠 분야)
3
신형 소비 활성화
- 런칭경제(首发经济) 고품질 발전 촉진, 세계 신제품 출시 시범 지역 조성, 글로벌 메인 브랜드 육성 계획 실시, 전통 브랜드의 혁신적 발전 지원
- 라이브 방송 경제의 신속한 발전 촉진
* 라이브 방송 전자상거래 기반 조성, '11월 라이브 방송의 달', 상하이 국제 MCN(Multi-Channel Network) 대회 개최
- AI와 결합된 소비 지원
- IP와 소비를 결합하여 2차원 브랜드 클러스터 구축
4
소비 환경 조성
- 주요 상권의 역량 향상 가속화, 생활 편의를 위한 15분 생활권 조성 추진
- 상업, 관광, 문화, 스포츠, 전시회 연계 소비 공간 조성
- 상하이 야간경제 브랜드 조성
* 10개의 야간소비 집결지, 30개의 야간 소비행사, 10개의 벤치마크 특색 시장 조성, '상하이 야간 생활 축제(上海夜生活节)' 개최
- 외국 무역 우수제품의 내수 판매 촉진
5
소비 축제
- 상하이 출시(首发上海) 시리즈 행사 개최
* 3~5월 상하이 봄 시리즈 행사 집중 개최- 제6회 '5.5 쇼핑 페스티벌(五五购物节)' 개최
* 5~6월 13개의 상권, 상가를 위주로 고급 할인 행사 개최
- 상하이 여름 국제 소비 시즌 개최
* 7~10월 해외 관광객 유치에 전력을 다하여 관광, 문화, 체육 전시회가 연계한 여름 주요 축제 구축
- 중국 국제 수입 박람회 소비 카니발 개최
- 연말연시 쇼핑 시즌 개최
* 12월 중순부터 다음해 구정까지 연말연시, 설날 소비를 주제로 명절 분위기 맛보기, 명절 상품 구매, 연동 체험 코너를 중심으로 온라인 명절 상품 행사 개최
6
소비 환경 최적화
- 안심 소비 환경 조성
- 모바일 결제 서비스 최적화, 소액 현금 결제 작업 추진, 다양한 장소에서 다국어 서비스 제공
- 입국 소비 환경을 개선, 출국 시 환급서비스의 편리화를 추진하고 ‘즉시 구매 즉시 환급’ 완비
[자료: 상하이시 정부]
3대 선도 산업 심도 있는 발전 추진
경제 대성(大省)은 전국 경제의 기본 틀을 안정시키기 위한 장치일 뿐만 아니라 새로운 질적 생산력을 발전시키는 주요 거점이다. 올해는 '제14차 5개년 계획'의 마무리 해로, 경제 대성들은 계속해서 '중대 책임'을 부여받고 있다.
2024년 상하이는 1000억 위안 규모의 산업투자 펀드를 조성하여 3대 선도 산업 발전을 위한 고품질 비즈니스 환경 조성을 추진했다. 2024년 상하이시 3대 선도 산업 규모는 1조8000억 위안에 달했으며, 집적 회로, 바이오 의약품 및 AI의 생산 가치는 전년 대비 각각 20.8%, 3.3% 및 7.1% 증가했다.
<2021~2024년 3대 선도 산업 규모 추이>
(단위: 조 위안)
[자료: 상하이시 인민정부]
2025년 양회 이후 상하이시는 새로운 3대 선도 산업의 ‘상하이 방안’의 실행을 심도 있게 추진할 것을 제안했다. 상하이시는 3대 선도 산업(집적회로, AI, 바이오의약)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미래 스마트, 미래 제조, 미래 공간, 미래 소재, 미래 에너지, 미래 건강 등 6대 미래 산업의 세분화 된 분야에 중점을 두고 있다.
상하이시는 저공경제, 대형 항공기, 신에너지차, 스마트 터미널, 해양 장비, 로봇 및 기타 전략적 신흥 산업 및 미래 산업을 육성 및 확장하고 투자 메커니즘을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세계적인 산업 트렌드에 맞춰 스마트화에 주목한 상하이시는 스마트 공장 건설과 스마트 로봇의 연구개발 및 응용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스마트 경제 형태를 적극적으로 육성, 발전시킬 예정이다. 또한 산업의 녹색 발전을 위한 종합 서비스 플랫폼을 위해 저탄소 공급망 체계를 완비하고 녹색 공장과 제로 탄소 단지 건설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5대 센터 건설 가속화
2024년 상하이시의 '5대 센터' 건설은 더욱 가속화되어 새로운 성과를 거뒀다. 올해 양회에서는 '5대 센터' 건설 가속화, 새로운 질적 생산력 육성 등이 상하이시의 미래 발전의 주요 의제로 떠올랐으며, ”5대 센터“ 건설은 당 중앙이 상하이시에 부여한 중요한 과제이다.
1) 국제 경제중심
2024년 상하이시의 경제 규모가 전년 대비 5% 성장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 운영의 활력도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2024년까지 상하이시의 다국적 기업 지역 본부 총수는 1016개, 외자 연구개발 센터 총수는 591개에 달했다.
2025년 상하이시는 '(2+2)+(3+6)+(4+5)' 현대화 산업 시스템 구축을 가속화하고, 새로운 질적 생산력을 적극 육성 및 발전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전통 산업의 전환과 업그레이드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서비스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며, 대규모 장비 업데이트 실시, 산업 인터넷 응용과 녹색 공장 건설 등을 추진할 예정이다.
<상하이시의 현대화 산업체계>
“2+2”
“3+6”
“4+5”
2대 융합: 선진제조업과 현대화 서비스
3대 선도 산업: 집적회로, 바이오의약, AI
4개 신서킷: 디지털 경제, 녹색 저탄소, 메타버스, 스마트 단말기
2대 전환: 산업의 디지털화, 녹색화 전환
6대 핵심 산업: 전자정보, 생명건강, 자동차, 첨단장비, 첨단재료, 패션 소비재
5대 미래 산업: 미래 건강, 미래 스마트, 미래 에너지, 미래 신소재, 미래 공간
[자료: 중상산업연구원]
2) 국제 금융센터
2024년 금융시장 거래 총액은 전년 대비 8.2% 성장한 3650조3000억 위안으로, 유수의 세계 도시 중에서도 선두권을 차지했다. 그중 상하이 증권거래소의 유가증권, 상하이 선물거래소, 중국 금융선물거래소의 거래액은 각각 13.1%, 25%, 43.4% 증가하며 성장세를 보였다.
2025년 상하이시는 금융의 '4대 시스템'을 지속 개선하고, 안전하고 제어 가능한 능력을 강화하는 것을 기반으로 높은 수준의 금융 개방을 시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실물 경제, 기술 혁신 및 '일대일로' 공동 건설에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a) 금융시장 시스템을 완비하고, 중앙 금융 관리 부서와 협력하여 <커창판(科创板) 8조>를 발표하며, 주식 거래 센터의 전문화·정밀화·특화·신규 전용 보드를 개장 및 운영한다.
b) 금융상품 시스템을 완비하고, 과학기술 금융, 녹색금융, 포용금융(普惠金融: 누구나 금융 서비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연금금융, 디지털 금융 등 상품 서비스 공급을 다양화한다.
c) 금융기관 시스템을 완비하고, 허가를 받은 금융기관 수량을 1782개로 증가시키며, 그중 외국 자본 금융기관은 30%를 초과하도록 한다.
d) 금융 인프라 시스템을 완비하고, 국제 선도적인 결제, 청산, 등록, 수탁 시스템 구축하며, 위안화 국경 간 결제 시스템의 글로벌 네트워크가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다자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브리지' 등의 시범 응용이 지속 심화되도록 한다.
3) 국제 무역센터
2024년 상하이시 수출입 총액은 전년 대비 1.3% 성장한 4조2700억 위안으로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2024년 제7회 수입박람회의 연간 의향 거래 금액이 800억1000만 달러에 달했으며, 7년간 누적이 5000억 달러를 초과했다.
2025년 상하이시는 무역 제도 체계를 최적화하고, 통신 부가가치서비스(VAS, value-added service), 의료 등 서비스업의 개방 확대 시범 사업을 우선 시행하고, 스마트 커넥티드 자동차, 공모 펀드, 바이오의약 등의 분야에서 국제 데이터 흐름을 국경 간 데이터 목록을 발표하여 관리하도록 시행한다.
4) 국제 해운센터
2024년 상하이항의 컨테이너 처리량이 세계 최초로 5000만 TEU를 초과한 5150만 6000TEU를 기록하여 15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했다. 상하이 공항의 화물과 여객 운송량은 각각 420만 6000톤과 1억 2500만 명으로 각각 세계 2위와 3위로 상승했다.
2025년 상하이시는 국제 해운 센터 건설을 가속화하고, 해운 허브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상하이 국제 해운센터 건설 추진 조례>를 발표해 2025년 2월 1일부터 시행하고 있다. 본 조례는 상하이 국제 해운센터의 발전계획 및 관련 특별 계획의 수립 요구를 명확히 하고, 해운센터 건설용 토지와 수역(水域) 등의 자원을 통합적으로 보장할 것을 명시하고 있다. 또한 세계 일류 항구와 전방위 복합형 국제 항공 허브 구축을 명확히하여 세계 중심적 기능을 강화할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일련의 목표를 달성하는 과정에서 효율적이고 친환경적이며 원활한 집하(集疏)운송시스템을 구축하고, 복합 운송 발전을 촉진하여 효율적인 종합 운송도 달성하고자 한다.
5) 국제 과학기술 혁신 센터
2024년 상하이시는 과학기술 체제 및 구조 개혁을 심화하고, 연구 프로젝트 관리 체계와 과학기술 난제 해결 모델을 더욱 최적화하여 하이테크 기술 기업 2만5000개 보유, 1만 명당 특허 보유량은 57.9건에 달했고, 연간 기술거래액은 2023년 대비 7.2% 증가한 5200억7000만 위안에 달하는 성과를 거뒀다.
2025년 상하이시는 국제 과학기술 혁신 센터의 기능 강화를 위해 기초연구 선행지역 건설을 앞당기고, 신품질 생산력을 육성하고 발전시킬 목표를 설정했다. 이를 위해 현대화된 산업체계 구축 및 과학기술 생산능력을 강화하고, 미래 지향적 연구 배치를 추진하는 등의 구체적인 행동 방안을 내놓았다.
전망
2025년 상하이시 경제 성장 목표 설정은 정책적 선언일 뿐만 아니라 미래 경제 발전에 대한 전략적 배치이기도 하다. 2025년 상하이시 경제는 "혁신 주도, 개방 주도, 지역 협력"을 주축으로 하여 3대 선도 산업의 돌파, 주요 프로젝트 투자 및 제도적 개방을 통해 경제 회복력을 강화할 전망이다. 비록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지만, 혁신 주도와 구조 조정을 통해 상하이시는 안정적인 발전을 이룰 것으로 기대된다.
자료: 상하이시 정부, 중상산업연구원, sina재경, 중국청년보, 펑파이뉴스(澎湃新闻), WESTERN 증권, 중국 일보망 등 자료 KOTRA상하이 무역관 정리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2025년 상하이 경제발전 목표의 중점은?)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런칭경제 중심 도시 청두, 소비 시장 속 ‘한차오’ 트렌드
중국 2025-06-26
-
2
디지털 경제 선도를 목표로 한 중국 저장성의 2024년 경제성과 및 2025년 발전목표
중국 2025-06-10
-
3
중국 기술 혁신의 새로운 거점, 안후이성의 2024년 경제 현황 및 2025년 발전 전망
중국 2025-06-10
-
4
글로벌 공급망 재편의 중심, 싱가포르-말레이시아 경제특구
싱가포르 2025-03-17
-
5
중국 충칭, ‘런칭 경제’로 경제 활력 제고
중국 2025-05-03
-
6
[기고] 미국 특허 그것이 알고 싶다 (3) - PCT 국제출원으로 미국 출원을?
미국 2025-06-09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