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

사이트맵


폴란드 3D 프린팅 산업, 고부가가치 중심으로 고도화
  • 트렌드
  • 폴란드
  • 바르샤바무역관 한석환
  • 2025-04-28
  • 출처 : KOTRA
Keyword #3D프린팅

자동차·항공·건설·의료 등 산업 전반에 적용 확대

고부가가치 장비·신소재 중심으로 산업 경쟁력 강화

3D 프린팅 기술은 폴란드 산업 생태계에서 점차 핵심 제조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자동차, 항공우주, 의료, 건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이 혁신적인 생산 방식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으며, 산업 전반의 생산성과 유연성을 높이고 있다. 특히, 전 세계적인 제조 혁신 흐름에 발맞춰 폴란드 역시 고부가가치 제조, 친환경 생산, 스마트 공정 구현을 중심으로 3D 프린팅 산업을 고도화하고 있으며, 기술 수출, 상업 응용 확대, 소재 다변화 등 여러 분야에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고 있다.


폴란드 3D 프린팅 산업 현황


폴란드의 3D 프린팅 시장은 지난 10년간 빠르게 성장해 왔으며, 이제 초기 양적 성장을 지나 질적 고도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빠른 프로토타이핑, 제품 맞춤화, 공정 효율화 등의 장점을 갖춘 3D 프린팅 기술은 자동차, 항공우주, 의료, 건설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되며 고부가가치 응용 분야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다.


폴란드는 Zortrax, Omni3D, Sinterit 등 글로벌 수준의 3D 프린터 제조업체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 기업은 유럽 및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활발한 수출 활동을 전개 중이다. 특히 의료기기 분야는 2022년 기준 1700만 달러 규모를 형성했으며, 2030년까지 연평균 16.8%의 성장이 전망된다.


부품 수입은 증가, 완제품은 감소─폴란드의 현지 조립 전략 읽기


2024년 폴란드의 3D 프린터 관련 시장에서는 부품과 소모품 수입이 많이 증가했지만, 완제품 수입은 감소하는 흐름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3D 프린터 부품 및 소모품(HS 코드 848590)의 수입은 약 582만 달러로 전년 대비 163.1% 증가했으며, 금속 3D 프린터(HS 코드 848510) 수입도 약 138만 달러로 141.6% 증가했다. 이는 폴란드 산업 전반에서 부품 기반 조립과 고부가가치 장비 도입이 확대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반면, 플라스틱 적층 방식의 3D 프린터(HS 코드 848520)는 전년 대비 49.5% 감소한 약 1414만 달러를 기록했고, 건설용 장비(HS 코드 848530)와 기타 혼합 재료 기반 장비(HS 코드 848580)도 전년 대비 각각 15.7%, 20.8% 줄어들었다. 이러한 흐름은 폴란드가 완제품 수입보다는 현지 조립과 커스터마이징을 중심으로 생산 방식을 전환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소재 수입의 경우, 일부 품목에서 소폭 감소가 있었으나 이는 일시적인 현상으로 보인다. SLA 방식의 커스텀 레진(HS 코드 390750)은 전년 대비 4.1% 감소한 약 1648만 달러를 기록했지만, 의료, 정밀 제조, 주얼리 등 분야에서의 고해상도 프린팅 수요가 지속되고 있어 중장기적으로는 수요 확대가 예상된다. 또한, PLA, PETG, ABS 등 3D 프린터용 필라멘트(HS 코드 391690)는 전년 대비 8.8% 증가한 약 1억1804만 달러를 기록하며 탄탄한 수요를 유지하고 있으며, 친환경 및 고기능성 소재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전반적인 소재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2022~2024년 폴란드 3D 프린터와 관련 품목의 수입동향>

(단위: US$ 천, %)

HS

품목설명

2022

2023

2024

증감률 (‘24/’23)

848520

3D 프린터

(플라스틱.고무용)

23,243

27,993

14,140

49.5

848510

금속 3D 프린터

(분말 적층형)

1,896

572

1,382

141.6

848530

건설용 3D 프린터 

(세라믹·시멘트 기반)

337

18

15

15.7

848580

기타 3D 프린팅 장비

(혼합 재료 포함)

200

347

275

20.8

848590

3D 프린터 부품 및 소모품

3,345

2,212

5,819

163.1

390750

적층형 수지 기반 SLA 방식용 커스텀 레진 등

14,347

17,176

16,476

4.1

391690

PLA, PETG, ABS 등 3D 프린터 필라멘트

122,113

108,520

118,037

8.8

[자료: Global Trade Atlas, 2025.4.17.]

 

기술 트렌드 및 산업 고도화


폴란드의 3D 프린팅 산업은 전 세계적인 기술 흐름에 발맞추어 빠르게 진화해 왔다. 최근 주목할 만한 트렌드 중 하나는 차세대 프린팅 소재 개발이다. 친환경적인 바이오 필라멘트, 고내열성을 가진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금속과 폴리머가 혼합된 복합 소재 등 다양한 신소재가 활발히 연구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3D 프린팅의 적용 범위가 점점 확대되고 있다.


고속·고정밀 프린팅 기술의 발전 또한 폴란드 산업에 실질적인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 최신 산업용 프린터는 복잡한 구조물도 단시간 내에 정밀하게 출력할 수 있는 성능을 갖추고 있어, 설계 및 생산 공정을 효율화하고 폐기물을 줄이는 데 기여하고 있다. 이는 제조업 전반의 생산성과 지속 가능성을 동시에 제고하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또한 3D 프린팅은 기존의 시제품 제작(프로토타이핑) 기능을 넘어 실제 제품 생산에도 적극 활용되고 있다. 특히 자동차, 의료, 소비재 산업 등에서는 맞춤형 부품이나 단종 부품을 3D 프린팅으로 대체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제조 방식의 근본적인 전환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3D 프린팅 적용 사례


폴란드의 3D 프린팅 산업은 단순한 시제품 제작 단계를 넘어, 항공우주, 의료, 건설 등 고부가가치 산업군에서 핵심 제조 기술로 빠르게 자리 잡고 있다. 복잡한 부품 설계, 맞춤형 생산, 공정 효율성 강화 등 다양한 이점을 기반으로 기술 적용이 점차 심화하고 있으며, 이는 산업 전반의 생산 방식 전환을 이끌고 있다.


특히 의료 분야에서는 정형외과 수술뿐만 아니라 치과, 의료 교육 등 여러 방면에서 3D 프린팅이 실용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루블린의 한 병원에서는 해부학적 구조에 맞춘 환자 맞춤형 엉덩이 보형물을 이식하는 데 성공해, 수술 정확도와 회복 속도를 크게 향상했다. 이러한 사례는 3D 프린팅이 정밀성과 개인화를 동시에 실현할 수 있는 의료 기술로 부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항공우주와 건설 분야에서도 기술 고도화가 진행 중이다. Łukasiewicz 항공연구소는 3D 프린팅된 연소실을 탑재한 가변 추력 로켓 엔진을 개발해 고성능 시스템에의 직접 적용 가능성을 입증했다. 또한, Holcim 폴스카가 시공한 세계 최초의 3D 프린팅 식수 탱크는 자재 사용을 25% 절감하고 공사 기간을 단축하는 등 지속 가능하고 효율적인 건설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폴란드의 3D 프린팅 응용사례>

의료 산업: 보형물 제작

건설 산업: 물탱크 제작

[자료: Polskie Radio online, voxelmatters.com]

 

전문가 의견


폴란드 3D 프린팅 기업 A 사 관계자는 KOTRA 바르샤바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3D 프린팅 기술은 향후 폴란드 산업의 주요 성장 동력이 될 것”이라며, “신소재 개발과 정밀 제조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제조업 내 활용 범위가 빠르게 확대되고 있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이 기술은 더 이상 R&D 수준에 머무르지 않고 실제 양산 공정에 적용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들은 생산 효율성과 비용 경쟁력을 동시에 확보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시사점


폴란드의 3D 프린팅 산업은 기술 발전과 산업 구조 재편을 동시에 경험하고 있다. 3D 프린팅 기술은 단순한 R&D 도구에서 벗어나 실제 양산 체계의 한 축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며, 신소재 개발, 고정밀 출력 기술, 산업 자동화와의 융합은 향후 시장 성장의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2024년 기준 3D 프린터 부품(HS코드 848590) 수입이 전년 대비 163% 증가한 점은 주목할 만하다. 이는 폴란드 내 조립·생산 기반 확대와 애프터마켓 수요 증가, 맞춤형 제작 중심의 산업 구조로의 전환을 보여주는 신호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완제품 수입은 감소세를 보여, 현지화된 생산 및 유지보수 중심의 운영 체계가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변화는 한국 기업에도 기회를 제공한다. 단순 제품 수출을 넘어, △고기능성 소재 및 부품 공급, △현지 조립·설계 협업, △산업 맞춤형 솔루션 공동 개발 등 다양한 전략적 접근이 가능하다. 특히 의료·건설·항공 등 고부가가치 산업군에서의 수요가 뚜렷한 만큼, 기술력과 응용 역량을 갖춘 한국 기업의 참여 여지가 확대되고 있다.


즉, 폴란드의 3D 프린팅 산업 고도화 흐름에 발맞춰 우리 기업도 현지 협력, 기술 제휴, 솔루션 중심 진출 전략을 적극 모색할 필요가 있다.

 


자료: Omni3d, 3D Printing Industry, 3D Printing, 3Dnatives, Polskie Radio online, voxelmatters.com, Berghof.com, TCT Magazine, Europiean Spaceflight, Lukasiewicz Institute, GTA, KOTRA 바르샤바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공공누리 제 4유형(출처표시, 상업적 이용금지, 변경금지) -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KOTRA의 저작물인 (폴란드 3D 프린팅 산업, 고부가가치 중심으로 고도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국가별 주요산업

댓글

0
로그인 후 의견을 남겨주세요.
댓글 입력
0 / 1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