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하고 안전하게...'웰빙'에 방점을 둔 슬로바키아 유아용품 시장
- 트렌드
- 슬로바키아
- 브라티슬라바무역관 이재승
- 2025-04-07
- 출처 : KOTRA
-
슬로바키아 유아용품 시장 키워드는 '친환경'과 '웰빙'
유명 K-POP 가수가 프린팅된 어린이용 문구류 등, 한국 문화가 가미된 제품들에 대한 관심 증대
슬로바키아의 2024년 출생아 수는 4만6241명으로,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는 8.5명이었다. 이는 2020년 출생아 수 5만6650명과 인구 1000명당 출생아 수 10.4명에서 5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한 수치다. 하지만 이와 별개로, 슬로바키아의 유아용품 시장은 감소하는 출산율과 다르게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추이를 보인다.
2025년 슬로바키아 유아용품 시장은 약 1700만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 5년간 연간 성장률은 약 3.8%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최근 슬로바키아 유아용품 시장 중 ‘친환경 및 유기농 제품’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슬로바키아 유아용품 시장 연간 매출액 추이>
(단위: US$ 백만)
[자료: Statista]
또한, 슬로바키아 내 유아용품은 2025년 기준 주로 마트, 유아용품 전문 매장 등 오프라인을 통한 판매가 전체 유통 구조의 약 89%를 차지하고 있으며, 온라인 유통은 아직 11% 수준에 그치고 있다. 다만, 슬로바키아 소비자들의 온라인 구매 대중화가 시작되고, 유아용품 기업들의 온라인 유통망 체계화에 따라 향후 점진적으로 온라인 유통 비중이 상승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슬로바키아 유아용품 온라인 소비자들의 경우, 데스크탑을 이용한 웹사이트 내 구입이 2025년 기준 약 51.8%이었고, 모바일 앱을 이용한 구매는 약 48.2%를 차지했다. 다만, 슬로바키아 내 스마트폰 보급 및 활용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모바일 앱을 통한 구매율은 점진적으로 증가해 2028년엔 전체 온라인 구매 중 52%에 달하면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슬로바키아 유아용품 유통 구조 비율>
(단위: %)
* 주: 오프라인 (파란색/offline), 온라인 (검은색/online)
[자료: Statista]
최근 슬로바키아 유아용품 트렌드: 키덜트도 선호하는 유아용 장난감과 유기농 식품
슬로바키아 유아용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며 다양한 신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지만, 그중 특히나 유아용 장난감 제품군과 유아용 유기농 식품군이 주목을 받고 있다. 유아용 장난감 중에서는 친환경 재료를 활용하고 안전을 위해 설계된 제품들이 주목받고 있다. 여기서 특이한 점은 유아용 장난감의 경우, 주 소비층이 유아이지만, 키덜트 또한 존재한다는 것이다. ‘키덜트’란 어린이와 성인 사이에 있는 사람을 표현하는 단어로, 비록 성인이지만 유아용 장난감과 다양한 보드게임 등을 즐기며 이를 수집하는 경향이 있는 사람들을 일컫는다. 유럽 시장 전체에서 어린이용 장난감 제품군의 소비층 중 약 20%가 이 키덜트들이 구매 및 수집한 비율이라고 한다.
한편, 슬로바키아 유아용품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을 받는 또 다른 제품군은 유아용 식품이다. 이는 출생아 수가 적어진 대신, 각 유아에게 더 많은 관심과 지원이 집중되면서 유아 성장에 직결된 식품을 소비자들이 더 까다롭게 고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슬로바키아 이유식 시장은 향후 5년간 약 4.6%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이며 약 2300만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유아용 조제분유, 유아용 시리얼 및 기타 건조 이유식, 유아용 간식 등 다양한 유아 식품류를 포함한 값이며, 계속해서 신규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특히, 최근 슬로바키아 유아식품 기업들은 화학물질을 배제한 유기농 및 천연 이유식 제품들을 선보이고 있다. 건강에 대한 소비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자녀의 웰빙을 우선시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관련 수요가 커졌기 때문이다. 아울러 바쁜 현대 부모들을 위해 휴대 편의성과 요리 시간을 단축해 줄 수 있는 건강 에너지바, 이유식 영양 캡슐 등 간편 천연 이유식 또한 눈길을 끌고 있다.
슬로바키아 주요 유아용품 기업
<슬로바키아 주요 유아용품 기업>
기업명
로고
설립연도
웹사이트
주요 제품군
NOVOFRUCT SK
1993
https://www.novofruct.sk/
· 슬로바키아 내 유일한 이유식 제조업체로, OVKO 브랜드로 제조
· 2009년부터는 Bio OVKO라는 브랜드로 다양한 유기농 이유식과 디저트 또한 생산
KORKI
2017
https://korkii.sk/
· 가정용 유아장난감 및 교육기관용 유아장난감 모두를 제작하며, 특히 조립용 장난감에 특화
Bekvåm
2018
https://bekvam.sk/
· 유아용 만화 및 동화 캐릭터가 프린트된 샤워타월 및 의류 생산
MOJTOJ
2016
https://mojtoj.sk/
· 유아용 장난감의 온라인 특화 판매기업으로, 친환경 소재를 이용한 장난감 제품 판매
· 유아 나이에 따라 발달 단계를 구분한 장난감 제품이 베스트 셀러
[자료: 각 기업 웹사이트]
시사점
슬로바키아 출산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지만, 유아용품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이는 부모들이 자녀의 웰빙과 성장에 가지는 관심이 커진 영향으로 분석된다.
한편, 유아용품 관련 기업 S 사 C 매니저는 KOTRA 브라티슬라바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최근 슬로바키아 유아들의 웰빙과 취향을 고려한 다양한 제품들이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K-POP, K-DRAMA 등 한국 문화가 가미된 제품들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라고 밝혔다. 실제로 현지 슬로바키아 바이어들이 유명 K-POP 가수가 프린팅된 어린이용 문구류와 같은 제품들을 찾고 있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슬로바키아 유아용품 시장에 진출을 희망하는 한국기업들은 이러한 상황을 고려해 현지 수요에 맞는 제품들을 선보여 진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자료: 슬로바키아 통계청, Statista, Finstat, 슬로바키아 농업부, 현지 언론, 각 유아용품 기업 웹사이트, KOTRA 브라티슬라바무역관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건강하고 안전하게...'웰빙'에 방점을 둔 슬로바키아 유아용품 시장)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중국 탈모방지제품 시장동향
중국 2020-09-14
-
2
나이지리아 헤어 케어 시장 동향 및 전망
나이지리아 2025-04-07
-
3
K-뷰티의 진화, K-퍼퓸이 이끄는 베트남 향수 시장 트렌드
베트남 2025-04-04
-
4
중국 알루미늄 호일 시장동향
중국 2025-04-07
-
5
미국, 원전 르네상스 시대 개막...원전 설비 진출 기회 확대
미국 2025-04-08
-
6
2025년 칠레 그린수소산업 정보
칠레 2025-04-08
-
1
2025 슬로바키아 원전산업 정보
슬로바키아 2025-02-25
-
2
2024년 슬로바키아 철강산업 정보
슬로바키아 2024-07-29
-
3
2022년 슬로바키아 방위산업 정보
슬로바키아 2022-07-28
-
4
2021년 슬로바키아 항공산업 정보
슬로바키아 2021-10-29
-
5
2021년 슬로바키아 자동차 산업 정보
슬로바키아 2021-10-29
-
6
2021년 슬로바키아 공유서비스센터(SSC) 산업 정보
슬로바키아 2021-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