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신에너지차 시장동향 및 시장 전망: 길림성 소재 제일기차그룹의 글로벌 기업 협력 수요를 중심으로
- 트렌드
- 중국
- 창춘무역관
- 2025-04-08
- 출처 : KOTRA
-
2024년 중국 신에너지차 판매량 1286만6000대, 전년 대비 35.5% 증가
제일기차그룹의 2024년 전체 자동차 판매량은 감소하였으나 홍치(HONGQI), 번텅(BESTUNE), 제팡(JIEFANG) 등 자사 브랜드 차량은 전년 대비 14.7% 증가한 81만 대 판매
제일기차그룹 관계자, “스마트 연동과 자율주행 기술, 수소 등 신에너지 차량 개발과 관련해 경쟁력을 갖춘 한국기업과의 협력 기회 확대” 전망
중국자동차공업협회(CAAM)는 2024년 중국 자동차 판매량이 전년 대비 4.5% 증가한 3143만6000대라고 발표했다.
<2015~2024년 중국 자동차 판매량 및 증가율>
(단위: 만 대, %)
[자료: 중국자동차공업협회]
2024년 중국의 자동차시장은 전기차(EV),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수소 전기차(FCEV) 등 신에너지 차량 시장이 성장을 주도하며, 신에너지차 판매량은 중국 전체 자동차 판매량의 40.9%인 1286만대로 세계 1위를 기록했다.
<2015~2024년 신에너지 자동차 판매량 및 증가율>
(단위: 만 대, %)
[자료: 중국자동차공업협회]
2024년 신에너지차 전체 판매량 중 전기차(EV) 판매량은 60%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판매량은 10.4%p 하락했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 판매량은 신에너지차 판매량 중 40%로 10.5%p 증가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에너지 자동차 세분 동력 유형 판매량 비율>
(단위: %)
[출처: 중국자동차공업협회]
중국 신에너지차 브랜드별 시장 분석
중국 신에너지차 브랜드별 시장 점유율을 비교해 보면 비야디(BYD), 지리자동차(Geely), 상하이 GM 우링(Wuling) 등 주로 로컬 브랜드가 상위를 차지하고 있다. 2024년 신에너지 차량의 대표 주자인 비야디(BYD)는 427만 대를 판매해 상하이 자동차를 제치고 전년 대비 41.3% 성장하며 1위에 올랐다.
<2024년 중국 10대 자동차그룹 판매량>
(단위: 만 대)
[출처: 각 회사 홈페이지]
길림성 소재 중국 대표 내연기관 차량 기업인 제일기차그룹의 2023년 판매량은 337만3000대로 중국 내 2위를 기록했으나, 2024년 중국 정부의 대대적인 자동차 소비 촉진 정책에도 불구하고 신에너지 차량 판매가 급성장하는 등 영향으로 전년 대비 7% 감소한 320만 대를 판매하며 4위를 기록했다.
<2020~2025년 제일기차그룹 자동차 판매량 및 증가율>
(단위: 만 대, %)
[출처:제일기차그룹 홈페이지]
2024년 제일기차그룹 전체의 판매량은 감소했으나, 제일기차그룹의 합자 브랜드인 이치폭스바겐(제일기차그룹-폭스바겐), 이치아우디(제일기차그룹-아우디), 이치토요타(제일기차그룹-토요타) 등의 차량 판매를 제외하고 제일기차그룹의 자사 브랜드인 홍치(HONGQI), 번텅(BESTUNE), 제팡(JIEFANG)이 차량 81만9000대를 판매하며 전년 대비 14.7% 성장했다. 2025년 제일기차그룹은 완성차 판매량 목표를 약 8% 성장한 345만 대로 잡고 있으며, 또한 중국 AI 산업 발전에 따라 Deepseek AI 기능을 탑재하고 맞춤형 운전 서비스를 제공하며 브랜드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
제일기차그룹 자사 브랜드인 중 홍치(HONGQI)는 세단인 H 계열과 SUV를 주력 차종으로 하고 있다. 2024년 홍치(HONGQI) 판매량은 약 41만대로 전년 대비 17.4% 증가했으며 7년 연속 판매량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홍치(HONGQI) 브랜드의 신에너지차 판매량은 11만5000대로 전년 대비 43.7% 급증했으며, 향후 스마트카, 신에너지차 등을 주력으로 발전시켜 나간다는 계획이다.
번텅(BESTUNE)의 2024년 판매량은 15만 대로 전년 대비 25% 증가했으며, 이 중 신에너지 차량이 8만3000대로 전년 대비 214% 판매가 급증했다.
제팡(JIEFANG)은 상용차 생산을 주력으로 하며, 2024년 전년 대비 5.1% 증가한 25만4000대를 판매해 중형 트럭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신에너지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111% 급증한 1만5000대로 집계됐다.
<2023년~2024년 홍치, 번텅, 제팡 신에너지차 판매량 비교>
(단위: 만 대)
[출처: 제일기차그룹 홈페이지]
시사점: 제일기차그룹 및 협력사와 한국기업과의 협력 경과와 전망
KOTRA 창춘무역관에서는 매년 상반기 제일기차그룹과 협력사를 대상으로 한국 기업과의 협력 수요가 있는 바이어를 모집해 ‘한-중 차세대 모빌리티 협력 플라자’ 행사를 개최해 오고 있다. 해당 행사를 통해 한국과 중국 양국 간 차세대 모빌리티 분야의 산업 협력 포럼과 수요 매칭 구매 상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아울러, 구매 수요가 검증되고, 한국 기업과의 협력 가능성이 높은 바이어를 엄선해 매년 대구 미래모빌리티엑스포 등 국내 행사에 초대해 협력 수요를 구체화하고 한국 기업과의 구매 상담을 주선해 왔다.
2024년 대구 국제 모빌리티 엑스포에 참가한 제일기차그룹과 창춘쉬양(Changchun XUYANG INDUSIRY(GROUP) Co, ltd 자동차 시트부품 제조사), 창춘야다(Changchun Chinaust Automobile Parts Co., Ltd. 자동차 냉각관 부품 제조사) 등 기업은 각각의 기업 발전 방향과 협력 수요에 대해 소개하고, 약 30개 한국 기업과 적극적으로 협력 상담을 진행한 바 있다. 해당 행사에 참가한 제일기차그룹 관계자는 “한국 자동차 기업이 테슬라, BMW, GM 등 글로벌 브랜드와의 협력도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고, 공급 경험도 많아 제일기차그룹과의 협력 가능성이 있다”고 평가했다.
참가 기업들의 대표적인 수요를 살펴보면, 번텅(BESTUNE)은 자율주행 관련 레이더 인지 소프트웨어와 자동차 냉간단조 제품에 대해, 제일기차그룹은 에어컨 시스템과 열교환기, 사이버 보안 등 분야에 대해, 창춘쉬양은 신소재(갤필러 등)와 카메라 렌즈 히터, 라이다 등 제품에 관심을 보였다.
상기와 같은 협력 사업을 통해 컬러스테인리스 등 신소재와 전기차 적용 소프트웨어, 수소 등 신에너지차 동력 관련 부품 공급 등에 대한 성과도 속속 나오고 있다. D 사(컬러스테인리스 신소재)는 제일기차그룹 1차 벤더사에 연간 200만 달러 규모의 납품을 진행 중이고, S 사(소프트웨어 진단 서비스)도 제일기차그룹의 전기차 소프트웨어 안전테스트와 관련한 프로젝트 수주에 성공한 것으로 알려졌다.
제일기차그룹 관계자는 KOTRA 창춘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2025년에도 중국 자동차 시장이 신에너지차, 스마트 기술, 글로벌 시장 확장을 중심으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라고 밝혔다. 또한, “중국이 5G, 인공지능(AI), 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스마트 연동과 자율주행 기술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신에너지 차량 보급, 탄소 중립 목표 달성, 수소 자동차 개발 등에 대한 지원 정책을 지속적으로 강화하고 있어 해당 분야에 기술력을 갖춘 한국 기업들은 중국 현지 기업과의 협력 기회가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자료: 중국자동차공업협회, 비야디, 상하이 자동차, 제일 자동차, 장안 자동차, 체리 자동차, 동평 자동차, 광저 자동차, 베이징 자동차, 장성 자동차 제일기차그룹 홈페이지 및 KOTRA 창춘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중국 신에너지차 시장동향 및 시장 전망: 길림성 소재 제일기차그룹의 글로벌 기업 협력 수요를 중심으로 )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미국 필기구 시장 동향
미국 2025-04-08
-
2
미국, 원전 르네상스 시대 개막...원전 설비 진출 기회 확대
미국 2025-04-08
-
3
미국, IoT 시대 안전한 연결을 위한 사이버보안 강화
미국 2025-04-08
-
4
홍콩 소비자 전자 제품 시장에서 주목해야 할 트렌드는?
홍콩 2025-04-09
-
5
2025년 칠레 그린수소산업 정보
칠레 2025-04-08
-
6
브라질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성장과 발전설비 시장 동향
브라질 2025-04-08
-
1
2025년 중국 수소에너지산업 정보
중국 2025-04-02
-
2
2024년 중국 풍력발전 산업 정보
중국 2024-12-17
-
3
2024년 중국 희토산업 정보
중국 2024-11-22
-
4
2024년 중국 산업개관
중국 2024-11-19
-
5
중국 신에너지 자동차 산업 발전 전망
중국 2024-07-29
-
6
2023년 중국 선박산업 동향
중국 2023-1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