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IoT 시대 안전한 연결을 위한 사이버보안 강화
- 트렌드
- 미국
- 디트로이트무역관 박시현
- 2025-04-08
- 출처 : KOTRA
-
미국 IoT 시장의 성장과 사이버보안 과제
IoT(사물인터넷)는 인터넷을 통해 다양한 사물들이 서로 연결되어 정보를 주고받고 분석하며 자동으로 작동하는 기술이다. 원격으로 집 안의 온도 시스템을 조절하고, 스마트폰으로 차고를 여닫으며, 웨어러블 기기를 통해 건강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등 IoT는 우리 생활 곳곳에 스며들어 다양한 기능과 방식으로 일상에 편리함을 더하고 있다. 스마트 홈, 스마트 카, 스마트 시티 등 모두 IoT 원리를 활용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자동화와 제어를 실현하는 개념으로 IoT 기술은 미래 사회의 핵심 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IoT 설명 이미지>
[자료: TIBCO]
시장조사기관 ABI research에 따르면, 전 세계 IoT 연결 수는 연평균 16% 성장하여 2025년 195억 개에서 2030년 401억 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2030년에는 북미에서만 80억 개의 연결이 예상되어, IoT 시장의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시장의 성장에 발맞춰, 스마트폰, 피트니스 트래커, 무선 스피커, 스마트 TV와 같은 개인용 IoT 기기 판매량도 급증하고 있다. 이처럼 우리 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된 IoT 기기들의 보안은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이다.
미국 시장에서의 IoT기기와 사이버보안의 중요성
작년 미국에서 발생한 가정용 로봇 청소기 해킹 사건은 IoT 기기의 보안 취약성을 여실히 보여주는 케이스다. 내장 스피커를 통해 사용자에게 욕설을 퍼붓고 간이 카메라를 통해 사용자를 지켜본 이 사건은 IoT 기기를 상대로 사이버 공격 위험성이 얼마나 심각한지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이다.
IoT 기술이 우리 생활은 물론 사회 및 비즈니스 시스템에 광범위하게 적용되면서, 사이버보안의 중요성은 더욱 부각되고 있다. IoT 기기는 인터넷에 연결되는 순간 해킹 위협에 노출될 수 있으며, 모든 사물이 해킹 대상이 될 수 있다. 그렇기에, 인터넷 기반의 상호 연결된 무선 환경은 정보 교환의 효율성을 높이는 동시에 사이버 공격의 위험을 증폭시킨다. 특히 보안에 취약한 IoT 기기는 단일 공격으로 전체 네트워크를 마비시킬 수 있어, IoT 기술 확산에는 사이버보안 강화라는 필수적인 과제를 동반한다.
<IoT 기기 해킹 공격 이미지>
[자료: Wallarm]
이처럼 IoT 기기의 보안 취약점은 단순한 기술적 문제가 아니라, 소비자와 기업의 안전을 위협하는 중요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IoT 기기뿐만 아니라 그 기기를 연결하거나 사용하는 모든 디바이스의 보안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이러한 노력의 중요성은 미국 사이버보안 시장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시장조사 기관 Statista에 따르면, 미국의 사이버보안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규모가 가장 크며,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연평균 7.11%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미국 사이버보안 시장 규모>
(단위: US$ 십억)
[자료: Statista]
소비자 기기에서 진화하는 미국 사이버보안의 역할
오늘날 사이버보안은 단순한 기술적 문제를 넘어 소비자의 신뢰와 제품 선택을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과거에는 사이버보안이 기업과 정부 기관의 주요 관심사였다면, 이제는 스마트 홈 기기, 웨어러블 디바이스, 자율주행차 등 IoT 기술의 확산으로 소비자 기기에서도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다. 미국 소비자들은 보안을 단순한 기능이 아닌 제품 선택의 핵심 기준으로 인식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대표적인 사례가 올해 1월 미국 정부가 실행한 'U.S. Cyber Trust Mark' 제도이다. 기업의 자발적으로 운영되는 이 제도는, 소비자들에게 더욱 안전한 제품을 판매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방 통신 위원회 (FCC)의 주관 아래, 사이버보안 인증을 받은 제품들은 상표 등록된 인증 마크를 부착하여 소비자들이 IoT 기기의 보안 수준을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사이버보안이 더 이상 업계의 내부적 이슈가 아니라 소비자의 신뢰와 직결되는 요소임을 보여준다.
<미국 스마트 기기용 사이버보안 인증 마크>
[자료: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이와 함께, 미국 주요 유통업체 및 전자 기기 제조사들도 적극적으로 이 제도를 지원하고 있다. 아마존(Amazon)과 베스트 바이(Best Buy) 같은 주요 리테일러와 이커머스 플랫폼들은 U.S. Cyber Trust Mark가 부착된 제품을 적극적으로 홍보하며, 이를 통해 소비자들의 신뢰를 높이려 하고 있다. 구글(Google), LG, 삼성(Samsung) 등 글로벌 전자 및 가전 제조업체들도 해당 프로그램을 지지하며, 제품을 인증받아 보안성이 강화된 IoT 기기를 시장에 출시할 계획이다. 해당 인증의 자격 요건 및 세부 사항은 미국 연방통신위원회(FCC) 공식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fcc.gov/CyberTrustMark
이처럼, 사이버보안 인증은 단순한 보안 강화 수단을 넘어 기업의 브랜드 신뢰도와 소비자 구매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앞으로도 미국 시장에서는 보안 인증을 획득한 IoT 기기가 더욱 주목받을 가능성이 높다.
미국 빅테크 기업들의 사이버보안 강화 방안 및 트렌드
미국은 사이버보안 분야의 혁신과 투자를 주도하고 있으며, 미국 빅테크 기업들 또한 IoT 기기 보안 강화에 힘쓰고 있다. 시장 정보 분석 기업 CB Insights에 따르면, 2021년 GAFAM(구글, 아마존, 페이스북, 애플, 마이크로소프트)은 사이버보안에 총 24억 달러를 투자하는 등IoT 사이버보안 강화에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빅테크 기업들의 사이버보안 전략 및 기술>
기업
사이버보안 강화 전략
주요 보안 기술/서비스
Microsoft
클라우드 보안 강화, AI 기반 위협 탐지
Microsoft Defender, Azure Security
Google
제품 및 클라우드 보안 내재화, 산업/정부 협력
Titan Security Key, Advanced Protection Program
Amazon
AWS 기반 보안 솔루션, 보안 자동화
AWS Shield, Amazon GuardDuty
Apple
하드웨어 보안 강화, 주기적 소프트웨어 업데이트
Secure Enclave, Advanced Data Protection (ADP)
[자료: 각 기업 홈페이지,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 정리]
이미 많은 기업들이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인터넷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를 사용 중인데, 클라우드 보안도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미국 클라우드 보안 기업 Duo Mobile의 엔지니어 A 씨는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과의 인터뷰에서 “IoT 기기가 우리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을수록 연결된 엔드포인트는 잠재적 취약점을 의미한다. 그래서 이런 기기들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개별 사용자를 보호하는 것을 넘어, 전체 시스템을 보호하는 강력한 사이버보안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이어서 그는 “사이버보안은 더 이상 사후 대응이 아니라 IoT 신뢰의 핵심 요소이다”라고 덧붙였다.
소비자 기기에서의 사이버보안은 제품 경쟁력의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으며, 기업들은 단순한 기술적 대응을 넘어, 소비자의 신뢰를 확보하기 위한 보안 강화 전략을 적극적으로 고려해야 할 시점이다.
시사점
미국에 IoT 기기를 수출하려는 한국 기업은 이제 사이버보안 요소를 필수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특히 개인용 IoT 기기의 경우, 소비자는 보안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며 신뢰할 수 있는 제품을 선택하는 데 큰 영향을 받는다. 'US Cyber Trust Mark'와 같이 보안성을 보장하는 인증 마크를 획득한 기기는 소비자에게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뿐만 아니라, 기업의 브랜드 신뢰도 또한 강화할 수 있다.
자료: TIBCO, ABI Research, Wallarm, Statista, Federal Communications Commission, CB Insights, Microsoft, Google, Amazon, Apple, KOTRA 디트로이트 무역관 자료 종합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KOTRA의 저작물인 (미국, IoT 시대 안전한 연결을 위한 사이버보안 강화)의 경우 ‘공공누리 제4 유형: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의 경우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으므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
1
기능을 넘어 감성 케어까지 공략하는 중국 바디케어 시장 트렌드
중국 2025-04-09
-
2
민(民)-관(官)-학(學) 협력으로 고속 성장 중인 중국 인공지능(AI) 산업
중국 2025-04-07
-
3
미국, 원전 르네상스 시대 개막...원전 설비 진출 기회 확대
미국 2025-04-08
-
4
생성형 AI 시대, 일본의 취업 활동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
일본 2025-04-09
-
5
브라질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성장과 발전설비 시장 동향
브라질 2025-04-08
-
6
2025년 칠레 그린수소산업 정보
칠레 2025-04-08
-
1
2024년 미국 반도체 제조 산업 정보
미국 2024-12-18
-
2
2024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4-11-08
-
3
2024년 미국 가전산업 정보
미국 2024-10-14
-
4
2024년 미국 리튬 배터리 산업 정보
미국 2024-09-04
-
5
2021년 미국 사이버 보안 산업
미국 2022-01-04
-
6
2021년 미국 의류 산업 정보
미국 2022-01-03